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멸
타파
파괴
실패
무너지기
붕괴
서곡
뉴스
"
멸망
"(으)로 총 109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대도시 폼페이서는 닭·오리 즉석음식 길거리서 팔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7
폼페이의 테르모폴리움 사진. 폼페이고고학공원 제공 2000년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멸망
한 이탈리아의 고대도시 폼페이의 길거리 음식점이 공개됐다. 지금까지 80여개의 길거리 음식점이 발굴됐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보존 상태가 좋아 학문적 연구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평가된다. 화구 벽면에 ... ...
동아시아인 형성 핵심 몽골 인류의 6000년 변천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6
윤신영 기자 이때 형성된 인류는 지금의 동아시아인과는 많이 다르다. 300년 뒤 흉노가
멸망
한 뒤에도 유전적 특징은 계속 변했다. 이 시기에 돌궐과 위구르, 선비 등 인구집단이 흉노가 사라진 지역을 부분적으로 차지했는데, 같은 시기에 이란 등 남동쪽에서 유입한 인류가 유입되면서 이들 ... ...
[프리미엄 리포트] 영화 ‘테넷’ 시간 역행, 현실에서 따라잡기
2020.10.03
먼저 작품을 관람하기를 권합니다. ) 테넷은 ‘인버전(inversion)’을 이용해 세상을
멸망
시키려는 악당 사토르와 이에 맞서 비밀임무 ‘테넷’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인버전은 우리말로 ‘도치’ ‘위치 반전’ 등의 뜻을 가진 단어로 영화에서 사물의 엔트로피를 반전시켜 시간을 ... ...
충돌 확률 0.41% 지름 2m짜리 소행성 지구로 접근한다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20.08.24
의 에너지가 발생하며 서울 크기의 대도시 전체를 파괴할 것으로 추정한다. 공룡
멸망
을 이끈 것으로 추정되는 소행성의 크기는 최소 10km 지름을 가진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300여 개의 소행성이 지구위협천체 목록에 올라와 있으며 새로운 소행성들이 발견되고 있다. 2018VP1은 11월 2일 지구와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
2020.04.16
”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그러나 불행히도 999년 투르크계 카라한 왕조에 사만 왕조가
멸망
하자 이븐 시나의 인생도 극적으로 변하게 된다. 여기저기를 떠돌아다니며 도피, 구걸, 방랑하는 세월이 시작되었다. 그렇게 떠돌이 생활을 하는 와중에도 수많은 책을 썼는데, 대표적인 책이 ... ...
[뉴스페이스&뉴디펜스]우주 모빌리티와 새로운 우주무기의 가능성
2020.03.30
수 있는 수준이다. 위력이 지하 벙커 파괴용 전술 핵무기에 버금간다. 사실상 공룡의
멸망
을 초래한 운석을 인공적으로 만들어서 군사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목표물까지 도달시간은 불과 15분이다. 더군다나 이 무기는 핵무기처럼 방사능 피폭의 우려가 없다. 전 세계 107개국이 지난 1967년 서명한 ... ...
[인류와 질병]불과 철 같은 감염성 질환과 인간의 공진화
2020.03.15
과업이라는 사실을 모두 알아야 한다. 이는 여러 과업 중의 하나가 아니다. 진보냐
멸망
이냐를 결정하는 모든 문제가 바로 이 과업에 달려있다’라고 하기도 했다. 물론 히틀러도 매독을 앓았다. 매독(梅毒)은 매화꽃 모양의 피부 궤양이 생기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가장 유명한 성병 중 하나라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야생동물 식습관만 탓할 일 아니다
2020.02.19
출현이 부쩍 잦아졌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인류가 바이러스의 습격으로
멸망
할 것이라고 우기는 인공지능(AI)도 우리를 불안하게 만든다. 그런데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왔던 감염성 질병(전염병)은 대부분 자연 생태계의 당당한 구성원인 바이러스·박테리아·진균·기생충 때문에 ... ...
'종의 기원' 쓴 찰스 다윈도 진로 때문에 고민했다는데
2019.09.12
달리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맬서스는 인구 과잉으로 인한 인류의
멸망
가능성을 보임으로써 계몽주의적 낙관론을 비판하려 했다. 그는 누가 죽고 누가 사는가를 결정하는 ‘생존 투쟁’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윈은 암울한 현실과 미래가 짙게 배어나오는 이 ... ...
[인류와 질병] 사르데냐섬의 비극
2019.09.01
퍼졌다. 말라리아를 로마 열병(Roman fever)이라고 부르는 이유다. 로마는 결국 모기 때문에
멸망
했다. 사르데냐와 말라리아 Oxitec 제공 아무튼, 이후로 사르데냐는 로마의 일부가 되었다. 오랜 세월 동안 로마의 지배를 받았고, 중세에는 잠시 다양한 왕국으로 분열하여 싸우기도 했지만, 지금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