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로젝트"(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최초의 SETI 프로젝트는 프랭크 드레이크 당시 미국 코넬대 천문학과 교수의 ‘오즈마 프로젝트’로 1960년에 시행됐죠. 드레이크 교수는 약 4개월 동안 외계 지성체가 생성한 전파를 탐지하고자 했습니다. 의미있는 신호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연구는 이어졌습니다. 1961년에는 미국 버지니아주에 있는 ... ...
- 거대 소수 왜 찾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수십만 자리까지 계산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다국적 컴퓨터 기업 인텔에서는 GIMPS 프로젝트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펜티엄 II, 펜티엄 프로 칩을 출시하기 전에 테스트한 바 있다. 찾아야 하는 메르센 소수의 크기가 커서 계산량이 나날이 방대해지고 있다. 최근 발견된 메르센 소수 하나를 ... ...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앞서 소개한 쌍둥이 소수가 수학계에서 가지는 무게는 가볍지 않다. 쌍둥이 소수는 무한하다는 내용의 ‘쌍둥이 소수 추측’이 정수론에서 유명한 미해결 난제기 때문이다. 작은 수에서는 쌍둥이 소수를 발견하기가 쉽지만, 수가 커질수록 발견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수학계에서는 이런 쌍둥이 소 ... ...
- 앞으로 읽어도 뒤로 읽어도 똑같다 회문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1000000000000066600000000000001 이 수의 특징이 눈에 보이는가? 첫 자릿수는 1, 그다음 0이 13개, 숫자 666, 다시 0이 13개, 마지막은 1로 끝나는 서른 한 자리 소수다. 기독교에서 불운하다고 여기는 숫자인 666과 13이 모두 담겨있어 ‘악마의 소수’, 혹은 ‘벨페고르의 소수’로 불린다. 벨페고르는 기독교에 ... ...
- MBTI보다 정확한 유전자 검사 체험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과학동아 편집부 사무실 한 구석이 시끌벅적해졌습니다. 과학동아가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GP)’ 종료 20주년을 기념해서 쓴 유전체 특집기사(2023년 12월호)의 이벤트, 유전자 검사 결과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과학동아는 일상으로 부쩍 다가온 유전자 검사 기술을 체험하기 위해 유전체 분석 기업 ... ...
- [과동키즈] "과학도의 역량은 어디서나 꼭 필요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지원 업무를 맡고, 2~3년차부터는 ‘모듈’이라는 독립적 업무가 주어지는데요. 전체 프로젝트 내에서 특정 문제를 담당해, 가설 수립-보고서 구조 설계-결론 도출의 전체 과정을 담당 컨설턴트가 주도합니다. 이때부터 컨설턴트로서 제 몫을 한다고 말할 수 있죠. 과학고와 KAIST에서 받았던 이공계 ... ...
- 쌍둥이 소수 추측 신드롬의 전말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함께 소통하기 때문에 큰 장애물을 조금씩 넘는 방법이 쏟아져 나온다”라며, 이 프로젝트의 장점을 2022년 와의 인터뷰에서 언급한 적 있다. 메이나드 교수의 연구에서 영감을 얻은 수학자들은 다시 열정을 불태웠고, 2014년 4월, 소수의 간격을 246까지 줄였다. 메이나드 교수는 이 결과를 ...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쌍둥이 소수 추측하면 빼놓을 수 없는 메이나드 교수는 와 남다른 인연을 갖고 있다. 2019년에 와 한 차례 이메일로 인터뷰했고, 2022년 필즈상 시상식장에서 만나 이야기 나눴다. 이후에도 소수에 관해 취재할 때마다 메이나드 교수는 취재에 응해준 다정한 수학자다. 메이나 ... ...
- 여성 수학자의 열정 담기다, 소피 제르맹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4세기경 알렉산드리아의 수학자 히파티아 이후 여성 수학자는 좀처럼 등장하지 않았다. 근대 이후가 돼서야 여성 수학자가 그 빛을 다시 세상에 드러냈는데, 그가 바로 18세기 프랑스에서 태어난 여성 수학자 소피 제르맹이다. 왜 갑자기 여성 수학자 이야기를 하느냐고? 지금 소개할 소수에 이 수학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하면 두 언어를 번역하는 방법을 알아낼 수 있는 알고리즘입니다. 이를 통해 지구종프로젝트는 현재 까마귀, 벨루가, 얼룩말핀치새 등의 울음소리를 분석 중입니다. 인간이 아닌 종과 대화하기 위해 앞으로 남은 과제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먼저, 의미가 담긴 소리를 선별해야 합니다. 여러 소리가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