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두
양혜
부량
d라이브러리
"
양화
"(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패스파인더의 화성탐사 상상도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1mm에서 1만분의 1mm 정도의 초미세한 입자거시세계에 대응하는 미시세계의 모르는 정도를
양화
(量化)한 것 쉽게 말해 무질서도, 혼란도 등을 뜻한다원자 또는 분자의 가장 바깥껍질에 있는 전자가 가장 낮은에너지 준위에서 높은 에너지 준위로 이동하는 것성형 판유리를 5백∼6백℃로 가열하고 ... ...
빛을 기록하는 인류 최대 발명품 CAMERA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효시다.사진은 1820년대에 프랑스의 J. N. 니엡스가 역청을 바른 은판을 써서 사진의
양화
상을 만드는 데 성공함으로써 처음 발명됐다. 이때는 필름이 따로 없는 사진이었다. 오늘날과 비슷한 감광 방법은 1837년 L. J. M. 다게르가 발명했다. 다게르는 은판 표면에 요오드화은을 발라 이것을 어둠상자에 ... ...
한국 자생 식물 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간직하지 않고 널리 알리기 위해 지난 91년 한국 자생식물협회를 설립하는데 앞장섰다.
양화
보다 관리하기 쉽다.'우리 화단에 우리 꽃을 가꿉시다' 이러한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창립총회를 열 때 회원은 모두 11명이었다. 그러나 1년 후에는 회원이 1백73명으로 늘어났으며 현재는 모두 2백70여명에 ... ...
1 토양형성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지역으로 빠져 나간다. 반면 경사가 낮은 지역에서는 토양유실이 제한되고, 오히려 토
양화
작용에 필요한 물질들을 외부에서 공급받을 수 있다. 경사지의 토양에서는 이러한 지형차이에 의해 일련의 연속적인 사면토양군(斜面土壤群), 즉 카테나(catena)가 형성된다.토양의 발달정도를 결정하는 요인 ... ...
3 지구밖 문명과의 교신도 시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기초가 되었던 것은 1839년에 영국인인 윌리엄 폭스 탈보트가 발명한, 음화를 만들어
양화
로 바꾸는 방법으로, 이것은 한번 촬영으로도 여러 장의 사진을 복제할 수 있는 편리한 것이다. 또한 노광에 의한 약간의 화학변화로 현상할 수 있게 한 것도 그의 획기적인 발명이었다. 여기서 더 발전이 ... ...
「신의 주사위 놀이」는 거부되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고전역학의 뉴턴 운동방정식에 비교되는 양자이론의 파동함수 운동방정식이다)으로
양화
(量化)되고 체계화 됐다.파동함수가 물질파로서의 실체를 갖는다는 드 브로이와 슈뢰딩거의 해석은, 곧바로 막스 보른(Max Born)의 반대에 직면한다. 보른은 1926년 드 브로이-슈뢰딩거 파동함수가 실체가 아니라, ... ...
토리노의 수의는 이렇게 찍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찾으려 애썼지만 알 길이 없었다. 어째서 음화로 나타나야 할 필름(네거티브)의 영상이
양화
로 나타났단 말인가. 그러한 원인을 밝힌다면 오직 수의의 영상이 음화였기 때문이라는 결론 밖에는 내릴 수가 없었다. 그후 1931년 5월 '쥬세페 엔리'가 훨씬 진보된 사진술로 흑백사진을 촬영한 기록이 ... ...
토리노의 수의(壽衣) 정말 예수의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에 투명하거나 맑게 나타나야 하지만 이 부분이 검게 나타난 것은 필름에 담긴 이미지가
양화
임을 말해주었던 것이다. 한편 영국의 ‘존 헬러’(Dr .John Heller)박사는 그 부분에서 약간의 결정체를 조사한 결과 헤모글로빈을 발견했고 이것이 피(blood)라고 확인했다. 또한 오늘날에도 가장 관심이 큰 ... ...
PART 2 한강수계 총점검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을 합치고 이어서 청미천(淸渼川)을 합류하여 북서로 유로를 잡아 여주군을 관류하면서
양화
천(楊花川)ㆍ복하천(褔下川)등을 받아들인다. 양평군으로 들어서면서 흑천(黑川)과 만나 서쪽으로 유로를 돌려 북한강과의 합류점인 양서면 양수리(兩水里)에이른다.한편 북한강은 강원도 금강산 부근에서 ... ...
PART ① 수중보 설치와 물고기의 환경변화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한강으로 흘러오는 여러 지천(支川)들의 폐수를 처리하는 공사가 끝나서 암사동에서
양화
대교 사이의 물이 2급수로 그 이하 행주대교와의 사이의 물이 3급수로 승격된다면 가까운 장래에 50종 내외까지 복구되리라고 본다. 일단 파괴된 생태계가 완전히 회복하는데는 수백년 수천년 걸리는 것이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