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수리
뉴스
"
두정
"(으)로 총 56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내 몸에 맞는 생체시계 공부법
동아사이언스
l
2021.11.16
뇌파인 델타파를 억제해 뇌 활동을 빠르게 합니다. 기억력을 담당하는 좌뇌 측두엽과
두정
엽피질의 활성도 높아지죠. 푸른빛은 백열등과 형광등보다 LED 조명에서 더 많이 나옵니다. 시험 보는 날 더 맑은 정신을 위해 LED 조명을 써보는 건 어떠신가요? ※원문참고 과학동아 2011년 06월호 ‘내 ... ...
[카드뉴스] 긁으면 긁을수록 더 가려운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10.19
됩니다. 통각 수용체인 자유신경종말이 히스타민에 의해 자극을 받으면, 대뇌피질(
두정
엽)은 이 자극을 가려움이라고 판단하게 됩니다. 가려움은 통증의 일종입니다. 미국 워싱턴대학교 첸 조우펭 교수팀은 고통에 반응하는 ‘BRAF’ 유전자가 활성화되도록 조작한 실험쥐의 행동을 관찰했습니다. 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 에렉투스, 사건의 재구성
2021.04.27
한편 유인원에서
두정
엽과 후두엽 사이에 초승달고랑이 있지만 현생인류에서는
두정
엽 뒤쪽이 팽창하면서 사라졌다. 따라서 고인류학자들은 호모속 인류가 진화했을 때 뇌가 커졌을 뿐 아니라 이런 형태의 변화도 일어났을 거라고 추측했다. 그럼에도 초기 호모속 인류의 두개골 화석 대다수는 ... ...
아프냐? 나도 아프다…한미 연구팀 "침 치료, 환자-한의사 상호작용 클수록 효과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효과도 컸다”고 말했다. 연구진이 fMRI를 분석한 결과 이때 환자와 치료자의 뇌 측구
두정
접합영역(TPJ)도 모두 활성화됐다. 뇌에서 TPJ는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는 사회성에 관여하는 부위로 알려져 있다. 정 선임연구원은 “침 치료가 뇌의 특정 부위를 활성화시킨다는 것은 침 치료의 뇌과학적 ... ...
‘시간 왜곡’ 뇌에서 증거 찾았다
과학동아
l
2020.10.07
fMRI)을 촬영해 알아봤다. 그 결과 모든 피험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오른쪽 하
두정
소엽의 모서리위이랑(SMG·supramarginal gyrus) 활성도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활성도가 많이 감소한 피험자일수록 주관적으로 느끼는 시간과 실제 시간 사이의 차이가 컸다. 뇌의 모서리위이랑의 활성도가 떨어지면 ... ...
"뉴런 연결까지 보이는 나노 수준 뇌지도가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026년 뇌 기능을 알 수 있는 뇌지도를 완성하는 게 목표다. 라 단장은 “이번 연구에서 후
두정
피질과 'LP'라는 시상 영역 간의 상호 연결신호가 강하게 나타났다"며 “연구원이 보유한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시냅스 수준에서 뉴런과 뉴런이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 나노 수준의 뇌지도를 그리는 연구를 ... ...
알츠하이머 치료제 나올까…새로운 유전인자 찾았다
연합뉴스
l
2020.09.28
데이터도 활용했다. 연구팀은 뇌 자기공명영상(MRI) 분석을 통해 이 새로운 유전자가
두정
엽과 후두엽의 뇌 위축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기존 아밀로이드·타우 단백질에 의한 뇌 위축 패턴과는 달랐다. 생물 정보학 분석 결과 해당 유전 인자는 항산화 효소 대사와 관련된 ... ...
약 300만년 전 인류의 조상 '루시' 두뇌 유인원에 더 가까워
연합뉴스
l
2020.04.02
특징을 보여왔는지는 분명치 않다. 유인원 두뇌는 감각 정보를 처리하는 통합 중추인
두정
엽(頭頂葉)과 후두엽(後頭葉) 조직에서 인간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데, 후두엽의 일차시각피질 앞 경계에 초승달 모양의 고랑인 월상구(月狀溝)를 갖고 있다. 이 월상구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에서 뒤로 ... ...
낯선 그곳에서 그날의 공포가 되살아 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뇌연구원 연구팀 낯선 곳서 재발하는 공포기억 원인 규명 트라우마와 공포기억에 대뇌 후
두정
피질 역할 이번 연구를 주도한 구자욱 책임 ... 본격 착수했다. 사회성 및 인지행동과 관련된 동물모델 연구를 지속해 2026년까지 후
두정
피질 중심의 ‘행동-활성 뇌지도’를 구축하는 게 목표다. ... ...
고통에 대한 부정적 감정만 들어내는 신개념 진통제 개발 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3
쥐가 아주 뜨겁거나 차가운 물방을을 만져 통증을 느끼게 했다. 그 결과 통증을 느끼는
두정
엽 영역은 여전히 활성화했지만, 고통을 느끼는 편도체 영역은 활성화되지 않았다. 만성 통증 환자들은 육체적 고통 그 자체보다는 감정적 불쾌감에 더 고통을 느낀다. 만에 하나 육체적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