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해부학"(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맴맴맴. 매미야 어디있니?기사 l20190801
- 중에는 벌써 예습도 하고 매미도 잡아온 친구들이 있었다. 그 매미들 중에 한마리를 장이권 교수님께서 빌리셔서 설명 시작~ 매미의 해부학 공부 부터~. 다행히 죽은 매미라 여기저기를 열어도 보고, 벌려도 보면서 잘 관찰할 수 있었다. 매미도 다른 동물처럼 암수가 있었는데, 암컷은 산란관이 있어서, 수정란을 식물에 낳는다고 한다. 말매미의 ...
- 국립한글박물관에 다녀왔어요기사 l20180920
- 놀이터를 나와서 '나는 몸이로소이다' 라고 한글 해부학에 관한 테마를 보러 갔습니다. 처음 한글로 해부학에 대해서 쓴 책과 여러 해부학 도구들도 볼 수 있고, 사람 몸을 해부 해놓은 모습도 볼 수 있었습니다. 저는 조금은 무섭게 느껴졌지만, 조금 참고 둘러보니 동의보감이라고 하는 오래된 전통 의서도 볼 수 있었고, 사람 ...
- 레오나르도 다빈치 코덱스에 다녀왔어요!기사 l20170409
- 더욱 많은 직업을 가지고있습니다. '최후의 만찬'과 '암굴의성모' 같은 그림을 그리는 화가! 100권이 넘는 다빈치의 노트로 보아 해부학, 기계, 음악, 식물학, 수학 등 다방면으로 재능 있는 사람이었습니다. 다빈치가 지금 이 시대에 태어났다면 벌써 달로 갔을 거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천재적인 사람입니다. 우리는 천재를 떠올리면 격식을 갖춘 ...
- FANTASTIC ANIMAL 전시회 - 우리가 생각하지 못한 동물의 몸속기사 l20160718
- 염소의 자궁, 바다거북 표본, 여러 동물의 태아도 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사이언스 존에 갔습니다. 그 곳에서 5~6학년인 고학년들은 해부학 모형을 만들고, 1~4학년들은 페이퍼토이를 만들었습니다. 페이퍼토이 종류는 곰, 기린, 호랑이가 있었습니다. 이때 동물들을 실제처럼 생생하게 만들 수 있었습니다. 각 동물의 근육을 볼 수 있어서 유익했습 ...
- 세상을 바꾼 리더 '마리아 몬테소리' 마리아 몬테소리에 대한 이야기기사 l20141124
- 공부하길 거부하는 남학생도 있었고 교수들의 차별과 괴롭힘을 견뎌야 했습니다. 남학생이 다 앉은 뒤에 강의실에 들어갈수 있었고, 해부학실습 등에는 참여할수 없었지요.다른 방에서 남학생들이 해부하는 장면을 지켜보거나 혼자서 실습해야 했어요. 하지만 그런 어려움은 오히려 마리아를 강하게 만들었어요. 그녀는 보란듯이 최초의 여자 의사가 되었습니다. 하 ...
- 100년 넘은 해부학 교과서! 1907년에 나온 책은 당시 학장이셨던 지석영 선생님이 서문포스팅 l20140724
- 100년 넘은 해부학 교과서! 1907년에 나온 책은 당시 학장이셨던 지석영 선생님이 서문을 쓰셨다고 합니다. ...
- "다빈치 수술 로봇이 내 마음따라 움직여요" '청소년 다빈치 교실'에서 수술 로봇 현장체험을 갔다 와서기사 l20140421
- 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다빈치라는 이름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이름을 땄다. 다빈치는 예술가이자 발명가, 또 의학자였다고 한다. 해부학 책은 지금도 이용되고 있다. 다빈치가 만들었다는 아주 오래된 기사로봇도 설명했다.로봇의 역사와 함께 사람 대신 위험한 일을 하는 로봇에 대해 알아보았다. 병원 말고 다른 곳에서도 로봇을 많이 쓴다. 원자력 발전 ...
- 백제시대 얼굴 복원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21012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화기술대학원 박진호 선임연구원과 조용진 미술해부학 박사는 디지털 첨단기술을 이용해 백제인 남녀의 얼굴을 3차원으로 복원해 냈어요. 연구팀은 충남 부여군에서 출토한 백제시대 귀족 부인의 유골과 중국 당나라 때 그림‘당염립본왕회도’를 토대로 백제인의 얼굴을 추정했답니다. ...
- 의사도 어린이도 술술 말 하는 해부학, 정민석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111229
- 우리 몸의 각 부분에는 얼마나 많은 이름이 있을까요? 근육 이름만 해도 무려 수백 개가 넘어요. 이런 복잡한 용어를 사람들에게 술술 설명해야 하는 의사들은 의과대학을 다닐 때부터 굉장한 노력을 해야 하지요. *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1호(2012년 01월0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고래 조상은 너구리만 한 포유류?어린이과학동아 l20080114
-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그런데 왜 하필 장기의 크기가 성인과 비슷한 미니돼지에서 줄기세포를 뽑아 쓴 건가요? 우리 돼지는 해부학적으로나 생리학적으로 사람과 가장 가까운 동물이에요. 즉, 사람에게 맞는 장기이식용 돼지를 만들 수 있는 거예요. 그래서 이번 연구에서도 사람과 몸집이 가장 비슷한 돼지가 선택된 거랍니다. 그런데 주로 동물 복제는 체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