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포켓"(으)로 총 6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물론 단백질이나 핵산 같은 복잡한 생체 분자의 구조까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됐다. 포켓볼로 치면 처음에 공이 놓인 위치를 밝힌 것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공을 쳤을 때 전체 공이 어떻게 움직이느냐 하는 문제다. 분자의 구체적인 기능을 알기 위해서는 전체 원자들의 움직임을 파악해야 한다 ... ...
- 우주에 또다른 내가 산다?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앞서 ‘조각우주’라고 표현한, 관측 가능한 범위의 우주 하나하나를 ‘주머니(포켓)우주’라고 표현하며 완전히 다른 물리 법칙이 지배하는 이들 주머니우주를 모은 상위 우주를 ‘메가버스’라고 부른다. 메가버스는 널리 쓰이는 다중우주(멀티 유니버스 또는 멀티버스)를 대체한 용어다. 그리고 ... ...
- 지구 속 뚫고 달리는 진공튜브열차과학동아 l2011년 12호
- 편안하고 아늑하면서도 그보다 더 안전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비행기처럼 에어포켓이나 제트기류를 만나지 않아 심한 진동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엔진 소음이 심하게 나지 않는데다 KTX처럼 외부와 내부를 완벽하게 단절할 수 있어 소음이 나더라도 열차 내로 들어오지 않게 할 수 있다. 터널 ... ...
- 대칭 몸매에 행운이 따르는 팔방미인의 수 8수학동아 l2011년 08호
- 같은 영어 이름으로 된 12달의 명칭이 자리 잡게 된 거지.tip 스포츠에서 중요한 8당구에서 포켓 게임은 에이트볼이 라고도 부르는데, 15개의 공으로 경기를 하지만 검은색 8번 공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 조별경기는 8개의 조로 구성된다. 특히 승부를 겨루는 스포츠나 ...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정말 예뻤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작은 실수로 은메달을 차지한 그녀에게 먼저 포켓 당구 시범을 부탁했다. 평소 공을 힘으로 밀어 넣는 기자는 그녀의 시범에 입을 다물지못했다. 몇 번 공을 어느 구멍(포켓)으로 넣어달라고 주문하자 주문과 동시에 공은 백발백중 제 집 찾아가듯 빨려 ... ...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IYA2009가 인정한 응용프로그램으로 100% 한글을 지원한다. 증강현실 기능만 빼고는 포켓유니버스 수준의 정보와 기능을 담고 있다.일반인이 쉽게 과학을 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도 쏟아지고 있다. ‘콜리전1D(Collisions1D)’는 간단한 물리 실험을 도와준다. 공 모양의 두 개체를 충돌시켜 결과를 ... ...
- ‘제8회 3M 청소년 사이언스캠프’과학동아 l2009년 09호
- “이번에 주제로 제시된 ‘진화론’을 응용해 일본 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에서 포켓몬들이 왜, 어떻게 진화하는지 과학적으로 풀겠다는 특이한 조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어른들 시각으로 보면 얼토당토않은 주제일 수 있지만, 과학은 어린 시절의 호기심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과학동아 l2008년 02호
- 무려 1.36kg이나 나가는 스위스아미의 나이프가 2008년 세계기네스북에 '기능이 가장 많은 포켓나이프'로 올랐다. 재료시험에서 시료조각의 단면적 변화를 무시하고, 최초의 단면적으로 외력을 나눈 값둘 또는 그 이상의 천체의 무게중심 공통 무게중심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관성계(慣性系)에 ... ...
- 기획3. 가상 도둑 잡으며 학습한다과학동아 l2006년 05호
- U-러닝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인 ‘MIT 증강현실 시뮬레이션’(education.mit.edu/ar)의 예다. 포켓PC와 GPS를 이용해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효과적으로 연계하며, 그룹 게임 형태로 진행한다. 박물관뿐 아니라 대학 캠퍼스, 지역사회 등 실제공간에서 문제가 일어나고 참가자들은 GPS를 이용해 이런 공간을 ... ...
- 도시는 미디어다과학동아 l2006년 05호
- 술래잡기테리 룹의 ‘드리프트’(Drift, 2004년)는 참여자들이 반경 2km 이내의 지역에서 포켓PC, GPS 수신기 그리고 헤드폰을 지니고 거닐면서 헤드폰을 통해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사운드를 들으며 실재 공간을 표류한다. 방황의 연속, 방향 상실의 즐거움 그리고 예측 불가능성을 경험하며 평소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