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열세
d라이브러리
"
전력부족
"(으)로 총 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소경제 실현, ‘생산·저장·운송’ 해결해야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오늘날 수소는 ‘친환경 연료’란 이름값을 하지 못한다는 비난에 직면해 있다. 수소에너지를 사용할 땐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지만, 수소를 만들 때 온실가스가 나오기 때문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19년 발표한 보고서 ‘수소의 미래’에서 “오늘날 전 세계 수소 생산량 약 7000만 t(톤) 가운 ... ...
[인터뷰] “도시 다양성·복잡성 살릴 모빌리티 실험 필요해”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2000년대 초반, 도시학자들은 철학적 문제에 매달렸다. 과연 미래에도 지금처럼 도시가 존재할 것이냐는 질문이었다. 교통과 개인 이동통신이 충분히 보급되면 굳이 비싼 비용을 들여 힘들게 모여 살 필요가 없으니 도시가 사라질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물론 당시 결론은 ‘그래도 도시는 사라 ... ...
굴뚝 산업에서 반도체 산업으로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2019년 11월 공개한 전기차 사이버트럭의 모습. 최상급 모델은 40 퓨처 모빌리티 한 번 충전으로 805km 이상 달릴 수 있다. 국내에 처음 전기차가 도입된 것은 2009년 무렵이었다. 정부가 탄소배출을 줄이고자 전기차 보급 촉진 정책을 펴며 적극적으로 나섰지만 큰 성과는 ... ...
전기차에 날개 달 미래 기술5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국제에너지기구(IEA)의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 도로 위를 누빈 전기차의 수는 1100만 대다. 지금의 성장세가 이어진다면 10년 뒤에는 전기차가 1억 4500만 대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아직은 급속 충전소 등 인프라가 부족하고 운행거리와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전기차의 본격적 ... ...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인공지능 반도체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인공지능(AI)이 생활 깊숙한 곳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도로 위에는 AI가 운전하는 자율주행차가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도시나 실내 곳곳을 연결하는 사물인터넷(IoT) 센서도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I를 이용한다. 이런 추세에 발맞춰 AI의 ‘두뇌’인 반도체도 발전하고 있다. 특 ... ...
리튬이온배터리 전성시대 그 이후를 꿈꿉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리튬이온배터리의 성능은 지난 30여 년간 꾸준히 높아져 에너지저장 밀도에 있어서는 이론적 한계에 거의 도달했습니다. 우리 연구실은 이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배터리와 소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홍승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는 리튬이온배터리가 뛰어난 성능을 ... ...
더 작게 더 빽빽하게│ ‘초고집적 반도체’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이 기술은 최첨단 3차원 반도체에 필적하는 고성능 단층 트랜지스터의 잠재력을 보여준다. 기계 장치를 더 작게 만들며, 무어의 법칙을 더 연장할 것이다.’ 5월 12일, 전 세계 반도체 위탁 생산(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인 대만의 TSMC가 1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급 미세회로 반도체를 ... ...
[DGIST@융복합 파트너]리튬이온배터리 전성시대 그 이후를 꿈꿉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리튬이온배터리의 성능은 지난 30여 년간 꾸준히 높아져 에너지저장 밀도에 있어서는 이론적 한계에 거의 도달했습니다. 우리 연구실은 이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배터리와 소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홍승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는 리튬이온배터리가 뛰어난 성능을 ... ...
'탄소 저감 실패 우려국가' 오명 씻으려면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지금처럼 화석연료를 쓴다면, 2100년에는 지구 표면 온도가 3.5℃ 이상 올라 인류와 지구 생태계는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는다. 이에 전 세계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문제는 이를 충실히 지켜도 기후변화를 피하기 어렵다는 사실이다. 향후 10년간 더욱 엄격한 배 ... ...
탄소배출의 주범이라고? 공장이 변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전 세계는 탄소배출에 따른 기온 상승을 막자는 목표 아래 공동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 정부도 지난해 12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국내의 경우 전체 온실가스의 38%가 산업부문에서 배출된다. 탄소중립이라는 결코 쉽지 않은 목표를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