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점
터미날
터미널
종단역
종착지
시발역
종점도시
d라이브러리
"
종착역
"(으)로 총 32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는 재활용 불가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있어야 한다. 배기 가스와 같이 퍼져나가서 흩어져 버리면 쓸모가 없어진다.에너지
종착역
, 열에너지는 다른 형태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에너지는 물을 증발시켜 다시 비로 내리게 한다. 높은 곳에 있는 물의 위치에너지는 물이 아래로 내려오면서 운동에너지로 변하고, 이것으로 발전기를 ... ...
1. 동굴벽화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컴퓨터의 발전 속도에 맞춰 인간의 손에서 컴퓨터로 옮겨가고 있다. 아마 애니메이션의
종착역
은 컴퓨터가 아닐까 싶다. 우리나라 애니메이션 산업은 세계 3위권 안에 든다. 그러나 대부분 외국 애니메이션 작품을 하청 수주한 것에 불과하다. ‘기술은 있지만 머리는 없는’ 단순한 노동 집약 ... ...
수증기 먹고 자라는 거대에너지 태풍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나선 모양이 형성된다(그림3). 3. 태풍은 어떻게 생을 마감하나 - 바람 타고 북상, 육지가
종착역
태풍의 수명은 1주일에서 1개월 정도다. 태풍은 북동무역풍(북위 0-30도)과 편서풍(북위 30-60도)을 타고 움직이기 때문에 처음에는 서쪽으로 치우쳤다가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북상한다. 태풍은 이 ... ...
1 아날로그·디지털전쟁, 누가 승자일까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TV수상기에서는 아날로그신호로 바뀌어야 시청자들이 알아본다. 디지털의 출발과
종착역
은 아날로그다. 그렇다면 디지털은 영원히 아날로그에 승리를 거둘 수 없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 ...
침강된 지각 용암형태로 재분출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자신이 그 이론을 선호하기는 하지만 아직 경계부나 상부 맨틀의 바닥이 지판의 마지막
종착역
이며 플룸들의 기원인지는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화산형성을 둘러싼 세가지 이론많은 지질학자들은 핵으로부터 상승한 열이 플룸을 움직이는 에너지의 1차적인 기원이라고 믿는다. 과거 언급돼왔던 ... ...
AIDS비상, 환자관리 이상 없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AIDS(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후천성면역결핍증)라고 칭한다.즉 AIDS란 HIV 감염증의
종착역
이다. 여기에 이르면 면역기능이 저하돼 각종 기회감염이나 이차적인 악성종양에 걸림으로써 결국은 사망하게 된다. HIV에 감염된 후 AIDS로 발전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은 사람에 따라 차이가 많지만, ... ...
새로운 구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주판에서 시작하여 톱니바퀴식 파스칼계산기를 거쳐서 결국
종착역
에 도달한 컴퓨터는 인간의 두뇌구조에까지 왔다. 최근 들어서 인간두뇌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보다 대용량의 병렬처리기를 만들기 위해선 동물 가운데 생리기능이 가장 복잡한 인간을 연구해야만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진출하고 거기서 새로운 고향을 만들어나가는 인간들의 모습을 묘사한 작품 계열의
종착역
이라 할 만하다. 또한 이것은 '접촉 이후' 즉 지구와 행성 탐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대담하게 다룬 작품이다. 클라크는 그의 뛰어난 과학적 상상력과 그에 따른 치밀한 구성력으로 70년대 이후에도 정통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입체적인 구조연구에 중점을 둬 온 단백질연구는 그 1차목표가 달성되자 이제는 유전자재조합기술과 결합해…어떤 기계의 작동원리를 이해하려면 그 구조를 우선적으로 파악해야 하는 것이 순서다. 마찬가지로 단백질의 생물학적 기능을 분자 메커니즘 수준으로 밝혀내기 위해서는 단백질 자체 ... ...
계산하는 기계를 좇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숙달에만 전념해왔다. 그러나 서양에서는 계산 기구자체의 개량이 거듭되어 왔다. 그
종착역
은 물론 컴퓨터다. 17세기 스코틀랜드의 존 네이피어는 복잡한 수의 간편한 계산을 위해서 대수표를 만들기 시작했다. 그의 노력은 오트레드의 도움으로 계산자(slide rule)로 발전했다. 그 기구는 15년전만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