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대정보기술"(으)로 총 909건 검색되었습니다.
- THE 2022 노벨상 NOBEL PRIZE과학동아 l2022년 11호
- 022년 10월 3~5일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됐다. 양자얽힘을 실험적으로 보여주고, 양자정보기술의 발전에 기여한 과학자들은 물리학상을, 화학상은 간단한 방법으로 두 분자를 결합하는 반응을 찾은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고유전체 해독 기술을 바탕으로 인류에 대한 이해를 넓힌 과학자는 ... ...
- 노벨상 분석 보고서 I 현대 과학의 토대를 쌓은 수상자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2022년 노벨상 수상자 발표 현장에 세상의 이목이 쏠렸다. 고유전체학부터 양자얽힘에 대한 연구, 클릭화학과 생체직교화학까지. 노벨상은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멀리는 1960년대부터 가깝게는 200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이들의 연구는 현재 우리의 생각과 삶을 바꿔놨 ... ...
- 2022 노벨생리의학상 I 인류 진화의 비밀 밝힐 타임머신을 만들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2022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고인류 유전체와 인류 진화에 대한 비밀을 밝혀 낸 스반테 페보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장에게 수여됐다. 페보 소장은 1997년부터 25년간 진화인류학 연구소에서 고인류 유전체 연구를 이끌어 온 ‘고유전체학(Paleogenomics)’ 분야의 개척자다.네안데르탈인 등 고 ... ...
- [이달의 책] 생각의 열쇠로 연 내면 세계의 문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이것은 인간입니까 엘리에저 J. 스턴버그 지음│이한나 옮김│심심264쪽│1만 7000원 기자는 춤을 좋아한다. 댄서가 돼 무대 위에서 춤을 추는 모습을 상상해 봤다. 평소 근육의 움직임과 몸짓을 고려해 춤추는 모습을 혼자 상상해보니 영 아니다. 꿈을 관뒀다. 실제로 춤을 추지 않았지만, 마음 속 ... ...
- [에디터 노트] 독자들과 코인을 캐는 상상과학동아 l2022년 07호
- 6월호에 첫 스타트를 끊은 ‘취미코딩’에 159명이 신청했습니다. 예상을 훌쩍 뛰어넘는 숫자였습니다. 그만큼 데이터분석을 배우고 싶은 사람이 많다는 의미겠죠. 모집기간이 끝난 뒤로도 관심을 보이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7월 10일까지 추가로 문을 열어두려 합니다. 관심있는 분은 참여 ... ...
- [기획] 떠난 자리에 남은 사람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원자력 산업계와 학계는 지난 5년간 탈원전 정책을 겪었다. 원자력 전공자 수 감소와 인재 이탈, 원전 산업계 매출 감소 등을 겪었다. 원전 생태계 속 대학생 그리고 직장인은 삶에 어떤 영향을 받았을까. 이야기 속 주인공은 3명. 수치로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 지난 5년간의 이야기를 이들 ... ...
- [특집] 포인트만 딱딱! ICM 관전 포인트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으악, 말도 안 돼!”올해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전 세계는 큰 충격에 빠졌어요. 수학계도 영향을 받아 국제수학연맹은 러시아의 군사 행동을 규탄하기 위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기로 했던 2022 ICM을 취소했어요. 결국 수학자들은 2022 ICM을 온라인으로 열기로 했지 ... ...
- 안드로메다행 음식배달비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과학적인 근거는 전혀 없지만, 인간이 가장 출출함을 느낀다는 저녁 10시. 굶주린 배를 채우기 위해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을 켭니다. 매콤달달한 떡볶이가 한 접시에 1만 원, 그런데 배달비가 5000원입니다. 아참, 실수했습니다. 배달지를 집이 아니라 안드로메다 은하로 설정했나 봅니다.집에서 겨우 ... ...
- [기획] 모두 함께 만들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나를 만들기 위해 많은 연구진이 힘을 합쳤어. 자그마치 300여 곳이지. 각 기업은 저마다의 기술로 부품을 만들었단다. 서로 힘을 모으면 못할 것이 없다고! 300개 기업의 꿈을 조립한 KAI누리호를 개발하기 위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외에도 300곳이 넘는 기업의 연구자들이 함께 힘을 모았습니다. 각 ... ...
-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아카데미를 통해 직접 해양데이터를 그래프로 표현해 보면서 기후변화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두 눈으로 확인했습니다. 기후변화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해결할 환경과학 연구의 필요성이 와닿았습니다.”인천남고 1학년 이현종 군은 지난 7월 14일 인천남고에서 진행된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