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개물
매질
매체
전도체
뉴스
"
도체
"(으)로 총 118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소재 '중고 신인' 강유전체...신경모방 컴퓨팅 미래 밝힌다
과학동아
l
2023.04.29
조교수를 거쳐 2021년부터 서울대에 재직 중이다. 강유전체 산화물을 이용한 반
도체
소자 응용 및 에너지 소자 응용에 대해 주로 연구하고 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4월, [5년 후, 과학은] 미래를 위한 오래된 신소재 ... ...
뇌 신경 모방한 다진법 구현 반
도체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사용했다. 이산화바나듐은 바나듐과 산소가 1:2의 비율로 결합된 산화물 반
도체
다. 온도나 압력 등 외부 자극에 의해 금속상에서 절연체상으로 전기적 특성이 바뀌는 특징이 있다. 특히 이산화바나듐은 특정한 형태로 실리콘이나 유리 등의 기판 위에 있을 경우 기판과의 상호작용에 따라 발생하는 ... ...
페인트 칠하듯 발라 저렴하고 성능 좋은 태양전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후면 계면 제어는 태양전지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다. 그 결과 기존 부
도체
산화물을 사용한 것보다 전하를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고 전기적 결함도 제거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CIGS 태양전지의 '용액 코팅법'의 원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지난 10년간 연구를 지속해 왔다. 기존에는 ... ...
차세대 정보소자 구현할 새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준금속은 두 에너지 띠의 교차 마디가 ‘선(line)’ 형태로 존재하는 물질이다. 위상부
도체
등 일반적으로 에너지 띠 교차 마디가 점 형태로 존재하는 다른 위상물질들과 달리 위상 마디선 준금속은 위상학적인 특이성이 길게 이어진 선 형태로 존재하기에 다른 위상물질보다 더 민감하고 강한 위상 ... ...
노벨상 수상 클릭반응으로 고성능 탄소나노튜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30
분자의 반응으로 이뤄진다. 연구팀은 아자이드 분자가 도입된 고분자를 합성한 뒤 반
도체
성 탄소나노튜브를 감아 분리했다. 그리고 알카인 고분자를 유리기판 위에 합성했다. 알카인이 고정화된 기판을 아자이드 고분자가 감긴 탄소나노튜브 용액에 넣으면 클릭반응을 거쳐 탄소나노튜브 필름이 ... ...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 '페로브스카이트' 상용화, 한국이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티탄산칼슘(CaTiO3)'처럼 ‘ABX3’ 형태의 화학식을 갖는 결정구조로 부
도체
·반
도체
·
도체
의 성질은 물론 초전도 현상까지 보이는 특별한 구조의 금속 산화물을 통칭한다.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받는 동시에 발광 효율과 색 순도가 높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 ...
차세대 양자 소재 물성 측정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8.23
구성해 외부 환경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높였다. FGT는 이차원 상태에서 자성과
도체
성을 띠는 양자위상 물질로 차세대 양자스핀 및 정보소자 구현의 핵심 소재로 주목받는다. 그 결과 스핀의존 전자터널링분광법을 이용해 FGT의 고에너지 스핀의존 전자구조를 측정할 수 있었다. ... ...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상용화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페로브스카이트는 CaTiO3처럼 ‘ABX3’ 형태의 화학식을 갖는 결정구조로 부
도체
·반
도체
·
도체
의 성질은 물론 초전도 현상까지 보이는 특별한 구조의 금속 산화물을 통칭한다.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도 주목받고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광소재는 발광 효율과 색 순도가 높아 ... ...
2차원 소재 잉크로 만들어 저전력 반
도체
소자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7
한 대면적 소자 제작 기술을 마련하면 실제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고성능 반
도체
소자를 맞춤 제작할 수 있으며, 복잡한 공정 없이 용액공정만으로 제작 가능하다는 점도 큰 장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의 성과는 신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지난해 1 ... ...
두께 따라 초전도성 변하는 물질 단층으로 만드는 기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03
또
도체
와 초전도성을 갖는 3차원 결정과 달리 단층 결정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
도체
특성을 지녔음을 밝혔다. 연구팀은 이론계산과 여러 실험을 통해 단층 결정의 속성이 달라진 원인을 밝혀냈다. 그 결과 IrTe2의 성질이 변한 것은 층 사이 활발한 상호작용이 원인으로 드러났다. 기존 3차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