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심부름꾼
messenger
메신져
전령
MSN
매신저
배달인
뉴스
"
메신저
"(으)로 총 670건 검색되었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 '팬데믹' 위기감…mRNA 백신 개발 속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제약바이오 업계는 H5N1의 급격한 확산에 대비하기 위해선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방식의 백신이 필요하다고 본다. 다른 방식의 백신보다 짧은 시간 안에 백신을 설계하고 생산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변종이 발생했을 때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백신 설계가 가능하다. ... ...
원형 형태 RNA로 표적 유전자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12.18
예정이다. KAIST는 김윤기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원형 RNA를 이용해 세포 내 특정
메신저
RNA(mRNA)의 안정성을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세포 내 유전정보는 DNA에서 RNA를 거쳐 단백질로 전달된다.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단백질의 품질을 엄격하게 ... ...
모더나 RSV 백신 '안전 적신호'로 임상 중단…"백신 회의론 거세질까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모더나의 RSV 백신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에 사용된 기술처럼
메신저
RNA(mRNA) 전달을 통해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모더나의 두 가지 RSV 백신 중 한 가지는 RSV만 단독으로 표적 삼는 백신이고 또 한 가지는 RSV와 같은 계열이면서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메타뉴모바이러스 ... ...
종양에서 분비되는 DNA, 암 전이·재발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3
입자 등의 ‘세포밖 소포체’를 분비한다. 세포밖 소포체에는 DNA, 마이크로RNA(miRNA),
메신저
RNA(mRNA), 단백질 등 다양한 생분자 물질이 포함된다. 이들이 표적 세포에 도달해 물질교환을 하면 세포 간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DNA가 세포밖 소포체에 어떻게 담기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 ...
[사이언스얼라이브2024] "호불호 뚜렷 젊은 세대, 혈기 왕성한 시니어와 소통의 벽 자연스레 허물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교수는 "예전보다는 학생들이 교수를 편하게 대하는 측면도 있는 것 같다"며 "모바일
메신저
등 다양한 소통 수단이 사용되면서 가깝고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해졌다고 본다"며 "이러한 부분에서 시니어와 주니어의 거리를 좁힐 수 있는 지점이 있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시니어 연구자들도 ... ...
SK바이오사이언스 '일본뇌염 mRNA 백신 '호주 임상 계획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일본뇌염 백신 후보물질이 호주로부터 임상 계획 승인을 받았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기술을 활용한 일본뇌염 백신 후보물질 'GBP560'의 임상 1/2상 시험계획이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GBP560은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감염병혁신연합(CEPI ... ...
항암 면역세포, 체내에서 직접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1
형성하는 방식의 항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기본 세포치료제의 복잡한 공정 없이
메신저
리보핵산(mRNA) 주입만으로 대장암과 피부암에 치료 효능을 보였다. 치료 편의성과 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박지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항암 세포치료제의 항암 치료 효과를 ... ...
줄기세포 치료에 생기는 독성 억제하는 '나노 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합성생물학사업단장(의생명과학교실 교수), 박지선 박사, 전하영 연구원 연구팀이
메신저
리보핵산(mRNA)과 화학 약물을 동시에 전달하는 나노입자를 개발해 중간엽 줄기세포(MSC)의 골 생성 분화 및 뼈 재생을 촉진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ACS 나노’에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줄기세포는 ... ...
40분이면 암 진단…유전자가위 기반 진단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5
암 진단 플랫폼 'SCOP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와
메신저
리보핵산(mRNA)을 이용해 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혈액에서 암 관련 유전자를 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어 40분 내에 유전자증폭검사(PCR) 보다 정확한 암 진단이 가능하다. ... ...
[사이언스영상] 노벨 생리의학상 마이크로RNA가 중요한 이유
SEIZE
l
2024.10.08
모두 DNA에 저장돼 있다. DNA는 암호화된 데이터라 이 정보를 쓰려면 DNA 정보를 mRNA(
메신저
RNA)라는 형태로 바꾼 다음 이 mRNA 정보를 읽어서 단백질을 만들어내야 한다. 단백질은 우리 몸에서 활약하며 특정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전체 과정에서 마이크로RNA는 mRNA에 붙어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