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대기
지팡이
장대
지팡막대
스틱
지팽이
회초리
뉴스
"
막대
"(으)로 총 28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초 '다이아몬드 광결정' 구현…디스플레이 혁신 이룰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때문이다. 연구팀은 2020년 소프트 나노 재료인 DNA 오리가미를 통해 직접
막대
연결형 다이아몬드 광결정이 구현 가능하며 광밴드갭을 가장 크게 열 수 있다는 점을 이론적으로 밝혀냈다. 이번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다이아몬드 광결정을 구현해 광밴드갭 구조 기반 광반사를 적외선·가시광 ... ...
시간당 100mm 우습게 넘기는 극한호우 시대…최선의 대비책 있나
2024.05.18
사용해 같은 기간 강수량을 예측한 결과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시간당 120~180mm 사이에
막대
그래프가 빼곡하게 그어졌다. 2095년부터 2100년 사이 시간당 120~180mm 강수가 총 13번이나 올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시간당 100mm의 폭우는 50년 빈도, 110mm의 폭우는 100년 빈도로 불린다. 2022년 8월 서울 및 ... ...
내 몸의 '진짜 나이' 알려주는
막대
크기 DNA칩
동아사이언스
l
2024.04.24
메틸화를 가장 간단하게 측정하는 방법은 DNA를 활용하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작은
막대
기 크기의 칩만 있으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메틸화 기반 생체나이를 측정하는 방법은 이렇다. 먼저 소형 칩에 특수 처리된 DNA를 넣는다. DNA는 혈액에서 추출한 뒤 화학처리를 가해 조사할 수 있는 상태를 ... ...
애벌레도 60초면 출혈 멈춰…"지혈 약물 개발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3.27
10~15초 이후 애벌레의 상처에서 떨어지는 혈림프의 모습을 관찰한 사진. 길게 늘어지는
막대
구조가 혈림프의 점탄성이 증가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frontiers 제공 분석 결과 혈림프는 처음 약 5초 동안은 물과 비슷하게 흐르며 아래로 떨어졌다. 절개 후 10~15초부터 혈림프는 급격하게 끈적해지며 ... ...
귤을 많이 담으려면…귤포장에 숨은 수학
과학동아
l
2024.02.10
실험했다. 나노입자 7개를 소포에 집어넣어 소시지와 덩어리 모양으로 만든 모습. 흰
막대
의 길이는 5um. 2·3 다익스트라 교수팀이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견한 구 58개(2)와 64개(3)의 최적 배열. 살짝 잘린 정팔면체 형태로 구를 쌓으면 된다. Nature Communications 제공 ● 구 쌓기 문제, 순수수학과 응용과학 ... ...
[과기원NOW] DGIST, 빛으로 작동하는 신개념 광 GPU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통해 안정적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다공성 3차원 나노
막대
니켈 촉매 전극은 동일한 양의 니켈을 기존 박막 구조로 사용했을 때보다 수소 생산 효율이 55배가량 향상됨을 확인했다.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는 어떻게 될까
과학동아
l
2024.01.06
카페 같은 식품접객업소와 집단급식소 매장 내에서 종이컵과 플라스틱 빨대, 젓는
막대
를 사용할 수 없다. 그리고 그전까지 편의점, 슈퍼마켓 등 종합소매업에서 유상으로 판매하던 비닐봉투는 전면 사용 금지되며 일회용 플라스틱 응원용품, 우산 보관용 비닐 또한 사용 금지된다. 이에 따라 202 ... ...
햇빛만으로 자가발열 극대화한 금나노입자 필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03
광학·광열 성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유리기판 위에서 잉크 형태로 개발한 금 나노
막대
필름을 시험한 결과 가시광선 파장영역대의 빛을 쬐는 것만으로 방빙·제빙 역할까지 해낼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얇은 필름 혹은 페인트 형태로 응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 ...
빅뱅 직후 초기 우주에 만들어진 '나선
막대
은하'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3.11.10
인식할 수 있으며 정체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막대
나선은하 속
막대
모양이 형성되는 속도에 암흑 물질의 중력이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 은하는 별과 입자가 서로 뭉쳐지면서 생성된다. 입자끼리 서로 끌어당기는 중력만으론 은하가 만들어지기 어려워 눈에 보이지 않는 ... ...
뇌 없어도 과거 경험 학습하는 해파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9.25
데 성공할 때마다 심장박동을 조절하는 신호를 생성했다. 전류가 흐르도록 처리한 회색
막대
를 로팔리아에 갖다 댈 때마다 이 기관에선 심장박동을 조절하는 생체신호가 지속적으로 분비됐다. 상자해파리는 장애물을 피하는 방법을 학습하기 위해 시각적인 자극과 기계적인 자극을 결합한다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