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트러스"(으)로 총 5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형태다. 다리는 생긴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뉘는데, 가장 대표적인 형태가 아치교, 트러스교, 사장교, 현수교다. 다리를 건설하는 지반의 종류에 따라 바람이나 지진을 잘 버틸 수 있는 구조물을 선택한다. 길이가 긴 다리는 여러 모양을 합쳐서 만들기도 한다. 바다를 가로지르는 다리 중 가장 ...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공법을 이용한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예요. 그렇다면 굳이 삼각형 구조를 기초로 한 트러스 공법을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삼각형이 가진 힘 때문이에요. 삼각형은 다른 도형과 달리 변의 길이만 정해지면 모양이 조금도 변형되지 않는 튼튼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요. 주변에서 흔히 구할 ... ...
- [섭섭박사가 간다!] 힘을 분산시켜 튼튼! 현수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반원 모양인 아치를 이용해 다리의 균형을 유지하지. 트러스교는 연속된 삼각형 구조인 트러스를 이용해 만든 다리야. 사장교는 다리의 기둥과 상판을 줄로 직접 연결한 구조란다.어? 박사님~, 사장교랑 현수교가 비슷하게 생긴 것 같아요.맞아~. 둘 다 줄을 이용해 만든 다리지. 하지만 현수교는 ...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압력을 이용해 크레인을 움직이고, 크레인에 가해지는 무게를 적절히 분산시키기 위해 트러스 구조로 크레인을 만든다. 이렇게 기본적인 기구의 움직임을 통해 원리를 이해하고 공구를 다루는 법을 손에 익힌다. 기본기를 탄탄히 익힌 뒤 요트 만들기, 열기구 만들기를 할 수 있다.20년을 지켜온 ... ...
- 트러스-아치 구조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큰 하중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는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우리 몸에도 아치가 숨어 있다트러스 구조와 아치 구조는 앞에서 살펴 본 다리, 지하철 역사, 체육관 지붕 뿐만 아니라 경주 불국사 백운교에서도 볼 수 있고 여러 고궁의 돌다리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음료수가 들어 있는 캔의 바닥은 오목한 ... ...
- 우주에서 온 로보너트2의 편지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느끼는 힘 센서와 촉각 센서도 들어가거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연구진이 나를 덱스트러스 방식으로 만든 이유는 더 다양한 분야에 나를 활용하기 위해서야. 집게손은 빵이면 빵, 접시면 접시처럼 한정된 대상만 집어 올릴 수 있어. 하지만 나는 다양한 크기의 물건을 쥘 수 있지. 그리고 ... ...
- 미래도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우주로 가져가기 쉽고 우주에서도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건축물을 개발했다. 트러스 구조는 여러 개의 직선 재료를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삼각형 형태로 배열해 힘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달에 있는 재료로 만드는 달 도시달 표면에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건설에 필요한 재료를 달 ...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있습니다. ‘사람과 똑같은 로봇손’만 전문으로 연구하는 사람들도 있으니까요. ‘덱스트러스(Dexterous)’ 방식이라고 하는데, 이 글에선 편의상 손가락 형이라고 부르겠습니다.손가락 형 로봇손은 사람의 손동작을 흉내 낼 수 있도록 네 개, 또는 다섯 개의 손가락이 붙어 있고, 손가락마다 3개 ... ...
- 야옹이 구출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2호
- 구조다. 보통 직선 형태의 재료는 누르는 힘을 받으면 휘어지면서 끊어지려한다. 그러나 트러스 구조에서는 윗판과 아랫판, 그사이에 있는 대각선 판까지 여러 개가 누르는 힘을 나눠 받기 때문에 버티는 힘이 더 강해진다.이렇게 해 보세요!나무젓가락을 다리에 끼운 뒤 끈을 걸어 ...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수학동아 l2010년 11호
- 지었다. 짧고 가벼운 재료를 조립해서 긴 다리를 쉽게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의 트러스교는 정사각형에 대각선을 이은 구조로 삼각형의 안정성을 잘 살렸다.19세기 초에는 나무를 쓰다가 후반으로 갈수록 철강을 사용했다. 포물선 줄, 비스듬한 줄높은 산에 가면 봉우리와 봉우리를 잇는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