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상
여운
d라이브러리
"
잔상
"(으)로 총 5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션! 이상한 공장에서 고양이를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부분과 가려지지 않은 부분이 계속 바뀌며 나타난다. 그런데 우리 눈은 먼저 본 그림의
잔상
이 남아 있어 연결된 동작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이처럼 줄무늬가 있는 그림 위에서 줄무늬 필름을 움직이면 일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무아레’라고 한다. 애니메이션이나전광판도 같은 원리 ... ...
퍼레이드의 여왕과 함께 놀이동산으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이처럼 빛의 자극이 눈에서 금세 사라지지 않고 남는 현상을 ‘
잔상
’이라고 하지. 이
잔상
때문에 사람의 눈은 사진과 달리 움직이는 물체를 정지된 모습으로 볼 수 없는 거야.에이~, 여기 있는 사진은 정지된 모습이 아닌데요?…그건 사진을 일부러 느리게 찍어서 그런 거야.순간포착! 표정에도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한껏 기대했던 천문학자들은 입을 다물지 못했다. 이 교수는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잔상
이 퍼진 사진이었죠. 선명한 사진을 기대했던 천문학자들이 모두 당황했어요. 초점이 나간 사진을 보냈으니 그럴만 했죠.”2조 원이 투입된 프로젝트가 실패로 끝날 수 있는 상황이었다. NASA의 입장도 ... ...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이는 움직임에 반응하는 시각신경세포가 피로를 느끼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운동
잔상
효과’라고 한다.2006년 이 현상에 대한 촉각 버전이 확인됐다. 일본 도쿄대 연구팀은 손가락 끝에 진동을 주는 자극기를 고안했다. 연구팀은 이 자극기로 실험참가자들의 손가락 끝에서 시작해 첫 번째 ... ...
손가락 굵기에 도전하는 LED TV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형광램프는 부피가 크고 빛이 꺼졌다가 켜지는 속도가 느려 빠르게 움직이는 영상에서
잔상
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한 것이 LED였다. LED TV는 두께가 기존 LCD TV보다 3분의 1 수준으로 얇고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스포츠 동영상도 깨끗하게 표현할 수 있다. 형광램프와는 달리, LED가 ... ...
세계 IT 트렌드의 현장, 소비자가전 전시회(CES) 2008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울트라HD LCD TV 시제품을 내놓고 기술력을 뽐냈다.LCD TV의 단점 가운데 하나인 동영상의
잔상
을 해결하기 위한 120Hz 구동기술은 삼성과 소니 뿐만 아니라 샤프와 LG전자 같은 주요 LCD TV 생산업체가 모두 채택해 이 기술이 보편화될 것임을 예고했다. 120Hz 구동기술은 1초에 정지 영상 120장을 빠르게 ... ...
미술관에 간 화학자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눈의 망막은 이들이 혼합된 중간색이 나타나 원하는 최종색을 칠한 것처럼 느낀다. 눈의
잔상
효과 때문이다. 이를 병치혼합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빨강과 파랑의 작은 점들을 모자이크처럼 교대해서 찍어 놓고 이를 멀리서 보면 보라색으로 보인다.마네, 모네, 세잔, 고흐, 시냐크 등 인상파 ... ...
MEMS는 미래기술의 해결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각도에 따라 화면에 빛이 노출되는 방식인 액정표시장치(LCD)다. 그러나 시야각이나
잔상
등은 액정 소자가 갖는 한계다. 또 화면에 가까이 다가가면 미세하게 나눠진 화소 사이의 간극이 어둡게 보이는 단점도 있다.하지만 윤 교수는 “머리카락 굵기의 8분의 1만한 거울을 사용하면 화소 사이의 ... ...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영상으로 느껴지는데 이것을‘
잔상
효과’라고 한다. 밤에 보는 불꽃놀이가 대표적인
잔상
효과의 예다.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애니메이션1초에 50장의 연속된 그림을 보면 하나의 상이 나타났다가 망막에서 없어지기 전에 또 다른 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끊어짐을 느낄 수 없다. 이 원리를 이용해 ... ...
맛있는 빛의 요리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통해서뿐만 아니라 ‘뇌’를 통한 지각과 경험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어난다.
잔상
을 이용하여 새장 속에 새를 가두자!1 새장과 새가 그려진 종이 두 장이 있다.2 그림이 없는 면에 풀을 바르고 두 종이를 붙인다. 이 때 나무젓가락을 종이 사이에 넣고 함께 붙인다.3 완성된 그림판을 빠르게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