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체구"(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네안데르탈인, 너 식인종이었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서유럽부터 시베리아 지역까지 널리 살았던 인류였다. 현생인류보다 두뇌가 더 컸고 체구도 다부졌으며, 외모도 우리와 별로 다를 바 없고 지적 능력도 뛰어났다. 하지만 20세기 유럽인들은 이들이 현생인류보다 열등하고 미개한 ‘원시인’이었다고 믿었고, 이들에게는 틀림없이 폭력적인 식인 ... ...
- [Knowledge] 거대 악어의 반격이 시작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뒤엎는 발견이었다. 왜냐하면 그때까지 알려진 공룡시대의 악어들은 모두 공룡보다 작은 체구였기 때문이다(지난 호 참조). 홀랜드는 이 거대한 악어에게 ‘무서운 악어’라는 뜻의 그리스어‘데이노수쿠스’라는 학명을 붙여줬다. 데이노수쿠스는 1909년 학계에 공개됐는데, 거대한 덩치 때문에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두뇌 크기가 600cc 정도로 작고(오스트랄로피테쿠스(450cc)와 에렉투스(900cc)의 중간이다), 체구도 왜소한 화석 인류가 발견됐다. 문제는 생존 연대인데, 약 18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호모 에렉투스가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시기로, 이 작고 원시적인 인류가 에렉투스와 최소한 비슷하거나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돋보기와 몽당연필 대신 카메라를 들었다는 점일 테다. 정 박사는 키 160cm가 안 되는 작은 체구지만 커다란 DSLR을 항상 메고 다닌다. 60mm 렌즈에 외장형 플래시를 두 대나 달아놓았다. 곤충기에 쓸 재료를 모을 때는 메모를 따로 하지 않는다. 모습은 사진으로 찍고, 행동은 머릿속에 기억한다. 곤충 한 ... ...
- [Life & Tech] 세상이 궁금한 수원청개구리의 외출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수조를 막 나온 수원청개구리. 수원청개구리는 보통 청개구리보다 체구가 작고 벼에 매달리기 좋아하며 논둑의 잡초 속에서 쉬는 게 특징이다.➋ ➌ 서울대와 이화여대의 수원청개구리 연구팀이 논에 수원청개구리를 풀기 위해 들어가고 있다.➍ 연구를 이끈 장이권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➎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좋지 못하자 올해는 새로운 로봇 ‘DRC 휴보Ⅱ’를 개발했다. 기존 휴보와 비교해 힘과 체구, 안정성과 운동능력 등 모든 면이 확연하게 달라졌다.팀 카이스트를 우승으로 이끈 오준호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장(기계공학과 교수)은 “후쿠시마 원전현장을 고려했기 때문에 이번 대회를 흔히 ... ...
- [Hot Issue] 고개 숙인 마린보이, 스테로이드의 유혹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히트가 나왔는데요. 가장 많이 스플래쉬 히트를 기록한 사람은….”처음으로 조그마한 체구의 중국인 가이드는 말끝을 흐렸다. 관광객들은 씁쓸한 표정을 지으며 웃어 넘겼다. 말을 하지는 않았지만 우리 모두 그가 누군지 알고 있었다. 2001년 메이저리그 단일 시즌 최다홈런(73개)을 기록하며 신이라 ... ...
- [Hot Issue] DRC휴보II 올해 6월 DRC 우승 노린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한층 더 커지고 무거워졌다. 155cm였던 키는 168cm로 커졌으며 무게도 25kg 늘어 80kg의 육중한 체구를 갖게 됐다.신형 DRC휴보의 가슴속(➍)에는 두 대의 고성능 컴퓨터가 들어있다. 한 대는 기존 휴보처럼 전신의 기능을 제어하지만, 또 다른 한 대는 시각정보를 전문으로 처리한다. 지난 대회에서 ... ...
- 하늘에서 가장 쎈 전투기는?과학동아 l2013년 12호
- F/A-18은 처음부터 양쪽의 성능을 노리고 개발한 사례다. F-16과 비슷한 성능을 가졌지만 체구는 조금 더 크고, 기민함에서는 다소 떨어진다. F-16보다 고성능 레이더를 가지고 있으며, 두 개의 엔진을 달고 있어 안정성도 높다. 전자장비가 발달하지 못한 과거에는 전투기의 주 임무는 근접전이었으므로 ... ...
- 인류탄생 - 난쟁이 인류, ‘호빗’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아닐까요. 학자들은 플로레스인이 현생인류라는 주장과, 현생인류가 아니라 아주 작은 체구의 새로운 인류라는 주장으로 나뉘었습니다.논쟁은 먼저 두개골에 집중됐습니다. 두뇌 용량이 400cc가 채 넘지 않았는데, 갓난아기나 어른 침팬지보다 뇌가 작았습니다. 반면 현생인류 중 난쟁이는 다릅니다.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