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의식"(으)로 총 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무슨 노래 들으세요? 뇌파 읽으면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사실을 드디어 지각하기 시작한다. 이전까지 무의식적으로 처리되던 청각 신호가 마침내 의식의 영역으로 들어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청각 피질이 다른 뇌 부위와 협력해 지각된 소리를 음악으로 인지한다. 들린 음들을 이어서 선율로 만들고, 리듬을 파악하는 등 음악을 세부적으로 인지하는 ... ...
- [기획] 왜 기분 좋아질까? 음악과 뇌에 대한 궁금증 4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중요하다고 알려진 첫번째 강한 박에서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음악가의 뇌는 무의식적으로 소리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부터 일반인과 다른 셈이다. doi: 10.1038/s41598-020-72714-z 한편, 뇌간에 문제가 있으면 음악을 인지하는 데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실음악증이 한 사례다. 실음악증은 리듬, 박자, 템포 ... ...
- [이달의 책] 인간처럼 생각하는 로봇과 살아야 한다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SF의 차세대 주자로 부상한 김준녕 작가는 그의 신작인 ‘별보다도 빛나는’에서 인간의 의식을 로봇의 몸에 이식한 ‘휴봇’을 중요한 소재로 내세웠다. 휴봇은 그 몸이 로봇일지라도 그 정신이 인간 자체다. 따라서 우리가 생각하는 기존의 로봇과 같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중요한 점은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 원자폭탄보다 두려운 수소폭탄이 한국에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위험성을 누구보다 알리려 했던 오펜하이머. 그의 삶은 과학을 다루는 과학자의 윤리 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얼마나 무거운지를 여실히 보여줍니다. 과학기술 수준이 곧 국가 경쟁력이 된 지금, 이 영화가 던지는 메시지를 우리는 무겁게 받아들여야 할 겁니다. 최지원 과학동아와 ... ...
- [과동키즈] 핼리혜성을 쫓다가 인공태양에 이르렀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인공태양 실험을 하는 현재의 모습을 상상하지는 못했다. 초중고 시절의 상상들이 무의식적으로 필자를 지금의 자리로 이끌지 않았나 생각해본다. 그래서 지금 과학동아를 읽는 학생들에게 이야기해주고 싶다. 별과 은하를 품은 우주의 아름다움, DNA와 바이러스에서 인간에 이르는 생명의 ... ...
- [SF 소설] 라스트 찬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채로 지구인의 우주 정거장에 도착했다. 신원 확인을 마치고 병원으로 이송됐을 때 진은 의식을 잃은 상태였다. 소식을 들은 어머니가 산발로 병원에 달려왔다. 2년 만이었다. * 수색대를 수십 번 보냈다고 한다. 정거장 근처를 샅샅이 뒤졌다고, 너마저 우주에서 죽은 줄 알았다고 했다. 말하며 ... ...
-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이것’ 고려하지 못했다? 성차의학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의학 교육으로도 그 눈을 돌렸다. 미래 의료인들이 기존의 남성중심적 의학이 만드는 무의식적인 편견에 대해 아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했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2018년, 박 교수는 2022년 각각 서울대와 고려대 의과대학에 성차의학 강의를 개설했다. 김 교수는 2018년 성차의학 수업 첫 해, 수업을 ... ...
- 동물원 허가제, 어려움을 뚫고 나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규제로 열악한 환경에 방치되었던 동물의 복지를 개선해 공익을 추구하는 것은 국민의식 수준에 따른 변화”라고 말했어요. 그러면서 “기존 운영자들이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예측할 수 없었다고 보기 어렵고, 유예 기간이 6년으로 충분히 길기 때문에 국가에 서 기존 동물원 운영자들에게 ... ...
- “2달 동안 증명법을 4개 만들며 한계에 도전하는 법을 배웠어요”수학동아 l2023년 07호
- 기존의 증명 방법도 좀 찾아봤나요? 니카에아 : 아니요. 다른 증명법을 보면 무의식적으로 머리에 스며들어서 비슷한 증명을 내놓을 수 있으니까 일부러 찾아보지 않았어요. 증명을 다 하고 나서 똑같은 증명이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찾아본 게 전부예요. 미국수학학회에서 발표는 어떻게 ... ...
- [과학사 극장]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만든 게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일제 식민 정책에 대항하는 수단으로 봤다. 특히 세종 대의 과학 성과는 민족의식을 고양하기 적합했고, ‘세종 대 연구는 자주적 성과’라는 관점이 만들어졌다. 칠정산은 조선의 독창적 산물이 맞지만, 그 독창성은 또한 다른 문화권의 교류를 통해 태어났다.의혹 ③ 그렇다면 세종이 한 것은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