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송신기"(으)로 총 36건 검색되었습니다.
- [애니멀리포트] 반려동물 고슴도치에게 겨울잠은 해가 된다2019.05.04
- 9배에 이릅니다. 독일 함부르크대 리사 바르네크 연구원은 도시와 시골 고슴도치에 각각 송신기를 달아 활동 영역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도시 고슴도치의 활동 영역은 5만㎡ 로, 시골 고슴도치의 18분의 1에 머뭅니다. 시골 고슴도치는 곤충과 달팽이, 거미, 도마뱀 등을 먹는 반면, 도시 ... ...
- 노르웨이 오슬로에 첫 전기택시용 무선충전 승강장 들어선다동아사이언스 l2019.03.25
- 승강장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포르툼은 오슬로 내 택시 승강장에 무선충전용 송신기를 설치하고, 전기택시의 바닥에 수신기를 설치해 승강장에서 손님을 기다리는 동안 충전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현재 전기택시 도입의 단점인 충전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점과 언제든 택시가 ... ...
- 식도·위 동영상처럼 보는 캡슐내시경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3.14
- 9.3%의 성장세가 예상된다. 연구팀이 개발한 캡슐내시경의 크기는 가로 1cm 세로 3.1cm로 송신기 역할을 한다. 내부에는 LED 램프, 두개의 전·후방 카메라, 코인 형 배터리, 자석이 들어가 있다. 캡슐이 촬영한 영상은 몸에 붙이는 전극이나 벨트 타입의 수신부를 통해 수신기로 전송돼 저장된다. 초당 2 ... ...
- 드론이 간다, 남극 펭귄 찾으러!동아사이언스 l2018.10.29
- 한 마리가 앉아 있다. 멸종위기에 놓인 새다. 기존 생태학자들은 이 새를 잡아 몸에 전파 송신기나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달아 놓고 추적했다. 수신기를 들고 신호를 쫓으며 새를 따라다니는 방식이었다. 다리에 금속이나 플라스틱 인식표를 달아 이동 패턴을 파악하기도 했다. 하지만 깊은 숲속, ... ...
- ETRI, 영화 50편 1초에 내려받는 5G 광통신 소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3.06
- 기술로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전기신호 형태의 데이터를 광통신망으로 보내기 위한 광송신기 소자 (파장가변 광원소자)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다시 변환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광수신기 소자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들 소자는 길이 2~3㎝의 초소형으로 바로 상용화도 가능한 수준이다. 특히 ... ...
- 무선 양자통신기술, 국내 최초 실외 시연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02.05
- 위치한 한국나노기술원 1층 연구실에서 실외 검증을 했다. 연구실 안에 양자암호 송신기를 놓고 건물 밖 약 50m 지점에 수신기를 설치한 뒤, 태양광의 방해가 적은 밤 시간대를 이용해 양자암호를 실은 광 신호를 무선으로 주고 받았다. 한 선임연구원은 “11% 이하가 돼야 하는 오류율(양자 암호를 ... ...
- 두 달동안 한 번도 땅을 밟지 않고 쉬지 않고 나는 새가 있다?2016.07.09
- 영국, 캐나다, 독일의 공동연구진은 50여 마리의 큰군함조에 태양전지로 작동하는 초경량 송신기를 부착해, 지난 2년여 동안 GPS 위치, 상승 고도, 비행 거리 및 평균 속도, 심박수까지 측정했는데요. 이를 통해 큰군함조의 다양한 움직임 및 그들이 활동에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지 알 수 ... ...
- 작아도 성능은 ‘거인’… 100kg 급 소형 인공위성 뜬다2016.03.18
- 쉽다. 기존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할 때 가격이 비싸고 약한 신호를 받기 위해 지상 송신기를 크게 만들어야 했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원웹은 지난 6월 소형위성 설계를 위한 협정을 맺고, 내년 위성을 발사해 세계 무선네트워크를 묶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 에어버스 제공 구글은 2014년 소형 ... ...
- 1m 거리 무선충전 기술 국내서 첫 개발2015.12.11
- 중”이라며 “자전거 양쪽에 설치된 키오스크(충전 장치)가 자전거에 전기를 쏘아 주는 송신기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자전거 주변을 살펴보니 정말 전선이 하나도 없다. 그 대신 자전거 앞바퀴의 바퀴살 자리에 지름 35㎝짜리 플라스틱 원판이 박혀 있다. 원판 안에 구리 코일을 넣은 무선 ... ...
-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동물의 의사소통을 엿보다과학동아 l2015.11.30
- 대부분 일본 등 해외 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다”며 아쉬워했다. 등에 음향신호 송신기를 부착한 레몬상어와 해저에 고정된 신호 수신장치. - M.POTENSKI 제공 안성천에 다녀온 뒤부터는 하늘을 나는 새나, 거리를 지나다니는 고양이를 볼 때마다 예사롭지 않다. 저 녀석은 어디서 왔을까. 혹시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