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이러스
병독
세균
비루스
뉴스
"
병원체
"(으)로 총 524건 검색되었습니다.
중증 천식 치료길 열리나…'호중구성 천식' 완화법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0.25
다. 대식세포란 신체 조직 전체에 존재하는 선천면역세포 중 하나로 침입한 외부
병원체
및 죽은 세포 또는 파편을 포식작용을 통해 제거하고 몸을 보호하는 중요한 세포이다. 호중구성 천식을 앓는 마우스에서는 CD39+CD9+ 대식세포의 수치가 1% 이하였지만 IL-23 사이토카인의 활성을 억제하는 ... ...
"코로나19 발원지는 中 우한 시장, 너구리·사향고양이가 매개체"
동아사이언스
l
2024.09.22
감염된 인간이 매우 적거나 아예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화난 시장의 동물들이
병원체
전파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화난 시장에서 판매되던 야생동물은 중국 CDC팀이 표본을 수집하기 전에 모두 제거된 만큼 바이러스에 감염됐다는 직접적 증거를 찾지는 못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는 쥐에 대해 얼마나 알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22
퍼뜨릴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연구팀은 설치류 종의 12%만이 사람을 감염시키는
병원체
의 근원으로 알려져 있다고 했다. 또 사이언스는 섬에 사는 쥐를 대상으로 펼쳐진 세계적인 전쟁을 살펴봤다. 전 세계의 46만5000개 섬은 지구 육지의 5.3%에 불과하지만 섬에 사는 생물 종은 포유류, 조류, ... ...
중국발 박테리아·곰팡이 수백종, 일본 3km 상공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9.11
"3km 상공에서 운반되는
병원체
는 통풍이 잘 되지 않는 실내에서 숨을 통해 유입되는
병원체
보다 훨씬 약하다"며 높은 하늘에 존재하는 병원균의 비밀을 풀기 위해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doi.org/10.1073/pnas.240419112 ... ...
서울 첫 '말라리아 경보…원인은 기후변화·북한 영향?
과학동아
l
2024.09.07
남북한의 말라리아 발생률 비교연구는 북한에서 접경지역의 환자 발생 자료를 공개하고
병원체
의 유전체 자료를 제공하지 않으면 완전히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북한의 말라리아 발생률 변화는 국내 말라리아 발생률 변화에 있어서 작은 변동이라고 생각합니다. 한편 기후변화로 인한 ... ...
"바이오 산업·연구 고도화하려면 첨단 소재 인프라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9.04
자원 은행 274개를 범부처 14대 소재 클러스터로 통합했다. 바이오소재 클러스터는
병원체
, 모델동물, 종자, 야생생물에 이르기까지 바이오산업과 연구 현장에서 활용되는 바이오소재의 효율적 통합 관리와 품질 제고를 위한 주요 소재별 소재 자원은행 거버넌스를 의미한다. 성 소장은 "이전에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운명
2024.08.21
입증하기 위해 배양한 세균을 실험동물에 투여해 위염을 유발하려고 했지만 실패했다.
병원체
는 숙주 특이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하면 성공할 가능성이 남아 있었고 1984년 33살의 마셜이 자청하고 나선 것이다. 이런 우여곡절 끝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 위염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더위에 입맛이 떨어지는 이유
2024.08.07
밝힌 논문이 실렸다. 시상하부의 배쪽안쪽시각교차앞구역(VMPO)에 자리한 뉴런 무리가
병원체
감염을 알리는 면역 신호를 받아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게 조율하는 관제센터였다. 제3뇌실(3V)에 접한 시상하부 표면에 분포한 띠뇌실막세포(tanycyte. 빨간색)는 시상하부 궁상핵(ARH)에 있는 ... ...
유명인 자살, 어떻게 '베르테르 효과' 부르나…수학적 모델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8.01
미치는 부정적 사고의 '전염력'을 더 구체적으로 확인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마치
병원체
가 확산하는 양상을 파악하는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확인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모델은 유명인의 극단적 선택과 같은 새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 잇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자살 확산 위험을 ... ...
콧구멍 깊숙한 곳, 면역세포 키우는 '훈련소'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1
깊숙한 곳까지 닿아 샘플을 채취하기에 용이하다. 조사 결과 비인두 샘플에서 침입
병원체
에 대한 '면역 기억'을 제공하는 세포를 포함해 수백만 개의 면역세포가 발견됐다. 코 뒤쪽에 있어 닿기 어려운 면역기관인 아데노이드에서 활성화된 배중심(Germinal center)이라는 구조체도 확인됐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