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탕과자
d라이브러리
"
엿
"(으)로 총 5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6시 18분~28분 사이에 벌어지는 이 씨와 우리나라 고등학생 사이에서 이뤄지는 무선통신도
엿
들을 수 있다. 경기도 평택시 한광고등학교와 대전시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각각 한 번씩 열린다. 김치와 홍삼차로 한국 알린다ISS는 세계에서 유일한 ‘사람이 타고 있는 인공위성’이다. 최첨단 우주 ...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재활용의 트렌드도 변한다. 과거에는 빈 병과 폐지, 고철을
엿
장수에게 주고 빨랫비누나
엿
가락으로 바꿨다. 1995년 쓰레기종량제가 시행되면서 쓰레기 배출량은 줄고 재활용률이 상승했다. 21세기의 재활용 트렌드는 ‘환경을 위한 설계’다. 제품을 제작하는 단계부터 유해물질을 쓰지 않고 ... ...
동물과 대화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무슨 말을 하는지 다 알아 들었으면 좋겠죠?‘어린이과학동아’가 동물들의 이야기를
엿
들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어떤 얘기를 하고 싶은 건지 동물친구들을 함께 만나 볼까요? 우리끼린 이렇게 얘기해!곤충에서부터 사람과 비슷한 유인원까지. 동물들은 소리나 몸짓, 색, 냄새로 ... ...
암석나라 삼형제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가지 재료를 섞어 끓이면 새로운 성질을 갖는다)퇴적암-강정(여러 가지 재료가 찐득한 물
엿
에 붙는다)변성암-도자기와 빵(열을 가하면 원래 가지고 있던 성질이 변한다)살아 있는 실험실암석의 미로에서 탈출하자!무시무시한 문어 괴물이 암석의 미로 속에 보물을 숨겼다. 미로를 통과하며 괴물이 ... ...
일본은 언제 가라앉을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갖게 됐다. 동해가 넓어지는 과정에서 일본열도와 한반도 사이에 껴있던 대륙조각들은
엿
가락처럼 늘어져 얇아지면서 동해의 깊은 바닷속으로 완전히 침몰해 버렸다.영화 일본침몰은 그 옛날 일어났던 이 무서운 대륙 침몰사건이 오늘날 일본열도를 무대로 다시 벌어질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 ...
분자의 과속은 무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한 통화 한 통화를 꼼꼼히 챙기는 모습에서 순간을 다루는 과학자 특유의 세심함이
엿
보였다.1992년 김 교수가 풀러렌(${C}_{60}$)의 전자구조를 처음 밝혀낸 것은 초고속 현상 연구의 신호탄이었다. 풀러렌은 탄소 60개가 축구공 모양으로 둥글게 결합한 분자로 그 구조와 성질은 당시 화학계의 가장 큰 ... ...
특종! 스파이더맨을 인터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번째 아이디어는 정말 달콤한 아이디어야! 바로 우리가 즐겨 먹는 간식을 이용했거든.
엿
, 찹쌀떡, 껌…. 이제 알겠니? 바로 끈적끈적한 간식들이지. 이런 음식들의 끈적끈적한 성질을 이용해 물병을 벽에 붙였어. 성공했냐구? 100% 성공이었지. 예전부터 음식으로 풀을 만들어 왔다는 것을 알고 있니? ... ...
내 귀에 도청장치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프라이버시는 사라졌다. 안전한 것은 머리 속에 있는 것뿐이다.”1998년 개봉된 영화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에는 이런 대사가 등장한다. 휴대전화, 펜, 양복 단추, ... 초보적인 도청 방법이다. 특정 위치에 마이크를 숨기거나 다른 사물로 위장해 설치한 뒤 증폭기를 이용해
엿
듣는다 ... ...
전설의 섬 이어도에 우뚝 선 과학기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어디엔가 있다는 소문만 있을 뿐 아무도 가보지 못한 섬이었다.“이
엿
사나 이여도사나 이
엿
사나 이여도사나.” 남편을 영영 바다로 보낸 제주 해녀의 애환을 담은 노동요 ‘이어도’ 가락에서나 들을 수 있는 상상의 섬이었다. 하지만 1900년 영국 상선이 암초에 부딪쳐 위치가 확인되면서 배의 ... ...
가가린은 세계 최초 우주인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이들의 안테나는 옛소련의 인공위성들이 지나가는 길목에 있어 비교적 쉽게 우주교신을
엿
들을 수 있었다. 이들은 1960년 11월 28일에 세번이나 러시아어와 영어 코드로 보내진 ‘전세계에 SOS’란 신호를 포착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1961년 2월에는 죽어가는 우주비행사의 것으로 보이는 고르지 못한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