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지자
후원자
신봉자
뇌동자
모방자
아류
아첨꾼
d라이브러리
"
추종자
"(으)로 총 37건 검색되었습니다.
오픈소스 문화의 영웅들 리눅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테스트에 리눅스의 이름을 내걸고 나가는 것도 대부분 레드햇 제품이다. 전세계 리눅스
추종자
수천명을 실리콘밸리에 모아 ‘리눅스 월드 엑스포’를 개최하는 등 적극적인 마케팅도 펴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8월 골드만삭스를 주간사로 미국 나스닥에 상장했을 때 주가가 이틀만에 14달러에서 ... ...
생명의 신비에 도전하는 셀레라지노믹스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항상 크게 생각하고 이를 큰 목소리로 주장하는 선동가로서 탁월한 소질이 있어 많은
추종자
를 이끌어내는 동시에 이곳 저곳에서 적을 만드는 유형이다. 반면 스미스는 노벨상 수상자임에도 불구하고 겸손하고 소극적이어서 동료들로부터 자만심이라고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사람이라는 평을 듣고 ... ...
⑦ 복제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참여할 한국 과학자와 연구소를 찾는다’는 광고를 게재했다. 클로나이드사는 외계인
추종자
프랑스인 라엘이 지난 1997년 설립했으며, 미국과 캐나다에 이어 한국에 지사를 냈다. 물론 현재 인간복제는 윤리적인 문제 때문에 실현되기 어렵다.이에 비해 세계적으로 동물의 복제는 점차 확산되고 ... ...
배타적인 것은 서로 보완적이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보어의 상보성원리는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원리와 결합해 코펜하겐에 모여든 보어의
추종자
들에 의해 ‘코펜하겐 해석’이라는 이름으로 세상에 전파됐다. 한편 “양자역학이 측정해낸 것 너머에 더 깊은 실재는 없다”고 주장한 코펜하겐 해석은 아인슈타인, 막스 플랑크 등 과학계의 원로의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이 사실을 비밀에 부치고 어떻게든 $\sqrt{2}$를 자연수로 표현해보려 애썼다. 이런 와중에
추종자
의 한 사람인 히파수스가 비밀을 외부인에게 누설시켰다. 그러자 분개한 동료들이 히파수스를 바닷물에 던져 사망시켰다고 한다. 신념 때문에 새로운 과학 지식을 유연하게 받아들이지 못하고 무모한 ... ...
전염병 실체 밝힌 세균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아니었다. 뮌헨 대학의 위생학 교수이던 페텐코퍼가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그는 코흐의
추종자
들에게 내기를 제안했다. 자신이 콜레라 배양균을 마신 뒤에 어떤 결과가 초래될지 보자는 것이었다.페텐코퍼는 약속대로 시험관에 가득히 담긴 콜레라균 배양액을 벌컥벌컥 마셨다. 며칠이 지나도록 ... ...
성은 왜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성은 종이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을 증대시킨다는 뜻이다.바이스만의 주장은
추종자
들인 영국의 로날드 피셔와 미국의 헤르만 뮐러에 의해 더욱 공고해졌다. 현대 유전학의 개척자들인 두사람은 1930년과 1932년에 각각 펴낸 저서에서 유전자의 개념을 바이스만의 주장과 연결하여, 성을 가진 ... ...
② 과학으로 풀어본 X파일의 실체 : 치유의 손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비틀즈 멤버였던 조지 해리슨 등과 같은 유명 인사 상당수가 이른바 ‘성령 치료’의
추종자
로 알려져 있다.성령 치유사들은 몇가지 부류로 나눠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이 가운데 전형을 이루는 것은 그들이 절대자를 근원으로 하는 치유 에너지를 환자에게 전달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거나, ... ...
Ⅰ. 현지취재, 미국 라인연구센터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남자들, 숄을 걸칠 부인들. 그리고 어두운 산과 음산한 구름이 담겨 있었다. 또 자파타의
추종자
들은 멕시코 계통의 인디언이었다. 어위 박사가 말한 꿈과 거의 일치하는 장면들이었다.학자들은 보다 흥미로운 실험을 계획했다. 꿈을 꾸면서 미래의 사건을 예측할 수 있을까. 실제로 이 일이 ... ...
4 기술투자 증가율 미국 압도, 서구 헤게모니 위협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기존의 서구 기술 모방에 대한 한계가 노정됐다. "과연 일본은 기술 개발에 있어
추종자
의 위치에서 선도자의 위치로 자리바꿈을 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이 경쟁국 뿐만 아니라 일본 국내에서도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현재 일본은 최근 10년 사이 1명의 자연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를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