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곤충
충
버러지
버그
벌러지
새끼벌레
새끼
뉴스
"
벌레
"(으)로 총 395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전 사고' 체르노빌서 방사선 영향 안받은
벌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3.09
뉴욕대 연구팀이 체르노빌 출입 금지 지역에서 수집된 선충을 현미경으로 확대했다. 소피아 틴토리 제공 30여 년전 원전 사고가 있었던 구소련의 체르노빌 지 ...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체르노빌 지역에서 방사선 영향을 받지 않은
벌레
가 발견됐다. 소피아 틴토리 제공 ... ...
영화 '듄' 모래
벌레
닮은 실제
벌레
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파고들어 해양 생태계가 뒤바뀐 것이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네이처는 “듄의 모래
벌레
로부터 연상되는 일부 성질이 바다에서 발견되는 낯선 유기체와 닮아 있다”면서 “듄을 계기로 이러한 동물에게 알게 되는 것은 굉장하다”고 전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절반을 갈아엎은 상태다. 이는 19세기 프랑스 포도밭을 휩쓴 필록세라(포도뿌리혹
벌레
)나 20세기 중반 중남미 바나나 농장을 초토화시킨 파나마병이 연상되는 대재앙이다. 포도의 경우 저항성이 있는 미국 자생 포도나무를 대목으로 쓰는 접붙이기를 통해 필록세라를 극복했다. 바나나는 파나마병 ... ...
알코올과 마약, 흔적은 반드시 남는다
과학동아
l
2024.03.02
이전보다도 더 이상해 보였다. 대화를 하다가 갑자기 버럭 화를 내는가 하면, 얼굴 속에
벌레
가 기어다니는 것 같다며 벅벅 긁기를 반복했다. 가만, 이거 코카인 중독자가 보이는 모습과 똑같다. 그 순간 법화학실에서 전화가 걸려왔다. 법화학실의 오랜 ‘전문분야’는 마약 감정이다. 마약 검출, ... ...
굶주린 반려동물, 사망한 주인 훼손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1
기반으로 동물이 훼손을 했는지 판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동물의 시체 섭취가 송장
벌레
의 발생 시점에 영향을 미쳐 사망 원인 시간을 추정하는 데 방해가 됐는지 여부도 판단해야 한다고 보았다. 연구팀은 “훌륭한 검시관이나 법의학자 등이 존재한다 해도 증거를 제대로 확보하지 않으면 ... ...
물 표면 뛰어다니는 소금쟁이, 차세대 수중로봇 개발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사실을 확인했다. 크리스 로 미국 코넬대 생물공학과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딱정
벌레
목에 속하는 물맴이(학명 Gyrinidae)가 다리를 마치 배를 젓는 노처럼 활용해 1초당 자신의 몸길이의 약 100배(100BL/s)를 나아갈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8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 ...
DNA·체액만으로 용의자 특정…과학수사의 진화
과학동아
l
2024.01.13
정액 등 체액은 몸 밖으로 배출되면 그때부턴 미생물의 먹이다. 따라서 시체에 꼬이는
벌레
의 수와 종류 등으로 시체 유기 장소를 특정하는 법곤충학과 비슷한 원리로 미생물의 종류와 수를 이용해 체액의 종류를 특정할 수 있다. 대검찰청 과학수사부는 이 점을 활용해 지난 2023년 3월 ‘체액 식별 ... ...
[표지로 읽는 과학]
벌레
잡는 식물의 구조적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1.07
4000km 떨어진 곳에서 비슷한 곤충 포획 메커니즘을 가진 '네펜데스 페르빌리'라는
벌레
잡이식물을 발견했다. 두 종을 비교해본 결과 서로 다른 구조적, 화학적, 기계적 형질을 갖고 있었다. 곤충 포획 메커니즘은 비슷했지만 물리화학적 구조는 서로 달랐던 것이다. 두 종이 곤충을 가장 잘 포획할 ... ...
[과기원NOW] KAIST ‘헤라클레스 인공근육’ 2023년 10대 기술 선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인공근육을 인공 자
벌레
소프트 로봇 분야에 활용한 모습. KAIST 제공. ■ KAIST는 김상욱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2022년 개발한 ‘헤라클래스 인공근육 기술’이 국제화학연합(IUPAC)에서 ‘2023년 10대 유망기술’로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헤라클레스 인공육은 인간의 근육을 모방한 구조를 ... ...
3cm 플랑크톤, 5억년 전 바다 '최상위 포식자'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4
전세계 유일하게 현장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박 책임연구원은 "5억 년 전 화살
벌레
는 먹이를 씹어 먹는 다른 포식자들과 달리 통째로 삼키는 최초의 포식자로 추정된다"며 "먹잇감들이 ‘공포스러운 괴물’을 피해 어떤 생존 전략을 꾀했을지 당시 생태계 진화 양상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