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도 문제 없다! DNA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DNA로 저장하면 공간도 적게 차지하고, 보관에 필요한 에너지도 줄일 수 있지요.
인류
의 지식을 우주나 다른 행성으로 들고 가야 할 때도 DNA 저장 장치가 해결사 역할을 할 수 있어요. 류태훈 대표는 “우주선의 무게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많은 정보를 들고 갈 때는 DNA 저장 장치가 유리할 ... ...
영화를 DNA에 저장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DNA로 저장하면 공간도 적게 차지하고, 보관에 필요한 에너지도 줄일 수 있지요.
인류
의 지식을 우주나 다른 행성으로 들고 가야 할 때도 DNA 저장 장치가 해결사 역할을 할 수 있어요. 류태훈 대표는 “우주선의 무게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많은 정보를 들고 갈 때는 DNA 저장 장치가 유리할 ... ...
[특집] 도파민 중독,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만날 수 있는 통로다. 2월 9일 연세대에서 만난 김정훈 연세대 의대 생리학교실 교수도 “
인류
가 지금까지 쌓아 온 도파민의 역사와 스마트폰이 등장한 뒤 도파민의 역사는 다르다”고 말했다.즉각적이고 자극적인 보상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는 보상이 설 자리를 뺏는다. 도파민이 과도하게 ... ...
[한눈 과학] 3월⟶ 1월 봄 시작 당겨진다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기후변화 완화 노력에 따른 4가지 연평균기온 시나리오 미래는 달라질 수 있다.
인류
의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노력에 따른 기후변화를 나타내는 ‘SSP 시나리오’ 네 가지를 통해 21세기 후반(2081~2100년) 한반도의 연평균기온을 예측해봤다.SSP1-2.6 시나리오 : 재생에너지 기술 발달로 화석연료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여기는 독자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당연합니다. 지상에 발을 디디고 살아가는
인류
는 세상에서 벌어지는 변화를 자신이 관찰한 것들을 기준으로 분석했으니까요. 대부분 인간은 태어날 때 갖고 있던 성별을 죽을 때까지 유지하고요. 다시 산호 이야기를 해보죠. 수백 년 전까지만 해도 산호는 식물로 ... ...
[전지적 독자 시점] 온가족이 외계 생명체에 대한 상상을 많이 하는 편이라 더더욱 관심이 가요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있다는 명확한 근거도 없죠. 한번도 본적이 없으니까요. 그렇다고 가만히 있으 면
인류
가 아닙니다. 언젠가 만날 그날을 기다리며, 외계 생명체와 대화하는 방법을 찾고 있죠. 그 방법 중 하나가 언어가 통하지 않는 동물과 소통는 방법입니다. 이런 참신한 아이디어라니! 심지어 귀여운 ... ...
[과학뉴스] 순록이 눈밭에서 먹이 찾는 비결, 자외선 보는 눈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비결은 자외선(UV)을 보는 눈에 있었다. 너새니얼 도미니 미국 다트머스대 생명과학 및
인류
학과 교수가 이끈 국제 공동연구팀은 순록 안구의 휘판(tapetum lucidum) 색이 변하는 덕에 눈 속에서 지의류를 잘 찾아 먹을 수 있게 됐다는 연구 결과를 2023년 12월 15일 국제학술지 ‘아이-퍼셉션’에 발표했다.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인간과 혹등고래가 의사소통한 최초의 사례”라고 밝혔습니다. 혹등고래 트웨인,
인류
와 대화한 첫 번째 고래될까 연구팀이 대화에 성공했다고 밝힌 혹등고래의 이름은 ‘트웨인’, 최소 38살로 추정되는 암컷 고래입니다. 연구팀은 본격적인 플레이백 실험(동물에게 소리를 들려주고 반응을 ... ...
[이달의 책] \네오알키미스트: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는 과학적 원리 외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가진 주제를 설득력 있게 결합시켰다. 심사위원들은 먼 미래의 지하도시에서 살아갈
인류
에게도 혐오와 차별이 유효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 작품이 면밀히 포착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장려상 수상작 중 강엄고아 작가의 ‘별의 기억’은 어느 행성의 토착생물인 웅가리라는 낯선 소재를 다루면서도 ... ...
[Chapter1] 소수를 숭배하라!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깨달아Part5. 아직 다 밝히지 못한 정체 소수Part6. 소수만 거르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Part7.
인류
의 소수 사랑은 적어도 8500년 전부터Part8. 모든 수의 근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