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82건 검색되었습니다.
질문이 깊어지면 탐구가 시작된다…'과학동아AiR'로 탐구·발명·논문 작성 도전한 학생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발명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한다. "'물은 왜 온도에 따라
부피
가 변할까?'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얼음은 왜 물보다 가볍지?', '다른 액체들도 얼면 다 뜨는 걸까?' 같은 궁금증이 꼬리를 물었어요. 대화가 이어지니까 생각이 깊어 졌어요." 그는 과학동아AiR를 "궁금한 걸 쉽게 ... ...
최고과학기술인상에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메모리반도체 분야 공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반도체 소자의 평면 집적도 발전이 한계에 다다르면서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시작으로
부피
집적도 경쟁으로 바뀌고 있다. HBM은 반도체 회로의 선폭을 좁히는 대신 소자를 3차원(3D) 구조로 쌓아 올린 메모리다. 황 교수는 현재 AI의 작동 방식이 엄청난 양의 전력과 자원을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 ...
청정수소 품은 암모니아 분해 효율, 신개념 촉매로 3배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촉매는 기존 촉매 대비 활성화 에너지가 약 20% 낮고 수소 생성률은 1.7배 향상됐다. 단위
부피
당 암모니아 분해 성능도 기존 합성법 대비 3배 이상 높아 성능과 경제성을 모두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이끈 구기영 책임연구원은 “이번 기술은 기존 나노촉매 제조의 복잡성과 비용 문제를 ... ...
뇌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6.28
부피
가 더 컸습니다. 전두엽은 대뇌의 가장 앞쪽에 위치한 부위입니다. 연구팀은 “
부피
차이가 나는 부위는 주로 감정 등과 관련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여성의 뇌가 감정에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기 더 쉬운 구조임이 드러난 셈입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6월 15일, [질문하면답해ZOOM] 뇌의 ... ...
루게릭병 환자 호흡 상태, 폐활량 대신 흉부CT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3
용적 지수(LVI)와 호흡근 용적 지수(RMI)를 개발한 것이다. LVI는 폐
부피
(㎤), RMI는 호흡근
부피
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연구팀이 LVI 및 RMI와 루게릭병 병기(1~4기)의 연관성을 살핀 결과 병기가 증가할수록 폐·호흡근 용적 지수는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두 지수가 낮은 환자들은 높은 ... ...
4년 뒤 리튬 공급 부족 직면…'대안전지'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저장하고 방출하는 방식이다. 리튬을 사용했을 때보다 에너지 밀도가 낮고 무게와
부피
가 증가하는 것은 풀어야 할 과제다. 나트륨과 마찬가지로 지구상에 풍부한 마그네슘을 이용한 마그네슘이온 배터리도 대안으로 떠오른다. 마그네슘이온은 리튬이온과 달리 이온 전하를 2개 사용하기 때문에 ... ...
[사이언스영상] 과로잡는 문신 스티커
SEIZE
l
2025.06.07
블루투스 송신기를 통해 컴퓨터로 전송해서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다. 장점은 작은
부피
와 가벼운 무게다. 전극의 두께는 0.11mm로 종이 한 장만큼 얇고 무게도 배터리와 블루투스 송신기를 포함해 4.1g으로 100원 동전의 무게와 유사하다. 덕분에 5시간 이상 오래 착용이 가능하고, 운동 중에도 쓸 ... ...
소재 간격 '밀당'으로 화재위험 적은 전고체 배터리 수명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30
연구팀은 실리콘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은 극복할 수 있는 '밀당 전략'을 고안했다.
부피
팽창이 적고 유연한 알루미늄을 실리콘과 섞어 '알루미늄-실리콘(Al-Si)' 합금을 음극으로 활용했다. 유연하게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탄성 회복형 고체전해질(LBHI)' 을 활용해 AI-Si 음극의 팽창과 수축에 따라 ... ...
눈 감아도 보인다…야간투시경 역할 콘택트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어둠 속에서 적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바꿔 시야를 확보하게 해주는 기기다. 야간투시경은
부피
가 크고 작동하려면 전원이 필요한 데다가 초록색의 화면만 제공하는 한계가 있다. 반면 콘택트렌즈는 이런 한계가 없다. 풍부하고 다채로운 색으로 적외선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연구팀이 생쥐와 ... ...
OLED 픽셀마다 다른 소리 스피커 없이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0
넘은 '몰입형 인터페이스' 개념이다. 스피커에서 소리를 내는 부품인 익사이터는 보통
부피
가 크고 진동을 제어하기 어려웠다. OLED의 얇고 유연한 특성과 어우러지기 어렵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디스플레이 프레임 내부에 얇은 피에조 익사이터(piezo exciter)라는 초소형 부품들을 화면에 배치했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