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실패"(으)로 총 8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동안 찾아오던 채널을 찾았는데 이건 처음이었습니다,포스팅 l20250807
- 제가 세포도라는 애니메이션 유튜버분의 채널을 찾아오다가 찾았는데 영상이 거의 다 내려갔더군요.닉넴은 바꾸신 상태였습니다.사실 먼저 유사한 그림채의 최근까지 활동중이신 E blue ring이라는 채널을 먼저 찾았습니다.알고 보니 제가 찾아해매던 사이에 올리신 영 ... 찾아야겠죠..?그동안 AI영상과 일본 아날로그호러 영상 중 비슷하다 판단되는 걸 봐서 알고 ...
- 대한민국 우주 도전의 시작, KAIST 인공위성 연구소기사 l20250806
- 를 아시나요? 재사용발사체란 한 번 쓰고 버려지는 발사체 재사용을 위해 스페이스 -X의 일론 머스크가 개발한 방법입니다. 이처럼 실패를 해도 다음에 다시 몇 번이고 도전한다면 결국 해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는 KAIST 인공위성연구소 입구에 새겨져 있는 명언을 알아봤습니다. 영어로 'THE SKY IS THE IMIT'인데 ' ...
- [우주기자단]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의 놀라운 하루기사 l20250804
- 왜냐하면 총 2기가 만들어졌음에도 모두 실패하였기 때문이에요. 과학기술위성 2호는 2기 모두 나로호 1,2차 발사 때 궤도진입 실패로 인해 급히 다른 위성을 개발하게 되었는데요. 그 위성이 바로~ 나로과학위성 이에요. 나로과학위성은 과학기술위성 2A, 2B호를 대신해서 만들어진 위성 입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과 KAIS ...
- 대한민국을 우주와 연결하다, KAIST 인공위성 연구소!기사 l20250802
- 1호는 우리별 4호로도 불리며, 성공적으로 운영을 마친 인공위성 입니다. 하지만, 2호는 2대가 있었는데, 나로호의 발사가 두 번 다 실패해서 우주로 올라가진 않았습니다. 그래서 나로호 3차 발사 때 급하게 위성을 만들어 올렸는데 이위성이 나로과학위성이고, 우리나라 발사체로 올라간 최초의 인공위성 입니다. 출처: 위키백과 지상국은 안테나와 ...
- 프맞 구해여ㅠㅠ포스팅 l20250731
- 다현님이랑 프맞 실패해서 이렇게 글 올려봅니다. 먼저 신청하신분과 할게요! 꼭 신청해주세요ㅠ 안하면....아무것도 안 할거예요(해맑) 신청하신 분 맘대로 정하셔두 돼요! ...
- 맨날 다른 애니캐릭터 vs 시키는..ㅋㅋㅋㅋ포스팅 l20250726
- .당연히 다른애니여서 만나지 않지만..그냥 서로 다른 애니속 캐들끼리 싸우면 누가이길까..? 이럽니다ㅋㅋㅋㅋㅋ당연히 전 분석에 실패하고ㅋㅋㅋㅋ그래서 여러분들은 이들 중 누가 이길것 같으신가요? (그냥 재미로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 전혀 연관없는 만화 캐릭터끼리 붙여놓은겁니다) 1.고죠 사토루vs키부츠지 무잔(이거 저만 헷갈리나요.. 헷갈려서 올 ...
- 우리가 더위를 먹는 이유!기사 l20250725
- 먼저 더위를 먹는 이유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우리가 더위를 먹는 이유 1. 몸의 체온 조절 실패 • 사람의 몸은 평소에 땀을 흘려 체온을 조절합니다. • 하지만 날씨가 너무 덥거나 습하면 땀이 잘 마르지 않아 체온이 내려가지 않습니다. • 그러면 몸이 점점 뜨거워지 ...
- GPERI와 함께 지구 바깥으로의 여행!기사 l20250714
- 필요합니다. 지상 시스템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미션 계획 수립 •로켓의 고도, 경로, 시간 등을 수치로 정함 •실패 원인을 분석하고, 다음에 보완할 수 있도록 함 ② 발사대 구축 •연료 공급, 관제 설비, 고정 장치가 있는 구조물 •발사대 아래 지하 3층에 140km나 되는 전선과 배관 설치 ③ 관제 (실시간 비행 추적) •GPS ...
- [우주기자단] 우주로 가는 꿈에 대해 배우다.기사 l20250712
- ㅠㅠ) 8. 실제 로켓 엔진 >> 실제 로켓 엔진이 고온/고압가스를 방출하는 모습입니다. / 직접 촬영 (영상을 촬영했는데 자꾸 업로드가 실패한다고 떠서 동영상 캡쳐해서 올립니다.ㅠㅠ) 좋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주신 GPERI 학생 분들께 정말 감사하고 에어로켓을 만들어서 행복한 하루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의 견학!기사 l20250709
- 선임연구원님의 멋진 강연이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연구원님은 누리호의 1차 발사와 2차 발사에에 대해 설명 해 주시며 왜 처음에 실패하였는지, 그 세세한 이유를 설명해 주셨습니다. 이유는 바로 부력 계산 착오 때문이었습니다. 왜 그랬는지 풍선 실험으로 알려주셨습니다. 그리고 여러가지 다른 나라의 만원경을 소개해주셨습니다. 커다란 카메라의 제입스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