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국왕"(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 헐포스팅 l20210320
- 저 진짜 방금 떠오른 생각인데요.. 그 어과동 최신 호 오즈의 연금술사에 나온 그 제로라는 애 있잖아여 ( 다짜고짜 왕사자한테 못 알아본다면서 마법 쏘고 튄 인성 문제 있는 애 있잖아여 ) 근데 걔 말로는 왕사자가 자기를 본 적이 있다는데 머리도 초록색이고 설마 걔가 리프 아빠(에메랄드 국왕) 아닐까여? 진짜 방금 떠오른 생각인데... ...
- 크리스마스 특집편 #13포스팅 l20201225
- 특집편 벤자민: 뭐! 비상사태? ?: 국왕께서 우리들을 전부 소집하였다!! 라즈베리: 그럼우리도 갈래! ?: 안된다! 국왕님이 우리들만 오라고 하셨다! ( 그 토끼가 떠난뒤 한 잡상인이 온다) 잡상인: 이봐 젊은이~ 뭐 살게 없나? 그리즈: 응? 잡상인? 무엇을 가지고있나요? 잡상인: 음. ...
-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 TOP3를 알아보아요!기사 l20201217
- 외국인이 들어가기 힘들다고 합니다. 건물은 호텔 타워, 하자르, 마카, 사라등의 총 7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우디 아라비아 국왕이 이슬람 성지 순례자들을 수용할 의무가 있다며, 호텔을 주목적으로 아브라즈 알 바이트 타워를 건설했습니다^^ 별칭은 메카 로얄 클락 타워 호텔이라고 합니다. 시계탑 위에 세운 첨탐의 꼭대기에는 높이 23m, ...
- 크리스마스 씰에 대해 알아볼까요?기사 l20201208
- 아이날 흘벨 (Enar Holbell) 이라는 사람이 있었어요. 그는 크리스마스 씰로 결핵도 퇴치하고 사람들에게 기쁨도 줄수 있겠다는 생각에 국왕 크리스찬 9세에게 건의하여 위와 같은 세계최초의 크리스마스 씰을 만들었어요. 우리나라 최초의 크리스마스 씰 우리나라에서는 1932년, 위와 같은 크리스마스 씰이 처음으로 만들어졌답니다. 202 ...
- 공주의 편견을 깨는, 공주와 고블린 책 후기기사 l20201031
- 두고도 얼마든지 남에게 줄 수 있는 것이거든. 내겐 이런 일들이 아주 많아."라고 말합니다. 알고보니 고조할머니가 공주의 아빠인 국왕에게 이름을 '아이린'이라고 짓는 것을 허락했기 때문에 이름이 같아진 것이였습니다! 할머니는 유모가 걱정하겠다며 공주를 돌려보내고, 자신이 보고 싶다면 언제든지 놀러오라고 말하죠. (*출처: 제가 찍었습니다! 왼 ...
- 우리의 둠간지, 닥터 둠! (마블 코믹스)포스팅 l20200827
- 끼고 라트베리아로 향한다. 라트베리아에서는 그는 약간 폭력적인 자경단원 홍길동(?) 느낌으로 루돌프를 끔살시키고, 라트베리아의 국왕이 된다. 그리고 닥터 스트레인지와 함께 어머니의 영혼을 지옥에서 구해냈다. 2. 작중 행적 에서는 묠니르를 들 수 있었지만 "둠은 그 망치에는 필요없어" 라고 하는 필요없는 것에는 욕심을 내 ...
- 세계에서 가장 비싼 집 순위 TOP4기사 l20200415
- 집 하나로만 집 밖에 나가지 않아도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문화생활을 못 하지만, 이 집 주인인 벨기에 국왕은 할 수 있겠네요!!^^ 2. 안틸다 Antilia- 1조 1,569억원 $ 1Billon (사진출처: StarsUNfolded) 이젠 1조가 넘었습니다!!! 안틸다는 인도 뭄바이에 위치한 빌딩으로 저택 ...
- 아라비아의 길, 어과동의 기회를 찾아서기사 l20170526
- 국민 거의 모두가 이슬람교이며, 아랍 지역 중에서도 가장 엄격한 무슬림 전통을 지키고있답니다. 세습된 왕권중심의 국가로서 현재 국왕은 살만 빈 압둘아지즈라고 합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2. 각종 체험활동 (약 1시간) 전시관람 후, 로비로 나오니 색연필 등과 맛있는 주스가 준비되어 있었어요. '아라비아의 길' 팜플렛에 ...
- 동남아시아에는 어떤 나라들이 있을까 (2) 황금의 나라, 브루나이기사 l20170205
- 축제, 브루나이 국왕 탄신일(생일) 현재 브루나이 국왕인 술탄 하사날 볼키아의 탄신일인 7월 15일은 브루나이 최고의 축제입니다. 국왕의 생일을 맞아 국민들의 빚을 갚아주기도 할 정도로 나라 전체가 기쁨을 나눕니다. 이상으로 브루나이에 대한 소개를 마치겠습니다. 봐 주셔서 감사힙니다. ※ 참고 참고 문헌 - 빈 ...
- 우리나라의 가슴 아픈 역사를 품고 있는 진주기사 l20160507
- 전투를 벌일 수 없었습니다. 또한 명군의 일방적 강화협상 추진으로 조선은 자주적 국권을 행사할 수 없었고 명군의 접대과정에서 국왕의 권위가 심각하게 실추(하락)합니다. 마지막으로 전투지역 이외의 명군의 민간에 대한 횡포가 극심했습니다. 명군들은 자신의 자국이 아닌 곳에서 싸우기 때문에 소극적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진주성과 임진왜란] 15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