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녀석"(으)로 총 1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살아있는 화석 폐어와 실러캔스, 엇갈린 운명2021.01.26
- 상상 이상이다. 언제 한 번 호주폐어가 있는 수족관을 찾아가 수억 년의 숨길을 지닌 녀석들을 지켜보는 것으로 만족해야겠다. 수억 년 전 물가에 살던 실러캔스는 폐어와 마찬가지로 폐가 있었지만 깊은 바다에서 적응한 현생 실러캔스에는 흔적 기관으로만 남아있다. 지난 2015년 실러캔스 태아 ... ...
- [인간 행동의 진화] 열대어의 화려함은 투쟁의 산물2021.01.24
- 통해서 진화했다. '나는 분명 너의 종이 아니라고!'라는 색채 신호를 분명하게 보내는 녀석일수록 아들딸 많이 낳아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었을 것이다. 인간도 그럴까? 연구는 거의 없다. 그러나 연구를 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 인간도 자신과 ‘비슷한 색’을 가진 동족과 주로 ... ...
- 우연히 만난 운명의 벌레가 ‘갈로아’를 만들다2021.01.23
- 갈로아벌레는 빙하기 추위에 적응해 지금까지 살아있는 질긴 생존력을 가진 녀석이었다. 결국, 나는 이 곤충의 강한 생존력과 독특한 매력의 빠져 과학자의 길을 택했다. 그리고 특이한 곤충을 채집했다는 핑계를 대며 여러 과학 연구소에 연락했다. 연구소에서 방문할 기회를 주면 나는 갈로아벌레 ... ...
- [프리미엄 리포트] 2021년 '흰소의 해' 소도 스마트 맞춤 관리받는다과학동아 l2021.01.01
- 소 사이에서 어떤 소가 가장 나이 많은 영감인지, 어떤 소가 얼마 전에 치료를 받은 녀석인지 알아낼 수도 있다. 2021년 신축년을 맞이해 스마트한 소의 건강생활을 확인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외양간은 과거 소나 말을 기르는 곳이었다. 부서진 외양간을 고치지 않아 소를 도둑맞은 ... ...
- [인간 행동의 진화] 소심함의 진화2020.12.27
- 차이가 사라졌다는 것이다. 소심한 녀석은 ‘좀 늦게 행동에 나섰지만’, 결국 대담한 녀석과 비슷하게 행동했다. 불안이 없는 세상 그러면 좀 더 안전한 세상을 만들고, 차별과 불평등을 없애면 불안이 사라질까? 불안이 심한 사람도 점점 용기를 내어 행동하고, 그러면서 누구나 불안에 ... ...
- [인간 행동의 진화] 언제까지 싸움만 할 것인가2020.12.13
- 평화인가 서론이 너무 거창했다. 흔히 동물 종을 보면, 공격적인 녀석과 평화로운 녀석으로 간단히 나누어 생각한다. 사자나 호랑이는 싸움꾼, 사슴이나 나무늘보는 평화의 동물… 유치원생도 그렇게 나눈다. 사자나 나무늘보를 실제 본 적은 없으면서도 말이다. 하지만 동물행동학자는 ... ...
- [인간 행동의 진화] 텃세의 진화2020.11.29
- 우리는 자신의 영역에 집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자신의 영역 안으로 허락 없이 들어온 녀석을 쫓아냈다. 텃세의 기원이다. 여기는 내 땅이다 유리 안드레예비치 지바고가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이게 무슨 일인가? 그의 저택에는 여러 사람이 집주인 허락 없이 자리를 잡고 살고 있었다. ... ...
- [인간 행동의 진화] 점성술과 인플루엔자2020.11.22
- 점성술의 발달 해와 달, 다섯 개의 별(정확히 말하면 행성)에 기반한 점성술은 ‘작은 녀석’도 무시하지 않았다. 하늘에는 수많은 별이 있었고, 별을 몇 개 이으면 적당한 별자리가 만들어졌다. 황도 12궁이다. 고대 바빌로니아에서 시작된 전통이다. 춘분점을 중심으로 태양이 그리는 원궤도를 3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대사와 후성유전학2020.11.17
- 다른 쪽에서는 소금물을 투여하는 실험을 8일에 걸쳐 반복했다. 그 뒤 쥐를 우리에 넣자 녀석들은 시간 대부분을 과거 에탄올을 투여받은 공간에서 머물렀다(음주의 추억!). 참고로 알코올 의존증 치료를 받은 사람이 과거 술을 마시던 환경을 접하면 음주 욕구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진다는 사실이 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2020.11.03
- 없을 것이다. 하물며 꿀벌이 보는 비스펙트럼 색은 말할 것도 없다. 다만 행동실험으로 녀석들도 우리처럼 뇌에서 비스펙트럼 색을 스펙트럼 색과 다른 색으로 본다는 것만 알 수 있다. 조명이나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색도 공간 그래프를 보면 왼쪽 아래 380㎚에서 시작해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