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양
형상
용모
모습
꼴
모양새
외모
뉴스
"
생김새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접한 아래에서부터 기저층, 유극층, 과립층, 각질층으로 불린다. 네 층을 이루는 세포는
생김새
가 다르지만 사실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각각 다른 시기다. 피부 맨 바깥에 있는 죽은 각질세포(corneocyte)로 이뤄진 각질층(stratum corneum)을 도식화한 그림이다. 신시내티대 제공 기저층은 꾸준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바뀌고 있다. 예를 들어
생김새
는 여성인데 자신을 남성으로 인식해 성전환수술로
생김새
를 남성으로 바꾸면 남성으로 인정해주는 식이다. 물론 이 사람 세포의 성염색체는 여전히 ‘XX’이지만 말이다. 세포생물학에 충실한 필자는 소위 정치적 올바름의 하나인 이런 경향이 거슬렸다. 그런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기록이 남아있다. 오늘날에도 유럽과 서아시아 일대에는 야생 당근이 자생하는데 뿌리의
생김새
와 색이 우리가 익숙한 작물 당근과는 전혀 다르다. 희고 가는 뿌리가 얼핏 보면 인삼 같다. 이럴 수 있는 게 둘 다 미나리목(目)에 속하는 친척 관계이기 때문이다. 게놈 분석 결과 인삼의 조상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에 걸리지 않는 '이 동물'의 장수 비결
2023.09.20
암도 거의 걸리지 않는다. 위키피디아 제공 오늘날 대략 6500종의 포유류가 존재하는데 그
생김새
만큼이나 수명도 다양하다. 대체로 덩치가 클수록 오래 살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박쥐가 대표적인 예로 비슷한 덩치인 다른 포유류보다 대여섯 배는 오래 산다. 영장류 역시 오래 사는 편으로 그 가운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피곤하면 왜 몸이 무겁게 느껴질까
2023.09.06
인체 모형인 감각 호문쿨루스. 얼굴과 손은 실제보다 훨씬 크고 몸과 팔다리는 왜소한
생김새
다. 같은 자극이라도 신체 부위에 따라 꽤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다. 위키피디아 제공 인터뷰 녹음을 듣다 보면 ‘이게 내 목소리인가?’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발성기관에서 만들어진 음파가 입을 통해 ... ...
국내 최초 ‘눈 없는 거미’ 발견...어두운 동굴서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8.26
엷은 갈색을 띠며, 다리가 길고 눈의 형태는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연구팀은 이런
생김새
가 1년 내내 어둡고 습한 동굴의 환경에 적합하게 진화한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한국구슬거미는 일생을 어두운 동굴에 사는 ‘진동굴성 거미’예요. 연구팀은 한국구슬거미가 습기가 많은 동굴 표면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네이처 표지 장식한 IBS…고체가 구르는 궤적
동아사이언스
l
2023.08.12
원을 감싸는 가장 작은 볼록한 입체도형을 말한다. 스피어리콘은 올로이드와 비슷한
생김새
의 입체도형으로, 모양과 크기가 서로 닮은(합동인) 부채꼴 4개를 이어 붙인 모양이다. 연구팀은 미리 설정한 주기 경로를 따라 경사면을 굴러 내려가는 고체 모양을 디자인하는 알고리즘을 생성했다.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포자를 대포알처럼 발사하는 공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7.29
한답니다. 새둥지버섯. 주로 침엽수의 고사목에서 발견 할 수 있는 새둥지버섯. 버섯의
생김새
가 마치 알이 들어 있는 새 둥지처럼 생겼다. 박상영 제공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7월 15일,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포자를 대포알처럼 발사? ... ...
뻐꾸기의 감쪽같은 '알 바꿔치기' 잡아내는 새
동아사이언스
l
2023.07.27
알과 아프리카갈래꼬리순금의 알을 색깔, 무늬면에서 비교해봤더니 두 알의
생김새
는 평균적으로 거의 흡사했다. 연구팀은 뻐꾸기 알이 아프리카갈래꼬리순금의 둥지에서 살아남기 위해 아프리카갈래꼬리순금 알 고유의 무늬를 '위조'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제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목재 유전자 교정으로 친환경 종이 만든다
2023.07.26
8만 입방미터에 이른다. 일본 삼나무는 우리나라에서도 인기 있는 목재다. 일본 삼나무는
생김새
도 멋있고 경제성도 있지만 심각한 문제가 하나 있다. 봄철 꽃가루로 인한 알레르기는 일본인 10명 가운데 4명이 시달리는 국민병으로 ‘일본삼나무꽃가루증’이라는 병명을 따로 만들었을 정도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