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좀도둑
좀도적
소
뉴스
"
소모적
"(으)로 총 3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한 수 가르쳐주마'라는 소셜 자경주의
2019.11.02
못하는 경향을 보인다. 비난을 잘 받아들인다고 해도 모두가 모두에게 별 것도 아닌 일로
소모적
인 비난을 시전하는 사회는 썩 바람직해 보이지 않는다. 소시에 교수는 사람들에게 자신과 비슷하거나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이 사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또 ... ...
[2019과학기자대회] "에너지전환 실효성 의문, 원전 대체산업도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9.26
돕는 가스 단독발전 이야기도 들어가는 추세”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논쟁을 두고
소모적
논쟁이 아닌 상호 논의를 통해 해결책을 내놓을 때라는 주장도 나왔다. 이주영 연합뉴스 부장은 “수십 년간 찬반논리도 변하지 않는 논쟁에서 해법을 함께 내놔야 할 양측이 서로를 인정하지 않는 모습이 ... ...
최기영 장관 "기초과학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가장 확실한 대비책"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과기정통부와 이야기한다고 했는데. -물론 소통 많이 해야 한다. 다만 조직개편을
소모적
으로 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내 임기가 3년이 채 안 된다. 시간 많지 않은 만큼 다른 데 에너지 쓰는 건 아닌 것 같다. 소통은 신경 쓰겠다. ... ...
사람 뇌는 왜 커졌나? 사회성 vs 환경적응 vs 유전자 이론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인간은 다른 동물에 비해 전체 몸무게 대비 무게가 무겁고, 에너지의 20%를 잡아먹는 크고
소모적
인 뇌를 가졌다. 그런데 ‘도대체 무엇이 다른 동물과 달리 인간의 뇌를 커지게 만들었는가’는 해결되지 않은 난제였다. 지난 수 십년 간 학계에선 인간이 집단을 이루고 사회성을 유지하며 ... ...
고래고기 불법 유통 싫어도 따질 길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21
소비자 대상 교육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함께 연구한 정창국 교수는 “
소모적
인 정치적 논쟁을 벗어나 소비자 입장에서 실용적인 미래를 마련하자는 제안”이라고 설명했다 ... ...
[점검! 文정부 과기정책②] 과학기술 독임부처 부활, ‘4차 산업혁명’에 밀리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5.31
응용산업으로 구분되는 과학기술, ICT의 두 분야가 한 부처에 있으면서 실제로는
소모적
인 기싸움을 하며 겉돌기에 그쳤다는 평가다. ● 국가 R&D, 조직 형태에 관계없이 장기적인 관점으로 접근해야 물론 새 정부가 부처의 조직 개편을 최소화 할 수밖에 없는 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결국 연구자들이 2004년 발굴 논문을 쓸 때 좀 더 면밀히 살펴봤더라면 호빗을 둘러싼
소모적
인 현생인류 논란은 일어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네이처’ 6월 9일자에는 관련 기사도 실려 있는데 2012년 마지막으로 발굴현장을 찾은 모우드 교수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당시 전립선암이 많이 진행된 ... ...
‘한우물 연구’ 가능하게…10년 이상 장기과제 비율 2배로
2016.05.13
기업과 차별성 없이 연구를 수행한 탓에 원천기술의 개발도 아니고 상용화도 안 되는
소모적
인 연구를 해 왔다는 지적이다. 12일 과학기술전략회의를 처음으로 주재한 박근혜 대통령은 이런 국가 R&D 시스템의 해묵은 과제들을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대학 정부 ... ...
수학 쉬워져도 사교육 못 잡는다
2015.08.19
시험에서는 조금만 실수해도 등수가 밀려나기 때문에 학생들은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
소모적
인 경쟁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 사교육의 목적이 실수를 하지 않는 쪽으로 바뀔 뿐이라는 것이다. 수능 수학이 지속적으로 난이도가 낮아지는 바람에 상위권 변별을 위한 만점방지용 문항은 더 ... ...
[프리미엄 리포트 4] 모험과 자율성에 다 걸어라
2015.04.20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일 성균관대 교수도 “논문 수로 평가하는 정량적인 방식은
소모적
이며 단순화된 연구 결과만 양산하기 쉽다”고 지적했다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