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년"(으)로 총 13,11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에서 가장 매운 라면기사 l20251018
- 빨계떡보다 덜 매웠지만 2018년 온라인 전용 버전이 나오면서 10000 스코빌로 맵기가 상승했습니다. 그리고 주먹감자라면은 2022년에 축구선수 이천수의 굿즈로 출시된 라면인데 천수군이 현역 시절에 심판을 향해 주먹으로 욕을 날린 사건의 기념하며 스트레스받을 때 먹는 라면으로 소개됐습니다. 베트남 홍고추가 통째로 들어가서 핵불닭과 ...
- 안녕히 계세요포스팅 l20251018
- 안녕하세요, 배유진, 혹은 윤슬입니다. 저는 주로 스토리콘에서 많이 활동했습니다. 그런데 요즘 육체적/정신적 건강상 문제, 성적상 문제, 친구간 문제 등으로 스트레스가 점점 쌓이고 있었습니다. 영어 숙제만 해도 reading, ... 떠나서 죄송합니다. 그동안 이곳에서 하고 싶은 거 다 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도 가끔, 여유 있을 때 오겠습니다. 그게 1개 ...
- 한국에서 가장 구독자가 많은 유튜버기사 l20251017
- 2030만 명인데 신기한 건 지금까지 업로드한 영상 개수가 8만 1000개가 넘는다는 겁니다. 이건 하루에 영상 1개씩 매일 올린다고 해도 200년이 넘게 걸리는 양 입니다.7위는 계양 쓰입니다. 애니메이션을 직접 만들어서 올리는 채널인데 퀄리티가 진짜 엄청나서 전 세계 사람들이 감탄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구독자는 2580만 명입니다. 6위는 ...
- 세계에서 가장 오래 달린 차기사 l20251017
- 차들에 비해 20배 이상 오래 달린 겁니다. 심지어 고대는 기네스 기록을 세우고 나서도 죽기 전까지 이 차를 계속 타고 다녔는데, 2018년에 그가 세상을 떠날 당시 이차의 주행거리는 무려 524만 6875km였다고 합니다.(출처:유튜브) -엘픽 ... ...
- 역대 최악의 전쟁 Top 5기사 l20251017
- 5입니다.세상에는 많은 전쟁이 있었는데, 과연 최악의 전쟁은 무엇일까요? 재미로만 봐주세요! Top 5: 미국 남북 전쟁 시기: 1861~ 1865(약 4년) 출저: 생글생글- 한국경제노예파의 남부와 자유파의 북부가 싸운 미국의 역대 내전 중 하나. 대표적인 전쟁 이유는 노예정치 떼문이다. 남부는 노예를 대규모 농업 (특히 목하)에 의존했는데, ...
- 흠 글 쓴 겁니다포스팅 l20251016
- 아니야. 태어나고 19살 마지막 겨울날까지, 오직 19년 동안 보호 받는 어린이야." 언니가 잠시 숨을 들이쉬고 다시 이어 말했다."매년 반이 바뀌고 선생님, 친구들이 바뀌잖아. 그때마다 새로운 경험과 새로운 공부를 해. 근데, 어른들은 그게 아니야. 계속 어른이라는 틀에 박혀 살아. 오직, 어른이라는 이유로 혼자 짊어져. 하지만, ...
- (그저 사심인)긂 그리시는 분들 q&a포스팅 l20251014
- 3. 긂 그리는 방법을 어디서 배웠나요?4. 자신의 그림의 장점이 뭔가요?5. 그림 그릴때 주로 무슨 노래 들으시나요? (없다면 없음) 저는1. 아니요..4학년때 끊었어요 ㅠ2. 6-7년 정도..? 근데 전문적으로 배운게 아니라 뭐 배운게 없어요3. 독학+팝플 이요..! 팝플와서 본격적으로 그렸어요4. 없는것 같지만 대답해야 된다면 ...
- 대부분의 남은 절대 해당 안될만한 특징이나 경험을 자랑해주세여포스팅 l20251014
- 우쭐대는 걸로 보여도 좋으니 마구마구 자랑하는 겁니다 저부터할게요!전 영재원을 4년 다녔고 저희지역에서 20명밖에 안뽑는 과학고 영재가 되어 과학고를 드나들며 교육받았으며과기부 장관상 수상이력 교육부 정책만들기단 참여이력 3.8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우주항공청 캠프에 참여하여 누리호 제작현장을 견학한 최초의 민간인중 한명이 된 이력 등 화려한 ...
- [우주기자단] 우주기자단! 국립광주과학관에 모이다!기사 l20251013
- 몇 년이 걸렸을까요?Q 2. 누리호 1단 총 추력은 모두 약 몇 톤일까요?Q 3. 누리호의 전체 부품 수는 몇 개일까요?정답은?!!....... A 1. 약 12년A 2. 약 300톤A 3. 약 300,000(직접 찾아보니 370,000개였습니다.) 하지만 이런 누리호 도 ...
- 제39회 인촌상 시상식에서 김범준 교수님을 만나다.기사 l20251012
- 과학은 혼자가 아닌 함께 토론하고 협력하며 자라는 일이예요. 또한 교수님은 어린이들에게도 이런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우리 청소년들이 더 좋은 질문으로 세계와 소통하고 우리 사회가 더 넓은 지식의 지평을 열 수 있도록 제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김범준 교수님 이야기를 들으며 과학은 포기하지 않는 마음에서 시작된다는 걸 느꼈어요. 실패해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