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수
뉴스
"
배나무
"(으)로 총 363건 검색되었습니다.
1초에 3m나 찍! 매미 소변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4.20
매미는 다른 곤충과는 달리 포유류처럼 소변을 물줄기처럼 뿜어 낸다 (왼쪽 매미가 오줌을 배설하는 장면을 가까이서 관찰한 모습). Saad Bhamla et al. 여름철 나무 밑을 지나가다 매미의 오줌 세례를 맞아본 적 있나요. 매미는 하루에 자기 몸무게의 300배에 달하는 나무의 수액을 마십니다. 수액에서 영 ... ...
악천후 오프로드 아랑곳 않는 자율차
동아사이언스
l
2024.04.17
한국기계연구원 이한민 실장이 오프로드 자율주행 환경인식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오프로드 자율주행 시 먼지나 진흙, 눈 등 이물질을 인식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제거하는 환경인식 기술이 국내 최초로 개발됐다. 굴착기, 수색차량 등 산업과 국방 분야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 ... ...
"국산 신품종 '대홍산사' 장질환 개선 효과 20%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왼쪽부터 국산 신품종 대홍산사, 일반 산사와 대홍산사의 크기를 비교한 사진. 한국한의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한국이 개발한 신품종 산사나무 열매인 대홍산사 추출물에서 장세포 사멸 보호, 항염 및 장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효능을 확인했다. 일반적인 산사 대비 장세포 보호와 항염효능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최근 감귤의 가격이 급등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고기반찬이 없으면 밥을 못 먹겠다는 얘기를 들으면 이해가 안 가지만 한편으로는 입맛 취향은 이해의 영역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필 역시 매 끼니 과일을 먹지 않으면 무척이나 아쉽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최근 수개월 사이 식비가 부 ... ...
효모 균주 간 역할 분담했더니, 바이오 연료 생산량 2배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합성생물학 생태계를 이용해 보다 효율적으로 바이오 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신종혁 합성생물학연구센터 전임연구원이 진용수·팅 루 미국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 교수팀과 함께 미생물 생태계에서 효모 균주 간 역할 분 ... ...
[표지로 읽는 과학] 빠른 진화 덕에 포식자가 된 '뱀'
동아사이언스
l
2024.02.25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에메랄드나무 보아’라는 매서운 뱀의 이미지가 담겼다. 에메랄드나무 보아는 신열대구 저지대 우림에 사는 야행성 사냥꾼이다. 잠복해 있다가 잽싸게 먹잇감을 노린다. 뱀은 독특한 외형과 무서운 포식자라는 상징적 지위를 갖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설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눈내린 서울 시내 도로에 뿌려진 염화칼슘. 연합뉴스 제공 도로에 쌓인 눈을 치우기 위해서 소금(염화소듐)‧염화칼슘 등의 제설제를 이용하는 ‘화학전’(化學戰)에 대한 거부감이 빠르게 증폭되고 있다. 무차별적으로 살포하는 제설제가 우리의 삶을 망쳐버리는 ‘화학무기’가 되고 있다는 주 ... ...
사자·코끼리 생태도 바꿨다…사바나 먹이사슬 '싹' 바꾼 개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토종 아카시아 개미들이 유입종 큰머리 개미에 밀려 사라지면서 생태계에 큰 변화가 생겼다 . 메레디스 팔머 제공 작은 개미들이 거대한 코끼리로부터 나무를 보호하고 사자의 사냥 성공률을 떨어트리기도 한다. 제이콥 고힌 미국 와이오밍대 동물생태진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아프리카의 토종 아 ... ...
나무로 만든 세계 첫 풍력 발전 터빈…에너지 생산에 탄소 흡수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1.01
스웨덴 스타트업 모드비온이 스웨덴 남서부에 세계 최초로 건설한 150m 높이의 나무 풍력 터빈 타워 구조물. 모드비온 제공 스웨덴 남서부 베스트라예탈란드주 스카라시 숲엔 거대한 풍력터빈 타워 구조물이 있다. '바람개비' 모양의 거대한 날개가 한눈에 들어온다. 바닥부터 날개 끝까지 길이가 15 ... ...
[표지로 읽는 과학] 17년만에 쏟아져나온 매미 떼, 먹이사슬 바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2
사이언스 제공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 주 표지로 식물 줄기에 매달려 있는 매미 한 마리를 보여준다. 13, 17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땅속에서 지내다 한꺼번에 지상으로 쏟아져 나오는 미국 '주기 매미'가 먹이사슬의 흐름을 바꿔놓고 있다는 연구다. 조 제트맨-피커링 미국 조지워싱턴대 생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