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리"(으)로 총 3,2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연구 분야는 조합론과 계산수학이며, 램지의 정리에서 R(3,t) 값의 크기 함수를 구해 1997년 풀커슨 상을 수상했다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과학에 쓰이는 돈 어떻게 가져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연구계획은 무엇이며 이때 드는 예산은 얼마정도인지가 정리돼 있습니다. 그러면 정부는 과제 제안서를 보고 예산을 지원할 팀을 선정합니다. 김공룡 박사의 과제 제안서가 운좋게 선정된다면, 정부의 돈을 받고 계획한 대로 연구를 진행하면 ... ...
-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세상이 너를 중심으로 돌지 않아도 괜찮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말했죠. 500년 후인 2세기 로마 시대에 살던 프톨레마이오스가 이 주장을 더 깔끔하게 정리한 것이 바로 하늘이 움직인다는 뜻을 지닌 천동설입니다. 갈릴레오, 망원경으로 지동설 밝히다! 오늘날의 생각과는 달리, 천동설은 1000년 넘게 천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학설로 쓰였어요. 우리나라도 600년 ... ...
- 초고에너지 우주선, 그 입자엔 왜 신의 이름이 붙었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따라 다르다. 양성자의 경우 GZK 반지름은 약 3억 2616만 광년에 달한다. 설명이 길었다. 정리하자면 아마테라스 입자나 오마이갓 입자가 가진 에너지가 GZK 에너지보다 높으니, 이는 곧 지구를 기준으로 대략 3억 2616만 광년 반경 안에서 왔다는 뜻이다. 이야기가 여기서 끝났다면 과학자들이 혼란에 ... ...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참과 거짓의 과학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지목한 것이다. 추가적인 조사 결과, 속옷에서 발견된 새아버지의 DNA는 속옷을 세탁하고 정리하는 과정에서 묻어나왔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최 실장은 “과학수사는 통화 내역, DNA, 그리고 진술까지 다양한 분야가 협업해 퍼즐을 맞추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사건도 마찬가지다. DNA ... ...
- 소수만 거르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1과 자기 자신이 아닌 약수를 반드시 가지기 때문에 남은 수는 소수가 된다. 정리하면 소수를 찾기 위해 동그라미를 치고 지우는 작업은 많아야 √N 까지만 하면 된다. N까지의 소수를 구하려면 √N 까지의 소수를 체에 거르기만 해도 충분하다는 명제가 증명된 것이다. 이 방법은 오늘날까지 ... ...
- [Chapter3] 궁극의 문제, 소수 공식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수학 괴담 소수와 관련 있다?악마의 문제 수학계에 소문난 무서운 이야기가 있다. 천재 수학자의 정신을 앗아갔다고 알려진 문제에 관한 것으로, 문제의 별칭도 ‘악마의 문제’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미국 수학자 존 내시다. 그는 수학적 업적이 경제학에 미친 영향력을 인정받아 66세가 ... ...
- 소수가 나오는 범위에 집중한 가우스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를 발견한 것도 가우스다. 1801년에는 저서 를 써서 정수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도 했다. 1792년 겨우 15세였던 가우스는 매일 15분씩 투자해 어떤 수가 소수인지 따졌다. 가우스는 수를 1000씩 나눠 끈질기게 세었다. 결국 1부터 100만 개 정도까지 조사하면서 중요한 발견을 했다. 바로 ... ...
- 편지에서 시작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다시 오일러의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리만 가설보다 더 오래된 난제 이야기다. 한 편지에서 시작된 소수에 관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이다. 골드바흐의 추측은 이 편지 한 통에서 시작됐다. 당시 최고의 수학자인 오일러에게 18세기 러시아 수학자 크리스티안 골드바흐가 편지를 보냈다. 난 ...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경우는 언제 나타나는지 밝히는 것이다. 즉 실수를 유리수로 근사시킬 때의 오차에 관한 정리다. 이런 업적으로 정수론계의 유망주로 떠오른 메이나드 교수는 2022년 필즈상을 거머쥐었다. 필즈상 수상 이후 그는 대중 강연에서 종종 모습을 드러내는데, 그때마다 소수의 아름다움에 대해 연설한다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