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좌석
술판
잔치
향연
연회
향연장
술잔치
뉴스
"
술자리
"(으)로 총 27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
2023.05.31
DNA 이중나선 구조 발견 70주년을 맞아 학술지 ‘네이처’는 로절린드 프랭클린의 기여를 재평가한 기고문을 실었다. 위키피디아 제공 올해는 1953년 DNA 이중나선 구조 규명 70주년이지만 조용히 지나갔다. 70은 10년 단위의 하나일 뿐 별다른 의미가 없는 숫자여서일 것이다. 아마도 서구권에서 수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라거 맥주 시대를 연 결정적 장면들
2023.05.17
날씨가 더워지면 맥주를 자주 찾게 된다. 오늘날 세계에서 소비되는 맥주의 90%가 라거이고 그중에서도 색이 옅고 쌉쌀한 청량감이 특징인 필스너 스타일이 가장 흔하다. 필스너 맥주의 원조는 보헤미아(현 체코)의 필스너 우르켈(사진)로 1842년 탄생했다.위키피디아 제공 지난 2015년 술의 과학을 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방울토마토 먹고 배탈 난 과학적 이유
2023.04.0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난주 TV에서 의아한 뉴스를 봤다. 급식으로 나온 방울토마토를 먹은 아이들이 구토와 배탈 증상을 보였다는 내용이었다. 증상이 일시적이고 쉽게 회복돼 일반적인 식중독은 아닌 것 같다는 말로 봐서는 병원체 감염은 아닌 것 같았다. 농약 중독일 수도 있겠지만, 방울토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위키피디아 제공 1990년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시작됐을 때만 해도 단백질 지정 유전자 개수가 10만 개는 될 것이라고 봤다. 그런데 작업이 진행되면서 예상값이 점점 줄어들었고 해독 결과 불과 2만 개라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대해 중요한 건 유전자 개수가 아니라 ... ...
"소형원전 수출하려면 마케팅 시작해야...인허가 뒤에는 늦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21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과총 이슈 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 이영애 기자 yalee@donga.com "해외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업들은 개념이 완성되는 순간부터 마케팅을 시작합니다. 그런데도 많은 회사들이 아직 인허가 신청도 하지 않은 이들에게 투자합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파란트로푸스. 위키피디아 제공 각각 흰옷과 검은 옷을 입은 선수들이 농구공을 패스하는 영상을 보여주며 흰 셔츠 팀의 패스 횟수를 세는 과제를 준다. 1분이 흐르는 사이 고릴라 분장을 한 사람이 나타나 가슴까지 두드리고 지나갔지만, 놀랍게도 실험 참가자의 절반은 패스 횟수를 세느라 이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항암제 젬시타빈(dFdC)은 시티딘 유사물질로 암세포 안으로 들어가 DNA 합성을 방해해 작용한다(왼쪽). 암세포의 젬시타빈 내성은 내부에 존재하는 박테리아(녹색)가 젬시타빈을 다른 물질로 바꿔 없앤 결과로 밝혀졌다(오른쪽). 분자&세포 종양학 제공 다들 그렇겠지만 나이가 들수록 ‘생로병사’라 ... ...
[친절한 클리닉] ② 비만 치료의 최선은 '예방'..."다이어트, 금연보다 어려워"
2022.10.2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편집자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대유행이 3년째 지속되면서 우리 생활양식은 많이 바뀌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덜 움직이고 배달음식을 시켜먹는 습관으로 코로나19 유행이 한창일 때 '확진자' 아닌 '확찐자'라는 단어가 회자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확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은 신학에서 어떻게 독립했을까
2022.10.25
2014년 런던 도심을 관통하는 철도 지하터널에서 발견된 유골이다. 과학자들은 일부 치아에서 흑사병(Yersinia Pestis) 세균을 발견했으며 이로 미뤄 이들이 흑사병으로 숨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AP/연합뉴스 제공 신학 중심의 사고와 문화에서 벗어나면서 이루어진 유럽 중세의 종말 넘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NIST/Emily Pelletier 제공 오늘날 과학계에서 생명체와 관련해 야심 찬 프로젝트가 두 가지 있다. 하나는 지구 밖에서 생명체 또는 그 흔적을 찾는 것으로 행성으로는 화성이 있고 위성으로는 목성의 유로파와 토성의 타이탄, 엔셀라두스에 기대를 걸고 있다. 최근 엔셀라두스에서 생명체를 이루는 핵심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