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층"(으)로 총 50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포자, 지하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환경이 되면, 세균은 포자 상태에서 깨어나 다시 활동을 시작한답니다. 지하수는 지층 또는 암석 틈새에 고여 있거나 흐르는 물을 말합니다. 바다를 제외하고 전 세계 민물의 약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죠. 지표면에 내린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다가 더 이상 스며들지 못하고 암석 위로 ... ...
- [이달의 책] 45억 년 지구가 보여주는 가장 놀라운 지형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파노라마처럼 펼쳐진 아름다운 사진, 지형 형성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3D 지형도와 지층 단면도 등의 시각 자료와 결합해서 세계 여행의 생생한 경험으로 바뀐다.오스트레일리아 북동해안을 따라 이어진 그레이트배리어리프는 세계 최대 산호초 군집이다. 약 3400개의 단일 산호초와 약 300개의 ... ...
- 생명의 블록, 어떻게 맞춰졌을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열수분출공이다. 열수분출공은 뜨거운 물과 가스가 솟아 나오는 굴뚝형 지형이다. 지층 사이로 들어간 바닷물이 지각 아래에서 가열돼 지각의 여러 화학 물질과 함께 뿜어져 나온다. 열수분출공은 1976년 처음 발견됐을 당시부터 생물학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햇빛 한 점 없는 심해였지만, ... ...
- [4컷 만화] 페름기 대멸종, 육지생물의 멸종 원인은 자외선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않았어요.연구팀은 페름기 대멸종 당시의 환경을 알아보기 위해 페름기 대멸종 때 지층이 있는 티베트 남부 지역에서 당시 번성했던 양치식물인 ‘알리스포라이트’ 화석 1011개를 채취해 성분을 분석했어요. 분석 결과, 페름기 대멸종 이후 화석에서는 식물에 내리쬐는 자외선이 강해질 때 세포 ... ...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후보 중 인류세실무연구단의 투표를 거쳐 과반수(60%)가 찬성하면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층이 정해진다. 그렇다면 언제 최종적으로 국제표준층서구역이 정해질까. 세 곳의 후보는 이미 작년 말에 탈락했다. 터너 교수는 2월 3일, e메일 인터뷰에서 “작년 12월 17일 남은 9곳의 후보를 두고 1차 투표를 ... ...
- 물속 생활 즐긴 공룡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담당했다. 나토베나토르는 중생대 백악기 후기인 약 7000만 년 전 몽골 고비사막 바룬고욧 지층에서 발견됐다. 키 30cm, 몸길이 약 60cm로 오늘날의 오리와 비슷한 크기다. 두개골은 성인 남자 손바닥의 절반을 겨우 차지한다. 위아래로 넓적한 주둥이 사이에는 좁쌀보다 작은 크기의 이가 100여 개 박혀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공룡 화석 발굴 게임을 해봤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산지를 돌아다니며 다양한 화석을 발굴하고 복원하면 됩니다. 나만의 박물관에 헬 크릭 지층에서 발굴한 티라노사우루스 화석을 전시한다고 상상해보세요. 이 게임, 확실히 고생물학 애호가들의 로망을 자극하지 않나요? 뿐만아니라 고생물학자의 땀과 노력도 알 수 있으니 유익하군요. 예상외로 ... ...
- [기획] Q&A 한국은 공룡이 뛰놀던 낙원! 유네스코 등재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반면 수도권에는 중생대 지층이 거의 없죠. 강원도에는 중생대 지층이 아예 없고 고생대 지층만 있어요. 그래서 대부분 중생대에 살았던 동물의 발자국 화석은 남해안 쪽에서 발견되는 거예요. Q우리나라에서 뼈 화석보다 특히 발자국 화석이 많이 발견되는 이유가 뭘까요? 임종덕 첫째, 뼈는 한 ... ...
- [가상 인터뷰] 공룡 멸종시킨 소행성, 얼마나 강력했나?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충돌 시기에 지층의 퇴적물이 온전하지 않고 뒤섞여 있는 것을 확인했지. 연구팀은 “지층 자료가 모의 실험 결과와 거의 일치한다는 점에서 소행성 충돌의 영향을 확인할 확실한 증거를 찾은 셈”이라고 밝혔단다 ... ...
- [과학 뉴스] 인간의 진화는 물고기에서 시작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고생물학 및 고인류학 연구소 주민 교수팀은 중국 남부지역인 귀저우의 4억 3900만 년 전 지층에서 수천 개의 파편화 된 골격, 비늘, 이빨 화석을 발견해 분석했어요. 연구팀은 화석이 발견된 지역의 인근 산의 이름을 따와 이 멸종된 종의 이름을 ‘판징샤니아 레노바타(Fanjingshania renovate)’라고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