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험성
선천성기형
기형
뉴스
"
선천성
"(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40만 명 가까이 된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됐다. 이 가운데는 소년들처럼 유전 질환인
선천성
백내장이 원인인 경우도 있었다. 수술을 받지 못해 평생 실명 상태로 살아야 하는 이들의 상황에 안타까움을 느낀 산하 교수는 어느 날 기발한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평소 신생아의 시각 발달 과정을 ... ...
심장질환자 에너지음료 섭취 주의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성분들도 들어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연구참여자들의 수면 부족, 탈수, 다이어트,
선천성
부정맥질환 약물 동반 복용 등도 부정맥 발생의 잠재적인 요인이 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에너지 드링크 섭취에 이러한 요인들이 더해지면서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이 촉발됐을 것이란 설명이다. ... ...
임상 환자 사망으로 새판 짜는 유전자가위 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치료제 연구가 원활하게 이뤄지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선천성
망막질환(IRD) 유전자 치료제를 연구하는 김정훈 서울대병원 안과 교수는 "환자 맞춤형 개발이 중요한 유전자 치료제의 특징을 고려해 연구와 진료가 통합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센터개념의 연구시설이 ... ...
흑과 백을 더욱 분명하게 구분하는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보여주고 이를 흑백으로 바꿔 보여줘도 물체를 인식하는 데 전혀 지장이 없었다.
선천성
백내장으로 시력 장애를 가지고 태어났다가 이후 시력을 회복한 어린이는 컬러 이미지를 보여주고 같은 이미지를 흑백으로 바꿔 보여주면 흑백 사진을 잘 식별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이 실험 결과에 주목해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우리도 가질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4.04.06
부족한 선천적 무치증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입니다. 오늘날 치아가 6개 이상 없는
선천성
무치증 환자는 전 세계 인구의 약 0.1%에 달합니다. 무치증은 임플란트로 치료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임플란트는 턱 뼈가 완전히 자란 뒤에야 시술이 가능합니다. 턱 뼈는 ... ...
봄철 심해지는 '알레르기성 천식'…폐 염증 막을 단백질 찾았다
2024.03.27
및 의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피에조1'이라는 단백질이 폐에서 면역세포 '제2형
선천성
림프구 세포(ILC2)'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것을 막아 염증 반응을 완화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26일 '실험의학저널(JEM)'에 게재했다. ILC2는 폐, 피부 및 기타 신체 조직에 존재하는 면역 ... ...
임신부 양수에서 태아 줄기세포 얻어 장기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임신을 지속하면서도 오가노이드를 활용해 태아의 질환을 살필 수 있다”며 “
선천성
질환은 태아기 때부터 개인 맞춤형 치료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흡연, 생각보다 오래 면역력에 영향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4
측면에서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흡연자들이 금연한 후
선천성
면역에 대한 영향은 사라졌지만 적응성 면역에 대한 영향은 금연 후 수년 동안 계속돼 감염이나 기타 면역 문제 발생 시 사이토카인 분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토카인은 면역세포로부터 ... ...
흡연은 금연 후에도 몸에 흔적 남긴다…"면역반응에 큰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병원체 침입 등에 대응하는 후천성 면역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이
선천성
면역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이고 금연 후 사라졌다. 그러나 후천성 적응 면역에 미치는 영향은 흡연 후에도 수년간 지속되면서 감염이나 기타 면역 문제 발생 시 사이토카인 분비를 변화시켰다. ... ...
독감과 코로나19 한번에 잡는다…치료 후보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2.08
단백질은 폐에서 후천성 T세포의 유입과
선천성
유사 T세포의 증식을 유도했다. 특히
선천성
유사 T세포는 마치 태어날 때부터 갖고 있던 메커니즘대로 작동하듯 다양한 병원체에 대한 빠르고도 광범위한 방어 작용을 일으켰다.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