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술가"(으)로 총 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현미경이 포착한 환상적 아름다움 - 세포 속을 탐험하는 예술가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고해상도 이미지를 만드는 ‘이미지 스티칭’ 등 다양한 촬영기법이 사용됐다. 과학자, 예술가, 현미경 사진가 등이 참여한 이번 사진전의 수상작들을 만나보자. (사진을 자세히 보려면 PDF를 다운로드 받아 감상하세요! ... ...
- [화보] 감자칼로 피아노를, 솔로 복어를? 그림자가 예술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물체 뒤에 생기는 어두운 그림자를 보면 어쩐지 무채색의 단조로운 느낌이 들어요. 벨기에의 예술가인 빈센트 발은 일상적인 사물의 그림자에 색과 그림, 그리고 재미있는 아이디어를 더했어요. 빈센트 발 작가의 개성 넘치는 작품 세계를 함께 감상해요! ...
- [기획] 수리 생물학 노트 III, 새의 날개짓 비행체에 적용하다!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만들었거나 개발 중이래. 15, 16세기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이탈리아 과학자이자 예술가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새가 나는 것에 영감을 받아 사람을 태울 수 있는 ‘날갯짓 비행체’를 만들려고 했어요. 날갯짓 비행체는 새나 곤충처럼 날개를 치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비행체예요. 하지만 시간이 ... ...
- [이달의 과학사] 1848년 6월 13일 사무엘 모스, 모스부호의 특허를 받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 -·-이 점과 선들은 ‘어과동’을 뜻하는 모스부호입니다. 모스부호는 1837년, 미국의 예술가이자 발명가인 사무엘 모스가 전신 기술을 위해 만든 통신 언어입니다.1830년대, 먼 거리에서도 연락할 수 있는 통신 기술인 전신이 처음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두 지점을 연결한 전선을 통해 전기 ... ...
- [화보] #사진_사냥꾼 #루카스_레비탄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말일까요? 전 세계 많은 사람이 본인의 SNS 게시물에 이 해시태그를 달고 있어요. 브라질 예술가 루카스 레비탄의 ‘포토 인베이젼’ 프로젝트 때문이지요. 2014년부터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해당 해시태그가 있는 SNS 사진에 레비탄이 유쾌한 그림을 더하는 프로젝트예요. 레비탄은 자기 자신을 ... ...
- [수학 기자의 책장] 아름다운 에셔의 판화 속 수학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무늬로 평면을 가득 채우는 테셀레이션. 이 테셀레이션으로 멋진 예술 작품을 만드는 예술가가 있습니다. 바로 네덜란드의 판화가 모리츠코르 넬리스에셔지요. 종이 위에 무한한 상상의 집을 지은 에셔의 작품에는 수학자도 놀랄 만큼 심오한 수학이 담겨있어요. 수학자가 아닌 그가 이런 수학적 ... ...
- 뒷이야기가 더 흥미로운 제임스웹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자세히, 아름답게 담아냈다. 폰토피단은 “제임스웹 프로젝트에는 과학자뿐 아니라 시각 예술가와 과학작가 등 30여명이 함께 일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과학자들이 느낀 감정을 대중들과 함께 하기 위해서 다양한 배경 지식을 가진 이들이 각자의 고민을 담아냈다. 폰토피단은 “(제임스웹이 ... ...
- [인터뷰] “해리포터 같은 사람 이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수 있나요?안녕하세요. 헤일리 모스입니다. 미국 플로리다주에 살고 있는 변호사이자, 예술가이자, 자폐인입니다. 변호사로 일할 땐 로펌에서 병원과 보험회사 간 소송 등을 담당했고, 지금은 로펌을 나와 장애인들의 취업을 지원하는 단체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Q. 최근에 한국에선 ... ...
- 학교 밖 과학을 사랑한 예술가들 '외계공작소'과학동아 l2022년 08호
- 2041년 한국은 최초의 유인 달 탐사선 ‘치리호’의 발사를 6개월 앞두고 있다. 치리호의 발사는 세계 각국이 치열하게 펼치는 우주 경쟁 속에서 한국이 한몫할 기회로 꼽힌다. 한편, 땅 위도 평탄하지만은 않다.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결식아동, 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계층도 아직 충분한 지 ... ...
- [특집] 미래에서 기다릴게, 황금책!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헤엄치며 이야기를 들려준답니다. 100년 지나야 읽을 수 있는 책 스코틀랜드의 예술가 케이티 패터슨은 2014년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퓨처 라이브러리(Future Library)’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미래 도서관’이라는 이름처럼 100년 후를 위한 도서관이지요. 2014년부터 2114년까지 100년 동안,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