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눈금"(으)로 총 3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짬짜면 과학 교실] 과학 공부의 첫걸음2018.01.13
- 일도 필요합니다. 관찰 대상의 크기와 길이와 무게와 온도가 얼마인지를 알아내려면 눈금 실린더와 자와 저울과 온도계를 준비해 쓸모에 맞게 반복해서 측정해야 합니다. 사물들에는 공통적인 성질도 있고 각각의 특별한 성질도 있습니다. 관찰 대상의 공통점은 무엇이고 특성은 무엇인지를 ... ...
- 우리 몸을 입체모형으로 배워 보자! ‘사이언스크래프트’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04.26
- 그릴 수 있어요. 우선 적당한 위치에 한 변을 그어요. 그 다음 그려진 변 위에 자의 눈금이 포개지도록 위치를 조정해요. 한 손으로 자를 잡고, 나머지 한 손으로 그리면 완성! 정한길 기자 제공 ● 입체모형으로 재밌게 우리 몸속을 배워요~! 사이언스크래프트 종이 공작을 이용해 우리 몸 곳곳을 ... ...
- 몸으로 배우는 수학, 성적이 쑥쑥!2017.02.19
- 기하학적 도형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었지요. 마지막으로 세 번째 그룹은 연필, 종이, 눈금자 등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수업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GIB 제공 연구진은 6주 후 위와 같이 세 가지 방식으로 진행된 수업에 참여한 아이들의 표준화된 국가 수학 시험 결과를 모아 분석했습니다. 그 ... ...
- [후루룩촵촵] 노릇노릇한 고등어를 구워라!!!동아사이언스 l2017.01.23
- 끝부분이 생선의 몸 가운데에 가도록 비스듬히 찔러 내부온도를 쟀습니다. 온도계의 눈금이 40℃, 50℃, 60℃, 70℃를 가리킬 때마다 한 마리씩 꺼내 관찰했는데요. 안쪽을 40℃까지 구운 고등어는 투명한 기가 감돌 만큼 익지 않았고, 50℃까지 구운 고등어도 충분히 익지 않아 맛있게 먹을 수 ... ...
- [영상] 온도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2017.01.18
- 100등분한 것입니다. 체온을 재면 온도계 속에 들어있는 물질이 팽창하면서 36.5라는 눈금을 가리키죠. 그런데 미시세계를 다루는 물리학자들의 온도의 정의는 조금 다릅니다. 계를 구성하는 분자나 원자의 운동에너지 평균값을 의미합니다. 절대영도인 영하 273℃는 모든 입자의 운동에너지가 0이 돼 ... ...
- 오늘 밤 11시 별이 비처럼 쏟아진다?...유성우 그것이 궁금하다동아사이언스 l2017.01.03
- 않고 있지만, 1월달 유성우의 이름으로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참고로 사분의는 90도의 눈금이 새겨져 있는 부채 모양의 천체 고도 측정기를 말합니다.) 1825년 출간된 별자리지도에 나타난 사분의자리 (왼쪽 위) - Wikipedia 제공 그렇다고 복사점만 바라보고 있으면 오히려 관측하기가 더 어렵다고 ... ...
- 스스로 움직이는 인형 ‘오토마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12.30
- 원을 그린 뒤,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그으면 2등분이 된답니다. 이 직선과 방안자의 눈금을 일치시킨 채로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그리면, 두 직선이 수직이 되면서 원을 4등분하게 되죠. 8등분선은 이 4등분선을 45°로 나누면 돼요. 방안자의 작은 사각형은 정사각형이기 때문에, 앞서 그린 ... ...
- [생활의 시선 43] ‘직업인’으로 산다는 것2016.12.10
- 인간관계가 해당 직업의 고회를 가늠하는 실질적인 잣대나 저울이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눈금은 ‘인격’ 혹은 ‘인권’ 문제의 부피나 무게에 비례할 것이다. 그리고 그 인간관계에서 생긴 신뢰나 상처는 기쁨이나 슬픔, 고마움이나 섭섭함, 희망이나 절망을 직업인의 마음에 새겨놓는다. 그럼에도 ... ...
- 과식해도 되는 유일한 이유2016.09.17
- 더디 가더니, 추석 연휴는 쉬이 간다. 그사이 과식한 탓에 아마도 많은 이의 허리띠 눈금이 한 칸 후퇴하지 않았을까. 천고마비(天高馬肥)의 계절에 한가위 ‘달은 밝고 사람은 살졌으니’ 월명인비(月明人肥)하였겠다. 그 결과에 과식 자체도 기여했겠지만 명절 음식은 비교적 열량이 높은 편이다. ... ...
-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초미세를 측정하면 과학혁명이 보인다동아일보 l2016.04.05
- 아주 작은 자를 준비해서 소금에 가까이 가져간 다음 엄청나게 좋은 현미경으로 보면서 눈금을 읽으면 되는 거 아닐까? 여기에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이렇게 작은 자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다. 당신이 사용하는 자도 원자로 되어 있다. 눈으로 자를 보면 매끈한 모양이지만, 점점 배율을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