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수평"(으)로 총 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야진 해변 바닷새 탐조!! +(해양생물 관찰)기사 l20221023
- 힘을 얻고 다시 일어나서 중앙 부분으로 걸어갔습니다 여긴 또 특이한 게 갈매기가 별로 없었어요. 이 해변 주변으론 안오고 수평선 쪽을 서성거리더라구요 그렇게 해서 전 아야진 하수욕장 탐조를 마치고 차에 탔습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여기 오시면 스트레스도 풀리고 볼거리가 많습니다!! 진짜 추천드리는 해수욕장입니다!! 여러분도 시간이 여유가 ...
- 나만의 비행기만들기!기사 l20220922
- 날릴 준비가 다 되었습니다.^^ 저는 델타기를 만들고 난 후에는 위그선을 만들었습니다. 위그선을 날려보았는데 생각보다 두 날개가 수평으로 가게 유지를 시켜주는 거 같아서 오랫동안 날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저는 저의 비행기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위그선 다음으로 잘 날았습니다 ^^ 마지막으로 제가 이 기사를 쓸 수 있게 키트를 보내주신 어린이 ...
- 2022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 유명산자연휴양림에 다녀왔습니다!기사 l20220825
-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촛농지의는 학명이 candelaria concolol이어서 촛농지의라 불린다고 합니다. 사진처럼 노란색이고, 납작하며 수평으로 번져갑니다. 자세히 보면 은행잎처럼 생겼기도 합니다. 이것은 꼬마붉은열매지의입니다. 이 지의류는 나뭇가지처럼 솟아있는 수지상지의류입니다. 사진을 자세히 보면 붉은 점이 있는데, 그것은 붉은열 ...
- 기후변화를 알려주는 거미를 찾아서 - 지사탐 현장교육기사 l20220823
- 작고 거미줄 형태가 다른데둥근 그물을 수평으로 친다고 해요. 여섯 번째 거미는 응달거미입니다. 집안이나 그늘진 곳에 수평으로 작고 둥근 그물을 치고 살아요. 그 외에도 개미를 닮은 검정미진거미, 거꾸로 매달려 사는 유령거미도 관찰 할 수 있었습니다. 지사탐 거미 현장교육에서 거미 동정하는 방법, 거미 이야기, 서식지 관찰 등을 배울 ...
- 핸들없는 자동차,JAL123편기사 l20220704
- 보고 도어가 부려졌다 판단한다, 스쿽 7700을 발신한다(비상상황) 문제는 수직꼬리날개가 아니다, 수직꼬리날개가 없지만,, 수평꼬리날개만 있어도 무사히 추락(약하게 추락)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날아간 수직꼬리날개에선, 유압액이 새어나간다. 이 유압액은 비행기의 모든 방향 조정장치를 움직이게 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
- 국립 과천과학관 현장학습, 과학을 알게 되었습니다.기사 l20220618
- 도착하면 여러 시설들이 보입니다. 저는 지층이 나와있는 야외 시설을 먼저 둘러보고, 교육관에 들어가기로 하였습니다. 지층에는 수평인 지층, 끊어진 지층, 구부러진 지층이 있었습니다. 또 통나무 화석도 있었는데, 직접 보고 만질 수 있어 좋았던 것 같습니다. 교육관에는 자연사관, 첨단기술관 등 여러 곳이 있 었지만 저는 자연사관과 과학 탐구관 ...
- -지층은 무엇일까?- 1기사 l20220313
- 뜻이 담겨져 있습니다. [출처:캔바 (내가만듬)] 2. 지층의 종류 지층의 종류는 세 가지로 분류합니다. 휘어진 지층, 끊겨진 지층, 수평인 지층이 있는데 휘어진 지층은 이렇게 휘어져있습니다. 휘어진 지층은 다음과 같이 자갈, 모래 등이 밑으로 깔려 있으므로 표면이 구불구불 합니다. 아, 아쉽지만 여기까지가 1편이네요. 그럼 -지층 ...
- 여섯 색깔 모자 기법기사 l20220311
- 에드워드 드 보노는 여섯 색깔모자 기법을 고안해 냈습니다. 여섯 색깔모자 기법은 하나의 주제를 여러 가지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수평적 사고법으로 각의 종류를 여섯 색깔 비유하여 그 색깔 그 색에 맞게 생각 생각하기 때문 때문에 효율적 윤정이고 창의적인 적인 사고가 가능합니다. 모자에 담긴 여섯 가지 관점을 이해하고 여섯 색깔 모자 기법에 ...
- 최초의 지진계를 찾아서!기사 l20220228
- 흔들리면서 땅에 고정되어 있는 몸체는 흔들리지만,추는 관성에 의하여 정지하고 있으므로 회전 원통의 기록지에 흔들림이 기록되는 수평 지진계와 수직 지진계를 이용하여 지진의 *규모를 측정합니다. 뒷모습 정형의 모습 -규모란 지진의 크기를 숫자로 표시한 것 입니다 ... ...
- 귀상어는 왜 하필이면 머리가 망치모양 일까?기사 l20220216
- 상어,보닛헤드 상어,홍살 귀상어,날개머리 상어로 실험한 결과 수직 방향을 감지하는 시각범위는 이들 모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수평시각에서는 큰 차이를 보였죠. 바로 머리가 가장 긴 날개머리 상어가 일반 상어의 4배가 넘는 수치가 나온 것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우리는 "귀상어라고 양안시가 없다." 라는 편견을 깰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