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들보
광선
빈 상태
텅 빔
공허
빔 프로젝터
BIEM
뉴스
"
빔
"(으)로 총 449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성·SK가 '입도선매'하는 양성자가속기…"우주·반도체 패권 다툼에 성능 높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1.10
com 경주 양성자가속기는 평균 가동률이 96%에 달할 정도로 인기가 많다. 이 단장은 "연간
빔
서비스 일수의 40%를 국내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서 활용한다"며 "일부 중소기업도 사용을 의뢰하는 등 점점 수요가 커져 올해 하반기에는 시범적으로 24시간 운영을 진행하고 있다"고 ... ...
중이온가속기 '라온' 내부 자료, 사립대 교수 논문에 '버젓이'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치료 물질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5월 저에너지 구간
빔
가속과 인출에 성공한 라온은 7월부터 저에너지 실험장치인 ‘코브라(KoBRA‧되툄분광장치)를 이용한 실험에 돌입했다 ... ...
콘택트렌즈로 홀로그램 즐긴다…히알루론산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0.29
디바이스를 소형화할 때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메타표면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전자
빔
리소그래피 등의 공정은 비용이 많이 들고 임프린트 공정은 생체에 유해한 물질을 사용한다는 문제가 있다. 안경처럼 쓰고 벗는 AR 디바이스에서 더 나아가 콘텍트렌즈 형태의 AR을 구현하려면 비용이 ... ...
사람 체온·공장 배관에서 에너지 수확하는 섬유형 열전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4.10.21
제공 연구팀은 무기 열전 소재를 실 형태로 만들어 한계를 극복했다. 나노 리본을 전자
빔
으로 연속 증착한 뒤 이를 실 형태로 꼬아서 비스무트 텔루라이드(Bi2Te3) 무기 열전 섬유를 만들었다. 기존 열전 소재보다 기계적 특성이 뛰어나 1000회 이상 반복적으로 구부리고 잡아 늘여도 전기적 특성 변화가 ... ...
韓 과학자들, 초강력 레이저로 양자전기역학 기본 현상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4.10.21
개의
빔
으로 가른 뒤 하나는 기체에 집속시켜 고에너지 전자를 발생시키고 다른 레이저
빔
은 기체에서 발생한 전자와 충돌시켰다. 실험 결과 전자 한 개와 300개 이상의 레이저 광자가 충돌하면서 하나의 감마선 광자로 변환됐다. 비선형 콤프턴 산란을 실험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남 ... ...
"연구용원자로, 양자컴퓨터·소아백혈병 신약 등 첨단기술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등 연구목적으로 쓰이기 때문에 접근성도 좋게 설계됐다. 원자로에서 생산된 중성자
빔
은 아주 작은 단위를 잴 수 있는 '자'처럼 활용된다. 물질 내부가 어떻게 생겼는지, 무엇으로 이뤄졌는지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수준으로 측정할 수 있다. 김 단장은 "중성자는 전하가 없어서 다른 입자보다 ... ...
3D프린팅으로 극한 우주환경 버티는 신소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3D프린팅 기술인 레이저 분말 베드 용융(LPBF) 공법을 활용했다. LPBF는 고에너지 레이저
빔
을 사용하고 얇은 금속 분말 층을 녹여 한 층씩 적층하는 금속 3D프린팅 기술이다. 복잡한 형상의 경량 부품 제조에 적합해 우주·항공 산업과 같은 극한 환경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연구팀은 LPBF 공법을 ... ...
[의학바이오게시판] 플래시 방사선치료 연구로 한일의학물리학회 우수 포스터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연구팀은 양성자(수소)를 가속해 빠른 속도로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는 플래시 양성자
빔
시스템을 구축하는 성과를 이뤘다. 이 밖에도 방사선 조사 범위를 만들기 위한 세포 및 소동물 실험용 다엽콜리메이터 시스템 개발 등 플래시 방사선치료의 실용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한 성과를 ... ...
[사이언스게시판] 에너지연,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MOU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9
이용 경쟁률이 2024년 상반기에는 4.17:1에 달할 정도로 수요가 증가했다. 연구단은
빔
서비스 제공 시간을 기존 8시간에서 24시간으로 대폭 확대해 이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표다. 올해 시범운영을 거쳐 2025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재상 양성자과학연구단장은 ... ...
저절로 입혀지는 아이언맨 슈트 가능케 하는 '나노로봇'
과학동아
l
2024.08.17
말한다. 회절 한계는 빛의 파장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파장이 비교적 더 짧은 전자
빔
을 활용하면 더 미세한 구조를 만들 수는 있지만 로봇 역할을 하기 위한 기계적 움직임을 구현하는 것은 쉽지 않다. DNA를 이루는 염기(A-T, C-G)의 상보적인 결합 성질을 활용해 다양한 나노 구조물을 만든다. 이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