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가장 빠르고 똑똑한 로봇 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구독자 : 16.4만 명)복잡한 미로 속에서 쥐가 단번에 목적지를 찾아냅니다. 불과 10초도 걸리지 않고 말이죠. 이 쥐의 정체는 바로 로봇 쥐예요. 로봇 쥐는 첫 번째 주행을 하며 인공지능(AI)을 통해 목적지까지 가는 최단 경로를 학습합니다. 두 번째 주행부터는 막힘없이 목적지까지 얼마나 빠르게 ...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지구도 방학이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서울 역촌초 교사). 학교가자교사협회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학교가자교사협회는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교육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교사들이 원격 수업을 위한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하며 설립됐습니다. 데이터 리터러시를 기반으로 한 환경 교육 과정인 ‘나의 도넛 복숭아’ 교실을 운영하고 ... ...
                            
                                                              
- 내일 기상 10년 뒤 기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이렇게 만든 모형으로 기상을 예측하려면 아주 많은 계산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10일 동안의 기상을 예측하려면 아래만큼의 계산이 필요하다.  KIM은 우리나라에 나타나는 기상 현상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다. 실제로 2023년 8월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카눈의 이동 경로는 KIM 예측으로 미리 알 수 ...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임상 환자 등록을 거쳐 2024년 7월 1차 임상시험을 시작하고, 총 3번의 임상시험을 통해 2030년 주사형 치아 재생 약물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치아 재생이 특히 어려운 이유 치아 전체를 재생하는 연구가 이토록 어려운 이유는 뭘까요. 정 교수는 “여러 구성요소로 이뤄진 하나의 기관을 만들어내는 ... ...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멀티미디어 복원, 0과 1의 암호 속에서 사라진 정보를 찾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소 분석관은 ‘119, 210, 211, 212’라는 숫자 패턴을 예시로 들었다. 우리는 보통 119 다음에 120이 올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숙련된 멀티미디어 복원 전문가의 눈에는 19, 20, 21, 22를 나타내되, 가운데에 숫자 1을 끼워 넣은 형태라는 게 보인다. 이런 데이터 속 규칙성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
                            
                                                              
- [논문탐독] 모든 물질의 출발점에 다가서는 입자 생성 매커니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생성비로 생성 과정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이 논문은 위와 맵시 두 쿼크로 이뤄진 D0 입자와 크사이씨 중입자의 생성 비율을 기존의 여러 이론 계산과 비교했고, 이번 실험이 기존 이론들로 설명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기존엔 맵시 쿼크가 붕괴하며 발생한 쿼크들이 조합돼 맵시 ... ...
                            
                                                              
- 전략의 신 2. 고정관념 깨는 선수 기용수학동아                                        l2024년 03호
- 2번 타자와 3번 타자로 둘 다 세워본 결과 한 시즌에 2번 타자는 3번 타자로 나올 때보다 40타석 정도 더 설 수 있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보통 2번 타자는 발이 빠른 타자를 쓴다. 1번 타자가 출루하면 안타 또는 희생 번트를 통해 주자를 득점권에 안착시키는 역할이 2번 타자가 하는 일이다. 하지만 ... ...
                            
                                                              
- 브롤스타즈 반사의 법칙 따라 총 쏘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전략을 짜야 이길 수 있다.  또 모드마다 다른 전략을 써야 한다. 예를 들어 보석을 10개 이상 모은 뒤 15초 동안 잃어버리지 않고 버텨야 이기는 ‘젬 그랩’ 모드는 보석을 모으는 브롤러와 공격과 수비를 하는 브롤러로 역할을 구분해야 유리하다.  반사의 법칙을 활용해 총을 잘 쏘는 능력을 ... ...
                            
                                                              
- [특집] 도파민 중독, 오해와 진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2020년 11월에는 고작 2200번 언급됐던 도파민은 2023년 10월 언급량이 6만 6122건으로 무려 30배가 늘었다. 오해: 과도한 도파민이 뇌를 망친다?  그렇다면 과학, 의학, 심리학 분야 전문가들은 도파민 중독을 어떻게 바라볼까. 그들은 먼저 단어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고 ...
                            
                                                              
- 홈 어드밴티지 정말 있을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맞힐 사건이 벌어질 수 있다. 그러나 야구 경기에서 양 팀이 던지는 공은 기껏해야 300번이다. 물론 이 확률은 네티즌의 자의적인 계산이기에 아주 확실하다고 보긴 어렵지만, 그만큼 다시 한 번 벌어지기 힘든 희귀한 사건임은 분명하다.  영 선수의 사건을 계산한 슛포러브는 존슨 선수의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