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체
조명
광야
벌판
황야
발광물
빛
뉴스
"
광원
"(으)로 총 204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백질 움직임으로 알츠하이머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란타나이드를 포함하는 업컨버팅 나노입자로 희토류인 란탄 계열 원소가 도핑돼 있고
광원
으로 근적외선 빛을 흡수해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특성이 있다. 연구팀은 모터 단백질에 의해 이동하는 나노입자의 속도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정상 세포에서의 움직임과 타우 단백질이 과인산화된 ... ...
예견된 하루살이떼의 서울 '급습'…"유전적 다양성 높아 더 심각해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5.29
처럼 한강 중앙에서 빛을 이용해 대량으로 동양하루살이를 유인해 잡기 위해 어떤
광원
에 동양하루살이가 가장 반응하는지 실험하고 있다. 김 교수는 "상가나 주거 지역에서 조도를 낮추고 암막커튼을 이용해 빛을 차단해야 한다"면서 "딱 동양하루살이는 오후 6~9시만 활동하기 때문에 이 시간만 ... ...
中, 세계서 가장 밝은 X선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0
국가들이 운영 중인 모든 원형 방사광가속기를 뛰어넘는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광원
의 광도를 높이기 위해 고안된 자성(磁性) 배열법인 '다중절곡 크로마토 격자' 배열을 사용해 어떤 기기보다 밝고 강렬한 X선을 만들어낸다는 구상이다. 한국에서도 4세대 원형 방사광가속기 도입이 ... ...
IBS 초저온 전자현미경, 3년 연속 연구자 선호도 1위
동아사이언스
l
2024.05.17
영하 200℃에 가까운 초저온 상태로 동결시켜 정밀 관찰하는 전자현미경이다. 빛이
광원
인 일반 광학현미경에 비해 해상도가 수천 배 이상 높다. 자유롭게 움직이는 단백질은 물론 바이러스 등 생체 분자의 3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에서 규명할 수 있다. 생화학 연구 패러다임을 바꾼 공로로 이를 ... ...
'빅뱅이론'이 흔들린다...기존 우주론 위협하는 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연구원은 100만 개 이상의 퀘이사를 분석하자 하늘의 한쪽 반구가 다른 반구보다
광원
이 0.5%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콘스탄티노스 미카스 네덜란드 레이던대 과학부 레이던천문대 연구원은 지역적 규모에서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가 공간에 따라 달라 표준 우주론의 ... ...
우주론·빅뱅이론 유효기한 끝났다?…의문 제기하는 천문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우주에 분포된 100만개 이상의 퀘이사를 분석하자 하늘의 한쪽 반구가 다른 반구보다
광원
이 0.5% 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우주가 큰 규모에서 균질해야 한다는 표준 우주론 모델의 가정에 불일치가 있을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하는 셈이다. 콘스탄티노스 미카스 네덜란드 ... ...
'비건 가죽' 스스로 염색하는 박테리아…독한 화학공정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다양한 친환경적 염색법을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박테리아가 푸른
광원
과 접촉했을 때 색을 띤 단백질을 생산해내는 방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후속 연구에선 박테리아를 활용해 섬유의 다양한 무늬까지 구현하는 방법을 살필 계획이다 ... ...
"게임 금수저 있다?…시간당 인지하는 시각정보량 사람마다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위해 실험 참가자들이 깜빡이는
광원
을 인식할 수 있는 최대 주파수를 측정했다.
광원
이 1초에 깜빡거리는 횟수를 점점 늘리다 보면 실험 참가자는 어느 순간부터 빛이 깜빡이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 켜져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실험 결과 어떤 참가자는 초당 35번 깜빡이는 빛을 지속해서 ... ...
블루라이트가 건강에 안좋다?…"악영향 근거 불확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5
이라며 “연구자들은 교대근무자들이 주로 SWL에 노출된다고 가정하고 연구를 진행했고
광원
의 파장을 직접 측정해 정량화한 장기 연구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빛 노출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한지 결정하려면 통일된 기준의 연구가 필요하다"며 "연구 방법론, 매개변수 등을 정하기 위한 ... ...
과학수사 업그레이드 실마리, 해파리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4
서식하는 수정해파리가 생산하는 녹색형광단백질에 주목했다. 이 단백질은 푸른색
광원
을 흡수하면 녹색 빛을 발산한다. 수정해파리는 포식자를 겁주어 쫓아내는 데 이 단백질을 활용한다. 연구팀은 녹색형광단백질이 인간의 땀과 기름과 결합하도록 인공적으로 합성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