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급
놀람
혼소
대경 실색
뉴스
"
경악
"(으)로 총 8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강운의 곤충記]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지구의 근심 덜어줄까
2019.06.05
플라스틱 조각을 먹이로 알고 물어다 주는 바다 새인 알바트로스의 행동을 보고 어찌
경악
하지 않을 수 있나? 인류가 만들어낸 화학물질 중 가장 히트한 상품인 플라스틱을 바다도 더 이상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와카토비섬에서 발견된 향유고래의 사체. 뱃속에서 6kg에 달하는 쓰레기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
2019.05.30
들고는 그 자리에서 일어나 이른바 ‘4불가론’을 줄줄줄 읊기 시작하는 게 아닌가! 나는
경악
한 표정으로 벌린 입을 다물지 못했고 주변 어른들은 우레와 같은 환호와 박수를 보냈다. 역시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이 대단하긴 하다. 그 뒤로 나는 다시는 위화도 회군의 사례를 꺼내지 않았다. ... ...
연구노조 “조동호 후보자 선임 철회를”
동아사이언스
l
2019.03.29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 노조다. 성명서에서 연구노조는 “국회 인사청문회는
경악
과 분노를 넘어 참담하기 짝이 없다. 국민들은 어떻게 저런 인물이 한국 과학기술계를 이끌 수장으로 천거됐는지 의아해 했을 것”이라며 “공직자로서의 윤리, 교수 및 연구자로서도 결격사유 투성이”라고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왜 대부분의 감정은 부정적일까
2019.03.24
아무튼 기본적인 감정은 공포, 분노, 기쁨, 슬픔, 혐오의 다섯 가지입니다. 여기에
경악
을 넣으면 여섯 가지죠. 기쁨을 빼는 경우도 있습니다(슬픔의 반대일 뿐이니까요). 대신 사랑과 질투를 넣는 학자도 있습니다. 죄책감을 추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목록을 더 늘리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일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식물학자들이 딸기 연구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딸기의 게놈이 무척 복잡하다는 사실에
경악
했다. 딸기속(屬) 20여 종의 염색체 숫자가 제각각이어서 적게는 14개에서 많게는 70개까지 종잡을 수 없었다. 우리가 먹는 딸기는 56개였다. 이는 파인애플딸기가 8배체(8x=56)라는 말이고 최대 네 가지 2배체(2x= ... ...
中 ‘유전자 편집 아기’ 첫 공식 확인…연구자는 해임
동아사이언스
l
2019.01.22
중국 남방과기대 교수를 엄벌에 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AP제공 중국이 지난해 세계를
경악
케 한 ‘유전자 편집 아기’의 존재를 공식 확인했다. 중국 정부는 유전자 편집 아기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하며 ‘불법 연구’을 진행한 허젠쿠이(贺建奎) 중국 남방과기대 교수를 엄벌에 처할 것이라고 ... ...
[뉴스룸] 세계 과학계에 민폐 끼친 中 ‘디자이너 베이비’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 한 생명과학 기업 임원이 걱정스럽게 말했다. 월요일, 전 세계 생명과학계를
경악
시킨 중국의 연구 결과를 두고 한 말이었다. 허젠쿠이(賀建奎) 중국난팡과기대 교수가 세계 최초로 유전자 교정 기술을 이용해 유전자를 수정한 인간 쌍둥이 아기 출산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에이즈 감염과 ... ...
비둘기 잡아먹는 까마귀 ‘포착’
팝뉴스
l
2018.11.15
이미지다. 길거리에서 까마귀가 비둘기를 먹고 있는 장면이다. 해외 네티즌들은
경악
을 금치 못했다. 맹금도 아닌 까마귀가 다른 새를 잡아 먹는 장면은 상상도 못했다는 게 많은 네티즌의 반응이다. 한편 중요한 문제가 있다. 까마귀가 비둘기를 사냥했을까. 아니면 비둘기의 사체를 발견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해독으로 유전자 개수가 10만 개가 아니라 2만여 개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사람들은
경악
했다. 사람 유전자의 2% 가까이가 냄새를 맡는 일을 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쥐의 유전자도 비슷한 숫자로 밝혀졌고 따라서 쥐는 전체 유전자의 5%가 후각수용체 유전자다. 이게 얼마나 충격적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반물질을 제안한 폴 디랙(공교롭게도 둘 다 영국인이다)이 떠오르는데 특히 디랙이
경악
스럽다. 오죽하면 2009년 나온 전기 제목이 ‘가장 이상한 사람(The Strangest Man(국내 미번역)’일까. 디랙은 평생 단 한 번 눈물을 흘렸는데, 1955년 아인슈타인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라고 한다! 사실 이런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