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내일 기상 10년 뒤 기후, 수학으로 예측!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계산에 쓸 수 있도록 값을 정리한다. 2단계에서는 대기를 작은 그물망처럼 나눈 격자마다
측정
한 값을 예측 방정식에 대입해서 예측값을 구한다. 이때 계산량이 매우 방대하므로 슈퍼컴퓨터가 필요하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계산된 값을 그림이나 표처럼 보기 좋은 형태로 표현한다. 한국형 ... ...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혈당 관리 방법은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위해서는 적당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매일 체중을
측정
하는 습관과 음식을 식판에 담아 먹는 습관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또 짜게 먹을수록 밥과 같은 탄수화물을 더 많이 섭취하게 됩니다. 싱겁게 먹는 습관도 비만과 당뇨를 예방하고 혈당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가열한 수은과 공기를 반응시켜 산화수은을 만든 후, 반응 전과 후의 질량을
측정
했다. 그 결과 산화수은의 질량이 오히려 늘어났음을 보였다. 라부아지에는 금속이 녹슬면서 플로지스톤이 방출되는 것이 아니라, 산소와 결합하는 것이라는 해석을 제시하면서 플로지스톤 이론 체계를 뒤집기 ... ...
브롤스타즈 반사의 법칙 따라 총 쏘기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계속 변하기 때문에 총을 쏠 지점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수학을 이용하면 정확히
측정
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교점의 수선 발을 향해 쏘는 것이다. 리코의 위치에서 벽에 내린 수선의 발(A)과 상대방의 위치를 이은 선분(파랑), 상대방의 위치에서 벽에 내린 수선의 발(B)과 리코의 위치를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판단할 수 있는 명제만을 생각합니다. 물론 기상청에서 정한 기준대로 정확하게 온도를
측정
하고 있다는 가정하에서 얘기하고 있다는 전제 조건도 잊는 일이 없어야 합니다. 명제가 아니라면 그 진위를 정확히 판단하는 기준이 없어 보편타당하게 적용할 수 있는 원리인지 알 수 없으므로 ... ...
통계로 정해지는 이적료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비슷하면 앞으로의 활약을 기대해볼 만한 유망주의 가치가 더 높게 평가된다. 이적료
측정
은 통계로! 적정한 이적료를 책정하기란 어려운 문제다. 고액의 이적료를 지급하고 선수를 데리고 왔는데, 그만큼의 역할을 하지 못하면 비용을 낭비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2021년 국제축구연맹(FIFA) ... ...
전술의 신 4. 탄탄한 수비진 짜는 팬의 알고리듬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점으로 보고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그려 실시간으로 적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측정
했다. 입구에서 가까운 추격자만 직접 적을 향해 가고 나머지는 적에게 접근해 적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했다. 시뮬레이션해 보면 모두가 적을 쫓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적의 탈출을 막고 ... ...
수학으로 설계된 롤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e스포츠의 대명사로 통하는 롤드컵은 세계적으로 뜨거운 인기를 자랑한다. 지난해 롤드컵 결승전에서는 전 세계 시청자 수가 1억 명을 돌파하기도 했다. 롤드컵은 롤 ... 맨해튼 거리와 유클리드 거리를 모두 구해서 알아보고, 게임을 하며 어느 거리로
측정
한 것이 더 맞는지 생각해보자 ... ...
[특별기획] 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다르게 관측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지 않고 쌍성 운동을 분석하면 쌍성의 질량을 잘못
측정
할 수 있다. 때문에 공전궤도 경사각은 정확한 질량을 파악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다. 이 역시 펄사 타이밍을 분석해 확인한다. 다만 정확한 경사각을 예측하기 어려워 오차 범위를 둔다. 연구팀은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어떤 신호가 검출기에 검출되고 스테인리스 속 수조에서 체렌코프 효과에 의한 빛이
측정
된다면 검출기에 검출된 것이 중성미자가 아닌 뮤온이라고 해석해 해당 데이터는 버리는 식이다. 조서연 독자는 “비싸고 복잡한 기구들이 아닌 물로 뮤온을 거른다는 사실이 매우 신기하다”고 말했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