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깔
색깔
색
색상
칼라
색조
빛갈
뉴스
"
색채
"(으)로 총 85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스플레이 권위자 권오경 한양대 석좌교수,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9.09
표하기도 했다. 디스플레이 기술은 공학적 요소뿐 아니라 인간의 감각기관인 눈의
색채
과학 등 인체 공학적 요소도 고려해야 하는 종합적인 분야다. 권 석좌교수는 “처음 디스플레이 연구를 시작하고 6개월까지는 반도체 분야만 했으면 훨씬 편하게 살 수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에 후회도 많이 ... ...
[인간 행동의 진화] 열대어의 화려함은 투쟁의 산물
2021.01.24
건 전투라는 투쟁적 과정을 통해서 진화했다. '나는 분명 너의 종이 아니라고!'라는
색채
신호를 분명하게 보내는 녀석일수록 아들딸 많이 낳아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었을 것이다. 인간도 그럴까? 연구는 거의 없다. 그러나 연구를 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 인간도 자신과 ‘비슷한 ... ...
19세기 화가들, 18세기 화가보다 높은 곳에 수평선을 잡았다
2020.11.05
구성 비율이 무작위하지 않고 점진적이고 체계적으로 변화했음을 확인했다”며 “
색채
사용과 표현 방법에서 차별화를 추구한 현대 미술도 구도와 구성 비율 측면에서는 서로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는 것도 새로운 발견”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작품의 위작 여부나 제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는 정말 총천연색을 보고 있을까
2020.06.30
실제 우리 눈은 시야 중심의 대상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예를 들어
색채
를 지각하는 원추세포는 시선의 시각 정보가 들어오는 망막의 중심와(황반)에 집중돼 있다. 그럼에도 망막 전반에 원추세포가 분포해 있어 시야 전 범위에서 색 정보를 입력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미국 ... ...
올해 AI 분야에서 주목할 키워드 '민족주의'와 '중국'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그간 많은 산업의 기술을 선도하던 미국을 제치고 중국이 정부 주도로 자신만의
색채
를 가진 AI를 내놓기 시작할 것이란 전망이다. AI와 관련한 자국의 데이터 및 서비스를 보호하고 타국의 영향력을 줄이려는 새로운 민족주의가 나타날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1일 ... ...
[함께 봐요 CES] "IoT 시대에서 AI 시대로"
과학동아
l
2020.01.06
이현경 편집장이 참가해 발로 뛰며 현장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한때 소비자 가전쇼
색채
가 짙던 CES는 이제 ICT 행사를 넘어 전 세계의 모든 혁신 기술을 소개하는 행사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혁신의 관점으로 행사에 함께 하지 못한 독자들에게 현장의 모습을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 ...
[주말N수학] 19세기 예술가의 뮤즈는 과학과 수학이었다
수학동아
l
2019.07.27
‘인상주의’ 화가였습니다. 정확하게 그림을 묘사하기보다는 빛의 아름다움과
색채
의 조화를 표현하는 데 관심이 많았습니다. 그러니 정적이고 사실적인 표현에 집중했던 이전 시대 회화 작품과 비교하면 드가의 작품은 혁신 그 자체였습니다. 하지만 약점도 있었습니다. 순간순간의 빛과 감흥을 ... ...
문학 예술 넘나드는 '놀라운 수학 선생님'
수학동아
l
2019.05.15
섭렵하고 학생들과 3D 펜으로 선을 하나씩 그어 만든 작품이다. 여러 색을 섞어 쓰며
색채
감각까지 키울 수 있다고 한다. 사진 유승민 화려한 작품을 보면 작가라고 오해할 만도 하지만 김영관 제주 세화중 교감은 수학교사다. 그가 만든 작품들은 모두 수학을 가르치기 위해 제작한 수학 교구들이다. ... ...
노트르담 되살리는 3D 스캐닝의 ‘마법’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가시광선을 쓰지만 최근에는 빨강, 녹색, 파랑 등 3가지 파장의 가시광선 레이저를 써서
색채
를 구현하기도 한다. 적외선을 쓰는 경우도 있다. 건물의 3D 스캐닝 데이터는 쓰임새가 많다. 디지털 자료여서 그래픽 작업만 더하면 가상현실(VR)이나 증강현실(AR)에서 디지털 문화재로 전환하기도 쉽다. ... ...
[3·1운동 100주년]"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
과학동아
l
2019.02.28
논문인 ‘배추흰나비의 변이 연구’에서 그는 16만 마리가 넘는 나비의 형태, 무늬,
색채
, 모양, 길이를 조사해 이를 수치화했다. 그리고 학계에 보고된 20여 종의 나비가 실제로는 배추흰나비의 아종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후 석주명은 10여 년간의 변이 연구를 통해 조선 나비를 250여 종으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