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환희
즐거움
희열
행복
환락
희락
쾌락
뉴스
"
기쁨
"(으)로 총 321건 검색되었습니다.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
과학동아
l
2024.04.20
도파민 보상회로의 변성이 더 쉽게 이뤄질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도파민 보상회로는
기쁨
과 쾌감을 느끼게 하는데 도파민이 너무 많이 분비될 경우 뇌는 도파민을 적게 생산하거나 도파민과 결합해 작용하는 도파민 수용체의 수를 줄임으로써 도파민의 영향을 조절하려 한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함께 하는 성취가 더 뜻깊다
2024.03.30
큰 의미가 있었던 사건들, 힘겨운 시간 끝에 새 삶을 살게 된 경험 같이 어느 정도의
기쁨
과 의미감이 함께 존재하는 경험들을 뜻 깊었다고 이야기한다. 참고로 긍정적 정서만 있지는 않지만 의미감이 큰,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가장 소중한 경험이었다고 말하는 대표적인 경험에는 '육아'가 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필요악' 스트레스 활용법도 중요하다
2024.03.16
어려운 과제나 장애물, 불안이나 긴장을 넘어서는 경험들이야말로 우리에게 큰 뿌듯함과
기쁨
을 안겨준다. 대부분의 영웅담에 빠지지 않는 것이 고난과 역경을 극복하는 과정인 것처럼 우리가 스스로를 내 인생의 주인공으로 존중하게 되는 데에는 스트레스 경험이 필수적일지도 모른다. 이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들
2024.02.10
수준의 희생을 해도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심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기쁨
보다 서운함이 더 크다. 관계를 좋게 만들겠다고 애쓴 결과가 행복이 아니라 서운함과 후회, 상처받은 마음이라는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또한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타인을 잘 ... ...
현대인 괴롭히는'번아웃' 극복하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24.02.09
일을 멈추고 주위를 둘러볼 때 비로소 삶의 여백을 바라볼 수 있다"며 "삶에서 의미와
기쁨
과 즐거움의 원천을 점진적으로 쌓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글로 쓰는 삶의 '조각'이 '나'를 완성한다
2024.01.06
때에도 3개월 전에 먹은 음식, 친구랑 나눈 대화 같은 정보들이 비슷하거나 혹은 더 큰
기쁨
을 가져다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 삶에 대한 정보라면 어떤 자질구레한 정보라도 다 중요한 퍼즐 조각이 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기록’의 중요성이 드러난다. 내 삶에 대한 기록이라면 단편적인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어둠 속 등불처럼 환한 '황금등불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23.10.21
바랍니다. 그렇게 버섯의 매력을 차차 깨달으면 미지의 대상이었던 버섯이 나만의 작은
기쁨
으로 다가올 것 입니다. 버섯요정이 안내하는 버섯 모험은 여기서 마무리됩니다. 지금껏 함께한 버섯 여행을 통해 독버섯일까 아닐까 걱정하던 야생 속 버섯과 한껏 친근해졌길 바랍니다. (왼쪽부터) ... ...
[주말N수학]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출신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수학동아
l
2023.09.09
” 안형준 연구원은 IMO에 참여한 지 20여 년이 지난 지금도 그때를 떠올리며 얼굴에
기쁨
을 생생하게 드러냈습니다. 그는 수학자가 되겠다는 생각으로 수학과에 진학했지만 대학원에서 위상수학 수업을 듣던 중에 추상적인 분야의 연구가 본인과 맞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고 진로의 방향을 ... ...
인도 무인 달 착륙선, 인류 최초 '달 남극' 착륙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8.24
ISRO) 화상을 통해 찬드라얀 3호의 착륙 카운트다운 상황을 지켜보다가 착륙에 성공하자
기쁨
을 표했다. 모디 총리는 "어느 나라도 이전에 달의 남극에 도달하지 못했다"며 "이번 성공은 인도뿐 아니라 모든 인류의 성공"이라고 말했다. 찬드라얀 3호의 착륙선 비크람은 달의 남극 지대에 얼음과 여타 ... ...
"문제해석이 안돼요"...국제수학올림피아드 직접 체험해 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3.07.12
“재밌잖아요”라고 말했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도전해 보다가 해결되면 재미와
기쁨
이 커진다는 말이다. 김 씨는 시간이 끝날 때까지 3번 문제를 골똘히 고민했다. 그렇게 2시간을 보내자, 집중력이 바닥났다. 4시간 반 동안 꼼짝 않고 문제를 풀려면 어마어마한 집중력이 필요하겠다고 생각했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