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덩어리
다발
꾸러미
덩이
묶음
보따리
솜뭉치
뉴스
"
뭉치
"(으)로 총 95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고성능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2.12
올라오는 현상이다. 표면으로 올라온 철 나노입자는 촉매 성능을 높이고, 촉매끼리
뭉치
는 문제도 막는 역할을 한다. 김 교수팀은 기존 용출 촉매에 비해 철 나노 입자가 촉매 표면에 더 작고 균일하게 올라올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 고성능 철 용출 촉매를 만드는 최적의 원소와 원소간 비율을 ... ...
‘
뭉치
면 강한’ 검은벌레 로봇에 활용한다면
과학동아
l
2021.03.16
캘리포니아 검은벌레(Lumbriculus variegatus) 얕은 물가나 늪지에 사는 캘리포니아 검은벌레(Lumbriculus variegatus)는 수천 마리가 얽혀 하나의 생명체처럼 행동한다. 이 군집은 흐르는 액체처럼 모양이 자유자재로 바뀌어 ‘벌레 거품(worm blob)’이라고도 불린다. 미국 조지아공대 화학 및 생체분자공학부와 ... ...
반도체 한계·난치 췌장암 극복...과학난제 해결에 도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5
하지만 전자기기 크기가 작아져 반도체 회로 선폭이 10nm 이하로 줄어들면서 원자
뭉치
들이 서로 간섭을 일으켜 제어하기 어렵다. 회로 선폭을 더 줄이면 정보 저장이나 처리가 아예 불가능해진다. 통상 10nm를 반도체 미세 공정의 한계로 받아들이는 이유다. 과학자들은 마이크로칩에 저장할 수 ... ...
혈액세포 만드는 '조혈모세포' 핵심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을 풀어 유전자 발현이 가능하게 해 준다. 이 과정이 잘못돼 DNA가 엉기거나 히스톤이
뭉치
면 유전정보가 손실되거나 유전자 발현이 무절제하게 일어나 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히스톤 샤페론이 이 과정을 방지한다. 연구팀은 모델동물인 제브라피시 1만3000마리를 대상으로 DNA에 무작위로 ... ...
하얀입자 발견된 독감백신 61만 5000개 회수…식약처 "안전성 문제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따르면 백색 입자는 백신의 구성 성분과 주사기 제조방법 등의 차이로 달라붙거나
뭉치
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유통 중에 물리적인 영향으로 시간이 지나면 이 입자가 커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전문가 자문에 참여한 최원석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브리핑에서 “8일 저녁에 전문가 10명이 화상 ... ...
[강석기의 과학카페]세포에는 왜 액체방울이 존재할까?
2020.09.01
그런데 인의 표면에는 지질막이 없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인의 형태가 생체고분자가 실
뭉치
처럼 서로 얽혀 단단한 구조를 이룬 결과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밖에도 세포질이나 핵질(nucleoplasm. 핵 내 액체)에 막이 없는 다양한 구조물이 존재했고 다들 이런 식으로 형태를 유지한다고 믿었다. ... ...
UNIST·삼성전자, 전기 적게 쓰고 정보처리 속도 빠른 반도체용 소재 내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부른다. 질화붕소는 유전율이 3.4 정도인 절연체다. 2차원 소재는 종이를 구기듯
뭉치
면 원자가 무작위로 배열되는 비정질 특성이 나타난다. 비정질 질화붕소(a-BN)는 기존 질화붕소(h-BN)에 비해 훨씬 낮은 유전율을 보여준다.(왼쪽 위 그림) 밀도(오른쪽 위 그래프)와 유전율(왼쪽 아래 그래프)에서도 ... ...
"한 시간에 균 99.9% 제거" 항균 효력 높인 은나노 소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능력을 높이는 방법을 찾았다. 먼저 은나노와이어를 유리 위에 필름처럼 입힌 뒤 전자
뭉치
를 빠르게 발사해 부딪치는 방법(전자빔 조사)으로 매끈하던 은나노와이어 표면을 울퉁불퉁하게 변화시켰다. 이 과정에서 은나노와이어는 표면적이 넓어지고 화학 조성이 바뀌었다. 그 결과 항균 작용을 ... ...
美연구진 "코로나19, 사스보다 더 전염 잘 되는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뜻한다. 이 구조는 사촌격인 사스 바이러스와 비슷하다. 연구팀은 아미노산 섬유가 실
뭉치
처럼 말려 있는 형태인 단백질의 1차 구조인 아미노산에선 3개의 수용체 결합 영역(RBD)을 발견했다. 이 중 하나가 위로 고개를 든 형태를 가져 ACE2에 더 쉽게 달라붙는 것으로 나타났다. ... ...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 두 소행성
뭉치
며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탐사선 '뉴호라이즌스'호가 촬영한 아로코스의 모습이다. 두 개의 소행성이 합쳐진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다. NASA 제공 인류가 가장 먼 곳에서 탐사에 성공한 태양계 외곽 천체인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가 두 소행성이 부드럽게 뭉쳐서 형성된 것으로 분석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