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에서도 문제 없다! DNA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DNA는 해킹을 시도하면 그 DNA를 더 이상 쓸 수 없기 때문에 DNA 저장 장치는 보안이 강력한 편이라고 볼 수 있어요. Q DNA가 우리 일상의 저장 장치를 대체할까요?_최영재(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 교수)DNA는 정보를 저장하고 다시 불러오는 읽기쓰기 속도가 매우 느립니다. 그래서 꼭 보관해야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보여주는 것이 전부일까? 미디어 속 프레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클로스를 떠올리는 것처럼요. 최근 가장 우려가 되는 것은 소셜 미디어에서 재생산되는 편견과 고정관념입니다. 소셜 미디어에서 사람들은 자극적이고 극단적인 사례만 예로 들며 공유해요. 그래서 다른 성별, 다른 종교, 다른 세대, 다른 민족, 사회적 소수자를 혐오하도록 하는 콘텐츠가 늘고 ... ...
-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 페르마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그런 짤막한 내용이 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페르마의 아들이 아버지가 남긴 편지와 쪽지를 모아 1679년에 책을 만든 덕분에 그의 업적이 오늘날까지 전해질 수 있었다. 문제는 페르마가 종이에 남긴 추측을 증명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래서 혹자는 페르마가 수학적 아이디어를 떠올린 뒤 ... ...
- [전지적 독자 시점] 온가족이 외계 생명체에 대한 상상을 많이 하는 편이라 더더욱 관심이 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토록 광활한 우주에 인간만 존재할 리 없습니다. 하지만 외계 생명체가 있다는 명확한 근거도 없죠. 한번도 본적이 없으니까요. 그렇다고 가만히 있으 면 인류가 아닙니다. 언젠가 만날 그날을 기다리며, 외계 생명체와 대화하는 방법을 찾고 있죠. 그 방법 중 하나가 언어가 통하지 않는 동물과 ... ...
- 티타임 속 과학 이야기5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대한 완전한 해답을 처음 제시한 건 알버트 아인슈타인이다. 아인슈타인은 1926년 한 편의 논문을 통해 찻잎 패러독스가 찻잔과 차 사이의 마찰력 때문에 발생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doi: 10.1007/BF01510300아인슈타인의 설명은 이렇다. 찻잔 속 차를 휘저으면 처음에는 구심력에 따라 유체가 찻잔 가장자리 ... ...
- [과동키즈] "과학도의 역량은 어디서나 꼭 필요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컨설턴트가 공유하는 도구 컨설팅 업계는 개개인의 성과 평가가 상당히 냉정하고 잦은 편이며, 역할을 해내지 못하면 가차없이 이직해야하는 분위기입니다. 이걸 ‘업 오어 아웃’이라고 표현하죠. 그렇기에 첫 1년 반 정도는 컨설턴트의 기본 소양을 익히며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기억력과 강인한 정신력으로 독일과 러시아를 오가며 연구를 이어갔다. 이때도 매주 한 편씩 논문을 작성했다고 전해진다. 오일러가 수학에 공헌한 내용은 다양한데, 현대에 널리 사용되는 표기법을 만든 것이 대표적이다. 자연로그를 정의하는 상수 e를 만들었고,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 ...
- 타디그레이트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선은 그런 미아의 모습이 신기했다. 통계적으로 사이보그의 도서관 이용률은 극히 낮은 편이었다. 그 덕분에 사이보그의 출입이 거의 없는 조용한 도서관은 선에게 그야말로 좋은 안식처였다. 그런데 미아는 아주 독특했다. 뉴로어스보다 실제 도서관을 선호하며, 구태인, 아니 자연인에게 관심이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아니다. 이제 이 로봇이 부드럽게 작동하도록 제어해야 한다. 앉은 자리에서 책상 저 편 멀찍이 떨어진 컵을 잡는 동작을 생각해보자. 그냥 팔만 뻗어서는 닿지 않을 곳에 물체가 있다면 인간은 자연스레 허리를 함께 구부린다. 동작 하나를 할 때 전신을 한꺼번에 제어해야 하는 것이다. 이때 ... ...
-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이 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모든 조건을 상대적으로 잘 만족시킵니다. 비문을 생체정보로 활용한 역사는 꽤 깊은 편입니다. 북아메리카를 대표하는 캐나다 국립 애견단체인 ‘캐나다켄넬클럽’은 약 80년 전인 1938년부터 1992년까지 개의 고유 식별방식으로 비문 등록을 허용했습니다. 잉크 패드를 개의 코에 대 잉크를 묻힌 뒤,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