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이드
길잡이
안내인
정보원
앞잡이
길앞잡이
안내
d라이브러리
"
안내자
"(으)로 총 36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화석을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타고 5억년 전의 지구를 여행한다는 착각에 빠져들 수 있었던 것은 화석이라는
안내자
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실험실에서 화석의 정체를 하나하나 벗겨가면서 수억년 전 생물을 살려내는 과정에서 느끼는 학문적 성취감은 다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고귀한 것이다 ... ...
수원화성(華城) - 2백년 역사의 성벽에 숨은 지혜3가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책을 꽂을 때 어떻게 꽂는 것이 책을 안전하게 꽂을 수 있는지 생각해보세요” 라고
안내자
가 반문한다. 그러면 ‘잘못 생각했나?’ 하고 다시 한번 생각하는 눈치다.성벽의 앞부분이 무너졌을 때를 생각해보자. 돌을 성벽과 나란하게 여러 겹 쌓으면, 만약 성벽 앞부분이 무너지는 상황에서는 뒤에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세기 과학 발전의 청사진 역할을 했듯이 인간 유전자 지도는 21세기의 항해를 인도해주는
안내자
가 될 것이다.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닫힌 계에서는 시간이 흐를수록 엔트로피(무질서도)가 증가한다. 그러나 생물계는 흡사 이 법칙을 부인하는 듯하다. 상당히 정교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생리·의학상-군터 블로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함께 딸려들어오는 방식이었다. 즉 신호 펩티드는 특정 단백질을 소포체로 이끄는
안내자
역할을 수행하는 주인공이었다. 무사히 단백질이 소포체 안에 들어오면 신호 펩티드는 잘려나간다.1975년 블로벨 박사는 이 사실을 바탕으로 단백질의 이동 과정에 대한 ‘신호 가설’을 정립했다. ‘소포체로 ... ...
유럽정원의 꽃, 물 축제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노래하는 새의 동굴’이 있다. 깊은 숲 속의 동굴을 연상시키는 매우 낭만적인 곳이다.
안내자
가 손잡이를 조작하면 갑자기 환상적인 새의 지저귐 소리가 들린다. 물의 압력을 받은 기계장치에서 나는 소리라고 한다.동굴을 나와 관광객들이 가장 즐겨 찾는 곳은 인형극장이다. 이 극장은 중세 ... ...
달착륙 4반세기 새로운 도전 NASA 우주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다른 발사대를 압도하고도 남음이 있었다.원래 케네디우주센터는 야생동물의 서식지.
안내자
는 입구에서 발사대로 이르는 숲에 악어 독수리 등이 많이 살고 있다며 사진까지 보여주며 자랑스럽게 설명했다. 조그만 엽총소리에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야생동물들이 자주는 아니더라도 1년에 10여 ...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분자를 분비한다고 제안했다.이러한 과정에서 '세포의 운명을 결정하는 확산 가능한
안내자
'라는 모포겐의 개념이 탄생했다.최근의 초파리를 사용한 작업에서 고슴도치 유전자가 애벌레의 신체 부위 성장을 결정하는 것을 돕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세 팀의 연구진은 척추동물에서 이에 ... ...
라플레시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작은 것들 4~5개가 검은 보자기에 싸인 모습으로 있었다.2주일쯤 지나야 꽃이 필 것이라는
안내자
의 말에 그때까지 머물 수 없는 나는 아쉬운 마음으로 발걸음을 돌렸다. 운이 좋아야 이 꽃을 볼 수 있다는 현지 주민들의 말에 수긍이 갔다.꽃이 피는 시기를 알아둔 만큼 그 좋은 기회를 놓칠세라 나는 ... ...
황천과 지상을 잇는 죽음의 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가장 많은 이야기의 주인공이며, 가장 화려한 별들의 소유자로 겨울 내내 모든 별들의
안내자
가 되어 준다.이 별자리의 으뜸별 베텔기우스는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들 중에서 가장 큰 별에 속한다. 그 지름이 태양의 약 1천배에 가까우며 거리로 나타내면 수억㎞(대략 목성의 궤도)에 해당하는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인공위성을 다수 우주로 발사했는데, 오랫동안 이 인공위성을 하늘나라로 이끈
안내자
는 미국의 델타로켓의 기술을 들여와 만든 미국식 로켓들이었다. 그러나 지난 86년 8월 일본의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한 관성유도로켓인 H-1(국산화율 80%)의 시험발사에 성공하면서부터 미국의존도를 크게 탈피하게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