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움푹한 곳"(으)로 총 15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마지막 모험, 함께 해줄래? 드래곤 길들이기 3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추운 섬” 그리고 “1년 중 9달은 눈이 오고 3달은 우박이 내리는 곳”이라고 설명했어요. 또, 히컵은 오로라를 배경으로 투슬리스와 ... 버크 섬은 매우 춥고 오로라를 볼 수 있는, 바이킹족이 터를 잡은 곳, 즉 위도 65~70°의 북유럽 어딘가로 추정할 수 있답니다. 그렇다면 ... 북쪽에 위치한 것 ... ...
- [지구사랑탐사대] 연어특별탐사, 강을 거스르는 마지막 질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일어나지요. 암컷은 산란하기 좋은 장소에 도착하면 꼬리를 빠르게 움직여 자갈이 많은 바닥에 움푹 팬 곳을 만들고 알을 낳아요. 그럼 수컷은 그 위에 정자를 뿌려 수정을 하지요. 바다부터 강 상류까지 굶은 채로 ... 낳고 죽게 된답니다. 그래서 이번 연어 탐사에서도 죽거나, 곧 죽을 듯 힘이 ... ...
- 완성된 웡카 초콜릿, 어떻게 담을까?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추측했습니다. 구가 서로 맞닿도록 촘촘하게 배열한 다음 4개의 구 사이 움푹 들어간 곳에 구를 쌓아 올리는 겁니다. 과일 가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조지만, 수학적으로 ... 서로 밀치는 영향이 적었지만, 회전타원체는 밀집될수록 더 빽빽하게 서로를 밀쳐서 빈 곳을 채웠기 때문입니다.채킨 ... ...
- [시사기획] 땅이 가라 앉는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설명했다. 네일링이란 굴착한 부위 곳곳에 말뚝을 박아 지반의 무게를 분산하는 방식을 ... 수평으로 파고드는 수평 굴착이 시행된 곳에서 땅꺼짐이 발생했다.권 수석연구원은 ... 문경, 강원 평창 등에서 싱크홀로 만들어진 움푹한 지형인 ‘돌리네’를 볼 수 있다. 권 수석연구원은 “서울의 경우 ... ...
- 아끼면서 아름다운 한복, 수학이 만든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만들려면 원단의 가운데를 요철 모양으로 자릅니다. 그러면 왼쪽 부분에서 움푹 들어간 곳이 오른쪽에서는 툭 튀어나오는 곳이 되고, 두 조각을 이어 붙이면 구멍이 뚫린 살창 고쟁이가 완성되지요. 각 조각을 서로 맞댔을 때 생기는 구멍과 창살의 크기가 맞아 떨어져야 하기 때문에 계산이 ... ...
- [Origin] 지구온난화 주범 vs. 청정에너지 진흙화산의 두 얼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제외하면 북반구 대륙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다. 그래서 이곳에는 ‘세상의 끝(Top of the world)’이라는 이름의 호텔도 있다 ... 물, 가스가 섞여 분출되면서 만들어진 지질 구조다. 지하 깊은 곳에 물과 가스(또는 석유)가 섞인 유동성이 큰 진흙층이 생길 경우 ... 해, 3개의 진흙화산 발견진흙화산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연구일지에 적힌 수수께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침입한 세균을 잡아먹고, 적혈구는 혈관을 따라 이동하며 몸 곳곳에 산소를 운반해요. 또 혈소판은 상처가 났을 때 혈액을 ... 이처럼 혈구마다 역할은 제각각이지만, 모두 같은 곳에서 만들어져요. 그곳은 바로 뼈 안쪽에 있는 ‘골수’라는 조직이랍니다. 골수는 ... “딱딱한 공간은 뼈, 빨간 ... ...
- Part 3. 모래, 사라지면 모두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바다에서 모래를 채취하기 때문에 육지보단 채취가 이뤄지는 곳 주변 섬들의 피해가 커요. 실제로 모래 채취 지역과 가까운 ... 직접적인 피해를 입는답니다. 문제는 또 있어요. 바닷물은 한곳에 머물러 있지 않고, 끊임없이 이동해요. 계속 주변 물과 ... 이 지역은 30년 동안 매년 5억 6000만 톤의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국토의 약 70% 이상이 산이기 때문에 전국 곳곳에서 동굴을 볼 수 있어요. ‘동굴(洞窟)’은 ‘골 동(洞 ... 사람들이 모여 냇물이나 우물 등을 같이 먹고 사는 곳이라는 뜻이지요. ‘굴 굴(窟)’은 의미요소인 ‘구멍 혈 ... 굴’은 ‘꼬리’를 뜻하는 ‘尾(미)’와 ‘움푹 팬 곳’의 변화한 모양인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도는 섬모의 중차대한 역할그럼 여기서 질문이 하나 생깁니다. 수정란은 어디 하나 모난 곳 없는 둥근 공 모양입니다. 좌우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죠. 그렇다면 배아 발달 중에 좌우 비대칭은 언제, 어떻게 생겨나는 걸까요? 쥐의 발달을 살펴보면 수정 후 7일째 ‘노드(node)’라는 부위에서 좌우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