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축소"(으)로 총 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금 노트이든지 패드든지 던져버리고 싶음포스팅 l20230808
- 인싸력 및 영향 탑티어임-애들 특별한 슁슁 보는 마냥 다 그 애 말 따름-결과:지난 새벽 1시 30분까지 주문 대본 주문순음.방탈출 축소에.정말 간단한 보드마카 그림 물에 띄우기 같은 상황이나 하고 결정이 나 버림.저 진짜 어제부터 오늘 새벽까지 무슨 일을 한 ... ...
- 대한민국 역사 강사 설민석의 사건사고 & 역사 왜곡/오류기사 l20230724
- 민족대표의 역할을 축소하고, 그분들을 비난하기 위해 왜곡한 것"이라며 "태화관이 ‘요릿집’이었다고 해서, 거사의 의의가 축소될 수 없음을 인정해야 한다"고 밝혔어요. 둘째로 주옥경 열사는 손병희 선생의 부인으로 민족대표들 간의 연락과 안내를 맡은 분이며 독립선언의 주역인데 이를 마담으로 폄하하였다는 비판을 했어요. 천도교 여성회 역 ...
- 덕수궁 방문기기사 l20230301
- 황궁으로서의 규모와 격식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1904년 덕수궁 대화재와 1907년 고종의 강제퇴위 이후 덕수궁은 그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습니다. 이때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이름 또한 바뀌게 되었습니다. 이 건물은 중화전 입니다. 중화전의 내부 입니다. 이 건물은 석조전 입니다. 이 건물은 석어당 입니다. (위 건물 사진들은 ...
- 지구온난화와 연준모치기사 l20230111
- 7월 수온이 30°C를 초과할 수 있다고 한다. 게다가 벌목을 통해 음지 대신 양지가 생겨나면서 양지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이는 서식지를 축소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바다에서 1°C, 2°C 오르는 상황이 강에서는 5°C, 10°C 오르는 상황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기후변화는 한여름 수온이 25°C 이상 오르면 안되는 연준모치에 ...
- 화성어차 타고 수원화성 구경기사 l20221113
- 방문 했는데요, 화성행궁은 정조대왕이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를 융릉으로 옮기면서 수원 신도시를 건설하고 수원화성 성곽을 축소하면서 화성행궁을 건립하였습니다. 화성행궁은 1시간에서 2시간 안에 관람 할 수 있는 규모 인데요, 스탬프북 (500원)을 구매한 후 관람하면 주변을 꼼꼼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스탬프북과 안내 책자는 안내소에서 줍니다) ...
- Clip Studio: 클립스튜디오 그림앱 파헤치기 (1)기사 l20220831
- 두껍게 칠하기, 먹 수채화나 붓 느낌의 브러쉬입니다. 저는 이 중에서 혼색 원 브러시를 많이 사용합니다. 8. 돋보기 캔버스를 확대/축소할 수 있는 툴입니다. 9. 연필, 파스텔 완전 닮진 않아도 어느 정도의 연필 질감을 낼 수 있는 툴입니다. 10. 지우개 일상에서와 같이 잘못 그리거나 지우고 싶은 부분을 지울 수 있는 툴입니다. 11. 채 ...
- 씨큐리움(해양생물 자원관)을 다녀와서기사 l20220614
- 종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물고기의 골격을 보는 것은 이번이 처음 이었다. 옆으로 이동하자 물개복치와 청새치의 골격과 그들의 축소판 모형이 있었다. 이번 개복치의 골격은 상당히 컸지만 내가 아는 사이즈는 아니었다. 개복치의 골격을 다시 보니 목에 있던 살이 쏙 빠져 너무 우스워 보였다. 또 골격에다가 눈을 달아놓았으니 폭소를 터뜨리지 않을 수 ...
- 카이퍼 벨트와 왜소행성의 대해 알아보자!(1부)기사 l20220125
- 992년 카이퍼가 예측했던 태양계 안의 지역에서 커다란 천체가 발견되었어요. 직경이 240Km 정도인 천체 '1992QB1'는 마치 명왕성의 축소판 같아 보였어요.몇몇 비슷한 천체들이 잇다라 발견되면서 카이퍼 벨트는 단지 추측을 넘어 분명히 존재하는 태양계의 일부분이 되었어요.그 이후로 천문학자들이 카이퍼 벨트를 연구해왔고, 그 안에 더 많은 ...
- 이거 왜이러는지 아세요?포스팅 l20211128
- 포폴입니더... 근데 알고보니까 그냥 화면을 축소해놔서;: ...
- 메갈로돈이 멸종한 이유기사 l20211109
- 수온도 낮아지기 시작했죠. 그래서 1994년, 고생물학자였던 그레이 모건 박사는 메갈로돈들이 낮은 수온을 견디지 못하고 서식지가 축소되면서 멸종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후 1996년, 해양 생물학자인 피터 클림리 박사도 메갈로돈의 주 먹이였던 고래들이 극지방으로 이동하면서 먹이 부족으로 멸종했다고 주장하며 그레이 모건 박사를 지지합니다. 그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