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모든 물질의 출발점에 다가서는 입자 생성 매커니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생성비로 생성 과정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이 논문은 위와 맵시 두 쿼크로 이뤄진 D0 입자와 크사이씨 중입자의 생성 비율을 기존의 여러 이론 계산과 비교했고, 이번 실험이 기존 이론들로 설명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기존엔 맵시 쿼크가 붕괴하며 발생한 쿼크들이 조합돼 맵시 ... ...
- 얼마나 행복할까? 행복 방정식수학동아 l2024년 04호
- ‘행복 방정식’을 도출했다. 이후 연구팀은 이 공식이 맞는지 입증하기 위해 1만 8,42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게임 ‘나를 행복하게 만든 것은 뭘까?(What makes me happy?)’를 진행했다. 이 게임은 첫 번째 실험 데이터를 토대로 만들었다. 이때 연구팀은 이들이 게임 결과에 따라 느낄 행복감을 미리 ... ...
- 내일 기상 10년 뒤 기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이렇게 만든 모형으로 기상을 예측하려면 아주 많은 계산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10일 동안의 기상을 예측하려면 아래만큼의 계산이 필요하다. KIM은 우리나라에 나타나는 기상 현상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다. 실제로 2023년 8월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카눈의 이동 경로는 KIM 예측으로 미리 알 수 ... ...
- [Chapter 3] 사회 문제의 답 찾는다!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어떤 주에서 어느 후보가 승리할지 모두 맞혔다는 뜻이다. 가장 최근에 있었던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도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를 꺾을 확률이 89%라고 예측했고, 실제로 바이든 후보가 당선했다. 용어 설명*회귀 분석 : 어떤 변수가 다른 변수에 의해 ...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임상 환자 등록을 거쳐 2024년 7월 1차 임상시험을 시작하고, 총 3번의 임상시험을 통해 2030년 주사형 치아 재생 약물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치아 재생이 특히 어려운 이유 치아 전체를 재생하는 연구가 이토록 어려운 이유는 뭘까요. 정 교수는 “여러 구성요소로 이뤄진 하나의 기관을 만들어내는 ... ...
- [신의 책] 개념을 명확히 모르면 생기는 일수학동아 l2024년 04호
- 그러면 등비수열의 합은 a/(1-r)이 됩니다. 처음 봤던 등비수열의 초항은 0.9이고 등비는 1/10이었어요. 이 경우 등비의 절댓값이 1보다 작기 때문에 a/(1-r)에 대입해보면, 아래와 같아요. 이 등비수열의 합 0.9999…는 1에 수렴해요. 그런데 여기서 수렴한다(converge)는 말의 의미를 조금 더 자 ...
- [과학뉴스] 일본 노토반도에서 규모 7.6의 강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많이 흔들렸죠. 동일본 대지진은 2000년대 이후로 일본에 최악의 피해를 입힌 규모 9.0의 지진입니다. 또 이번 지진은 진원의 깊이가 16㎞로 얕아, 사람들이 더 강한 충격을 느꼈습니다. 지진의 충격은 지표면으로 올라오는 과정에서 많이 흡수되는데, 진원이 얕으면 충격이 고스란히 땅에 전달되죠 ... ...
- [기획] 소리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마하 1은 약 초속 340m다. 실제로는 고도에 따라음속이달라지기때문에,항상마하1이초속 340m인 것은 아니다. 본문에 소개된 기체의 속도는 기체를 개발한 기업의 소개 자료를 기준으로 ... ...
- [특별기획] 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증명할까 공전 주기, 질량, 공전궤도 경사각, 기원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펄서 PSR J0514−4002E의 동반성은 ‘무거운 중성자별’, 혹은 ‘가벼운 블랙홀’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지금까지 밝혀진 정보만으로는 당장 둘 중 무엇인지 정확하게 밝힐 수 없다. 그럼에도 이번 발견은 천체가 어느 쪽이건 ... ...
- 전술의 신 5. 승리 비결은 선수들의 노력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그래프의 파란색 선처럼 뒤이어 먹이를 찾아가는 개미의 수가 0에 가까웠다. 그런데 500마리 이상일 때부터는 앞서 먹이를 찾으러 간 개미들이 페로몬을 잘 보충했을 때 빨간색 곡선처럼 개미의 수와 비례해서 높아졌다. 개미의 수가 같아도 앞서서 페로몬을 뿌려준 개미가 많으면 뒤이어 페로몬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