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막
뉴스
"
불모지
"(으)로 총 53건 검색되었습니다.
[게놈과 인류사]"말 없는 수천 년 전 인류사, 게놈이 밝힐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그것을 가장 경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연구 환경이 좋던 독일에서 이 분야의
불모지
인 한국에 돌아온 데 대해 “이미 자료 수집과 분석, 해석 등에 특화돼 여러 번 호흡을 맞춘 국제 ‘드림팀’이 있기에 한국에서 연구해도 부족함이 없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특히 동아시아 쪽 ... ...
한국 광학과 레이저 연구 개척자 신명 이상수 선생님의 10주기를 추모하며
2020.05.09
받는다. 고인은 사회적 약자에게는 다정했다. 하지만 법과 원칙에 엄격했다. 전후
불모지
였던 과학기술 분야를 키우려는 신념과 열정을 지금도 많은 제자들이 따르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얼마나 힘든 여정이었는지 지금에서야 깨닫고 있다. 항상 가르침을 주던 고인의 빈자리가 요즘 들어 ... ...
[과학기술의 큰 걸음]문익점 목화씨 들여오듯 천연물 연구의
불모지
를 개척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잡았다. 당시 대학의 연구 환경은 척박했다. 1970년대는 한국 바이오 연구가 그야말로 ‘
불모지
’던 시절이다. 물리와 화학 연구와 달리 생물학 연구는 엄두도 내지 못했다. 재료도 연구비도 없고 장비나 시설 지원도 기대하기 어려웠다. 천연물은 더했다. 김 교수가 부임했을 때 한국에서 발표된 ... ...
[과학기술의 큰 걸음]"포니 프로젝트는 지금도 진행형"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힘써온 다른 숨은 주역들에게도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자동차 생산
불모지
한국에서 차량 국산화는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기적’이라고 할 만한 사건이었다. 1960년대만 해도 국내엔 자동차 산업이라고 부를 만한 기반이 없었다. 그 역시 처음부터 ‘준비된 인재’는 아니었다. ... ...
과학동아 사이언스 보드 함께 탈 연구자 3人
과학동아
l
2020.03.14
오 석좌교수는 2002년부터 인간형 로봇 연구에 매진해오며 원천기술 하나 없던 로봇
불모지
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을 만들었다. 2004년 국내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인 휴보를 개발한 뒤 2005년 얼굴에서 다양한 표정을 지을 수 있는 ‘알버트 휴보’, 2008년 시속 3.6km로 뛸 수 있는 ‘휴보II’ 등을 ... ...
'포니 프로젝트'는 진행형...국산 車 신화 새롭게 쓸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힘써온 다른 숨은 주역들에게도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자동차 생산
불모지
한국에서 차량 국산화는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기적’이라고 할만한 사건이었다. 1960년대만 해도 국내엔 자동차 산업이라고 부를 만한 기반이 없었다. 서울대에 개설된 자동차공학전공조차 제대로 된 ... ...
발사체 스타트업 '페리지' 공동창업자 등 9인 '차세대공학리더'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자력으로 건설하고 교내 로켓 동아리’RC423’을 창설하는 등 항공우주 분야
불모지
인 포스텍에 우주기술 연구의 기반을 마련한 포스텍 기계공학과 4학년 이정락 씨(위 사진)가 선정됐다. 이 씨는 “발사장 건축을 위한 재원 마련부터 설비 설계, 설치 등을 위해 300여 장에 달하는 기획서를 3개월간 ... ...
쥐 한 마리에 데이터 400개...인류 희귀병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5
이런 쥐는 8500건 등록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한국은 최근까지 이 분야의 ‘
불모지
’였다. 하지만 사업단이 2013년 발족하면서 인프라와 분석기술을 마련해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지금은 어엿한 컨소시엄의 일원으로 데이터를 공유하고 있다. 복진웅 연세대 의대 교수팀이 쥐의 청각을 ... ...
임정수립 100년 한반도 하늘에서 이뤄진 최초의 시도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8
발달을 바라” 한국 최초의 비행사로 알려진 안창남이 1922년 12월 10일 항공우주과학의
불모지
였던 한국을 방문해 비행을 하며 남긴 말이다. 수만 장의 전단지에 이 문구를 새겨 공중에서 배포했다. 이후 한국은 국산1호 비행기 ‘부활호’, 차세대 한국형 전투기 KF-X 등을 개발하며 세계 10위권 ... ...
“동토에 숨었다 피는 ‘씨범꼬리'에서 북극식물의 인내 배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첫 연구기관인 극지연구소가 설립될 때부터 북극 생물 연구에 참여했다. 국내에서는
불모지
와 같은 분야였다. 이후 한국의 북극기지인 다산과학기지가 있는 스발바르와 미국 알래스카, 그린란드 등을 거의 매해, 때로는 한 해에 두 번 이상 방문하며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지금까지 다녀온 북극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